핵심키워드 3가지
#저축
#돈의배당금
#독립
지난 여름 친구에게 부자가 되기로 결심했다고 말했다.
그러자 나에게 왜 부자가 되고 싶냐고 물었다.
시간을 벌거야!
자유를 내 스스로 찾을 거야!
그래?
그럼 그 다음은 뭐할거야?
시간이 생기면 뭐하고 싶어?
니 커리어를 더 끌어올려 볼 생각은 없어?
니가 하고 싶은 일이 있으면 그 일로 돈을 벌면 되잖아?
잠시 할 말을 잃었다.
막상 일을 그만둔다면 내가 무얼 하고싶을까?
먹고사니즘에 충분한 지금 직장을 두고 왜 나는 부를 일구려고 할까?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돈을 벌어 본 그는
월급쟁이들이 남을 위해 왜 그렇게 열심히 일하는지 이해하지 못겠다고 한다.
나같은 월급쟁이가 왜 '하고싶은 일'이 없는지도 잘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그저 어찌어찌 하다보니 직장인이 되었고 하고 싶은 일 따위는 별로 고민할 필요도 여력도 없었던.
책의 문구를 다시 들여다본다.
| 70%
돈과 관련해 가장 중요한 점은 내가 시간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이해하고, 나와 다른 게임을 하는 사람들의 행동에 설득당하지 않는 것이다. 당신이 지금 어떤 게임을 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데 비상한 노력을 기울여라.
나는 그와 다른 게임을 하고 있음을 분명히 알자.
돈을 버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어떤 방법을 택하든 돈을 벌면 된다.
하고싶은 일로 돈을 버는 길,
돈 버는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서 내가 하고 싶은 일로 만드는 길,
나는 이 중에 후자를 택한 것이다.
나와 다른 길을 가고 있는 친구에게 그렇게 말해주자.
너와 다른 게임을 하는 거라고.
| 85%
사람마다 목표와 욕망에 큰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하나의 정답은 없다. 오직 나에게 맞는 답이 있을 뿐이다.
반드시 모두가 좋아하는 일에서,
하고싶은 일에서 출발할 필요는 없다.
| p275
나는 부자가 되려고 했던 것은 아니다.
나는 그저 독립성을 갖고 싶었다.
...
나에게 독립성이란 일을 그만둔다는 뜻이 아니다. 원할 때 원하는 동안 좋아하는 사람들과 함께 좋아하는 일을 한다는 뜻이다.
찰리 멍거의 말이라고 한다.
돈과 독립은 평생의 화두이고,
이미 나는 절반은 독립적이다.
직장에 매여있는 시간 외에 나의 자산 쌓기를 위해 달리고 있다.
<돈의 심리학>에서는 부자가 되었을 때 시간이 남아돈다는 이야기는 없었다.
다만 내 삶의 거의 모든 것에 관한 선택권이 생긴다.
부가 있다면, 내가 원하는 걸, 원하는 만큼 할 수 있다.
| p297
당신이 원할 때, 원하는 것을, 원하는 사람과 함께, 원하는 만큼 오랫동안 할 수 있는 능력은 돈이 당신에게 줄 수 있는 가장 큰 배당금이다.
결국 내가 원하는 것? 무엇일까.
내가 좋아하는 브런치를 먹으러 다니거나
유럽으로 휴양지로 아무때고 훌쩍 여행을 떠나거나
그런 것으로 삶을 채우는 것이 내가 원하는 일일까?
지금 나는 여행도 가지 않고 맛집도 가지 못하지만 충만하다.
내가 원하는 것을 하고 있기 때문에.
내 뜻대로 생각하고 내 삶을 꾸려가고 있다는 생각을 하니까.
내 친구는 이미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래서 그의 방법을 나에게 알려줬을 뿐이다.
하지만 내 길도 마찬가지 목표를 향한다는 것,
다음엔 친구에게 이야기해줘야지.
| p144
저축을 하는 데는 특별한 이유가 필요하지 않다.
그냥 저축 그 자체를 위해 저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실은 그렇게 하는 것이 맞다. 모두가 그래야 한다.
구체적인 목표를 위해서만 저축하는 것은 예측 가능한 세상에서나 합당한 얘기다.
지출 목표가 없는 저축은 우리에게 선택권과 유연성을 제공하며 내가 원하는 기회가 올 때까지 기다릴 수 있는 능력을 준다. 생각할 시간을 준다. 내 뜻대로 방향을 바꿀 수 있게 해준다.
미래는 신의 영역이라는 너나위님의 말을 상기해본다.
부를 잘 정의하자.
부 ≠ 돈을 펑펑 쓸 수 있다
부 ≠ 시간이 남아돈다
부 =안전마진
부 = 원할 때, 원하는 사람과, 원하는 만큼 원하는 일을 할 수 있는 능력
| p133
부자가 되는 유일한 방법은 가진 돈을 쓰지 않는 것이다.
이는 부를 축적하는 유일한 길일뿐 아니라, 바로 부의 정의이다.
부란 벌어들인 것을 쓰고 난 후 남은 것이 축적된 것에 불과하다.
소득이 높지 않아도 부를 쌓을 수 있지만, 저축률이 높지 않고서는 부를 쌓을 가능성이 전혀 없다.
이 사실을 고려하면 소득과 저축률, 둘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한지는 명확하다.
마지막으로,
비전 보드 자주 봐야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