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x + 태x's daddy = 요태디입니다.
훗날의 내가 오늘의 나에게 고마워 할 수 있도록
하루 하루를 열심히 보내고 있습니다.
첫 실전반 수강입니다. 작년 10월 지방투자실전반을 수강했으나
서울, 수도권을 대상으로 하는 실전반은 처음으로 수강할 기회를 얻었습니다.
또 좋은 조장님, 부조장님, 조원들을 만났고
무엇보다, 한가해보이 멘토님과 함께 하는 실전반 과정을
소중하게 보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주바다님의 1강을 듣고 느낀점과 적용할 점 위주로 후기를 작성해보겠습니다.
사실 저는 2023년 3월 월부에 들어오고
매달 앞마당을 늘리며 해오고 있었는데요.
소액 다주택 시스템 투자자의 방향을 설정했고
지난 달 까지 주로 지방 위주의 앞마당을 만들어왔습니다.
그리고, 지방에 1호기도 투자했습니다.
그러나, 지난 달 투자코칭 이후 투자방향이 새롭게 설정되었고
이제 서울 수도권의 앞마당을 늘려가며, 투자기회를 봐야 합니다.
서울 거주민이면서도, 1년 넘게 지방 위주의 임장과 임보를 작성한
저로서는, 서울 수도권이 오히려 낯설게 느껴지고, 허들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주바다님이 약 7시긴여 강의를 들으며
수도권의 투자기준과 전략, 그리고 타이밍 등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2024년 현재 수도권 시장 (현황 분석)
수도권 투자기준
수도권 투자전략
몇달 전 부터 들려오는 말들이 있었습니다.
'서울 심상치 않은데?'
'수도권 지금 상승세로 접어든거 같은데?'
'이러다 기회 놓치는 거 아니야?'
지방에 전력을 쏟고 있었지만, 수도권의 기회를 놓칠 수도 있겠다는
이야기를 들으며, 마음이 조급해졌습니다.
하지만, 그냥 들려오는 이야기들은 반드시 검증해봐야 한다는 것을
제주바다님의 현재 시장분석을 들으며 알 수 있었습니다.
시장을 객관적으로 해석하고, 그에 따른 대응을 해야 하는 것.
이것이 '진짜 투자자'로서 가져야 할 태도입니다.
관련된 기사와 뉴스를 깊게 보면서 상황을 확인하고
관련된 통계를 확인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일들 까지 살펴보고
사실을 확인 하는 것.
그래서, 가치와 가격이라는 본질에 집중하는 해석이
필요함을 느꼈습니다.
현재의 수도권 시장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단지 위주로
매매/전세가 오르기 시작한 것은 맞지만
그것이 본격 상승장이라고 하기에는 여전히 매물수가 많은 점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관련 통계를 확인하고, 해석하면서
투자자로서의 가장 큰 적인 '조급함'을 멀리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수도권 앞마당이 턱없이 부족한 저로서는 현재 할 수 있는
앞마당 늘리기에 집중하도록 하겠습니다.
수도권 투자할 때 중요한 것은 올바른 가치판단과 비교를 하는 것입니다.
가치판단과 비교를 할 때 실수 하기 쉬운 것은 퉁쳐서 평가하는 것입니다.
저도, 급지의 오류에 갇혀서 생각하는 경향이 짙었던 것 같습니다.
2급지가 3급지보다 당연히 나은 것 아닌가?
같은 투자금이면 상급지를 하는게 맞는 거 아닌가?
구축이어도 상급지면 하급지 신축보다 낫겠지?
이런 생각은 날카롭게 가치를 판단하고, 비교하는 데 방해가 되는
'두루뭉술'한 생각들이라는 걸 말씀해주셨습니다.
급지와 급지의 비교/ 생활권별 특징 파악과 선호요소/단지와 단지의 디테일한 비교
이런 뾰족한 비교를 통해 가치를 판단하고
투자를 할 때, 시행착오를 줄이고 더 좋은 투자를 할 수 있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주바다님은 날카롭게 평가하고 비교한 구체적인 사례들을 들어
가치판단과 비교평가가 우리에게 많은 결과의 차이를 낸다고 설명해주셨습니다.
임장지, 임장지 내 각 생활권, 그리고 각 개별 단지를
제 3자에게 설명할 수 있을 만큼 몰입해서 앞마당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투자의 본질은 역시 '가치 대비 싼 것'을 사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선입견을 깨고, 현재가치(입지+선호도) 뿐만 아니라
미래가치도 알아야 한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그래서, 임장과 임보의 기본이 중요하고 그것에 집중해야 한다고 느꼈습니다.
수도권을 각 권역별로 묶어서 투자전략을 설명해주셨는데요.
각 권역의 특징을 알고,
권역별 투자 시 유의할 점 등을
꼭 적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 상급지 갈아타기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주바다님의 강의를 늘 기억하고
강의교안을 여러번 재독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긴 시간 좋은 인사이트 나눠 주신
제주바다 멘토님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