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돈 버는 독서 모임] 자본주의 - 독서후기 [골목길]

  • 24.06.06

책의 개요

- 저자 및 출판사 : EBS <자본주의> 제작팀, 정지은, 고희정 / 가나출판사

- 독서기간 : '24. 6. 1. ~ 6. 6.

- 핵심 키워드 : #자본주의 #은행 #시장 #행복

- 총점(10점 만점) : 9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 이 책은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제작팀과 정지은, 고희정님이 공동으로 엮은 책. 자본주의를 누구나 알기쉽게 분명하고 간결하게 설명한 책이다. 자본주의 원리부터 시작하여, 현대 사회의 자본주의 체제까지 자본주의에 대한 A-Z까지 모든 것을 담은 책이라 할 수 있다.


2. 내용 및 줄거리

: 사실, 책의 내용과 줄거리를 모두 망라하기에는 하고싶은 말이 너무나 많다. 도서 소개에서 말했듯이 자본주의를 알기쉽게 설명해놓았으며, 자본주의의 모든 것을 품은 바이블과 같다. 오늘날 우리는 자본주의 체제속에서 살아가고 있지만 정작 우리는 자본주의란 것을 추상적으로만 이해하고 있으며 정확하게 어떤 원리에 의해 작동하며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모르며 살아간다. 1장에서는 '빚'을 통해 자본주의의 비밀을 설명하고, 2장에서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금융상품에 대해, 3장에서는 자본주의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소비와 이러한 소비를 위한 마케팅, 4장에서는 자본주의가 위기에 빠진 이유와 이를 극복해낼 방법과 마지막 5장에서는 미래의 자본주의라 할 수 있는 복지자본주의를 알려준다.


3. 나에게 어떤점이 유용한가?

: 사실 두 번째 읽는 책이다. 처음 읽었던 때와 또 다르게 생각되고 느껴진다. 자본주의를 한층 더 깊게 이해하게 되었다는 느낌을 받았다. 다른 사람에게 자본주의란 무엇인지? 자본주의는 우리와 어떻게 같이 살아가고 있는지 어느정도 설명 할 수 있게 되었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물가가 떨어지지 않고 오르는 이유? 돈은 계속 생산되어(통화량 증가) 돈의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 은행은 사람들이 예금을 하면 지급준비율을 남기고 다시 다른 사람들에게 대출해준다. 이것때문에 통화량이 증가한다.

- 은행의 기원은 과거 유럽의 금세공업자들이었다. 이들은 금을 보관해주고 금보관증을 발급해주었고, 금보관증은 사람들 사이에서 화폐로서의 역할을 하게되었음. 금세공업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사람들이 한번에 금을 되찾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고, 이를 통해 보유하고 있는 금보다 훨씬 많은 금보관증을 사람들에게 빌려주었음. 이것이 오늘날 대출의 시작이다.

- 내가 대출이자를 갚으면 누군가는 파산한다. why? 대출이자란 사실 없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 대출이자를 위해 은행은 또 다시 돈을 누군가에게 빌려준다.

- 우리나라는 금융지식이 너무 부족하다. 어릴때부터 돈 얘기하는 것을 터부시하는 분위기에서 성장하기 때문에 막상 어른이되어서는 경제지식이 전무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에 나오게 된다면, 경제적으로 굉장히 취약할 수 밖에 없으며 결코 부자가 될 수 없을 것이다.

-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RS) 이사회는 사실 정부기관이 아닌 민간 은행의 연합이라는 사실. 즉, 이들은 은행을 위해 일을한다.

- 케인스의 거시경제학 : 거대 정부. 정부가 시장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실업률을 낮춰 이들을 소비자로 만들어야 한다. 그리하여 공급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킨다.

- 하이에크의 신자유주의 : 작은 정부. 정부는 시장에 가급적 개입하면 안된다. 시장이 알아서 조정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시장의 조정능력을 신뢰해야한다.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 P. 223. ~ 229.

최근 SNS, 인터넷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광고에 쉽게 노출되고 있다. 이들 광고는 24시간 동안 소비자를 유혹하고 있다. 특히 기업들은 감정 마케팅을 통해 우리에게 브랜드가 되어 소유해야만 하는 집착을 만들게 한다.

- 그렇다면 우리가 기업의 마케팅으로부터 감정적 소비가 아닌 이성적으로 현명한 소비를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6.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유시민의 경제학 카페


댓글


골목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