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24년 6월 돈독모 절치부심] 자본주의 독서후기

  • 24.06.12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자본주의

저자 및 출판사 : 김남전(펴낸이) , 가나문화콘텐츠

읽은 날짜 : 24.6.8 ~ 12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빚 #금융 #소비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9 



1. 저자 및 도서 소개 

 :본 도서는 EBS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영상을 책으로 펴낸 것으로 금융자본주의 시대에 꼭 알아야 할 돈에 관한 진실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인류의 역사 500만년을 하루 24시간으로 환산했을 때 자본주의가 출현한 시간은 23시 59분56초. 자본주의의 사전적 의미는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자본이 지배하는 경제체제'이다 아담 스미스의 국부론에 묘사된 자유로운 시장경제체제, 즉 자본주의에 우리는 지금 살고 있다. 우리는 과연 자본주의를 제대로 알고 있을까? 역사가 교환경제에서 자본주의 경제로 이행하면서 무엇이 나타났고 무엇이 사라졌을까? 자본주의의 작동원리는 무엇이며, 경쟁은 어디에서 생겨났는가? 인류가 경험했던 그 어느 체제보다 엄청난 부의 생산능력을보여준 자본주의 세상에서 우리는 모두 행복한가?에 대한 시사점을 던진다.


 

2. 내용 및 줄거리

 : 본 도서는 자본주의 역사와 원리 그리고 자본주의의 미래에 대해 다섯 개의 목록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자본주의의 비밀에 대해 설명하는데 과거부터 현재까지 은행이 어떻게 돈을 만들어 내는지, 그 결과 물가가 어떻게 영향 받는지 설명하며 자본주의의 역사와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두 번째로 현 시대에서 우리가 반드시 스스로 금융에 대해 공부해야 하며 은행이 결코 우리를 위한 공공기관 같은 곳이 아님을 말해준다.

다음으로 소비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소비는 우리가 어릴 적 부터 길들여져온 결과이며 기업의 마케팅에 의해 좌우 된다고 한다. 인간에 대한 심리를 분석해 소비와 연결 시켜 더 많은 소비를 하도록 부추기고 있다. 자본주의로 인한 잉여생산물을 해소하고 더 많은 돈을 만들어 내 자본주의를 부양하기 위함이라고 말한다.

네 번째 목록에서는 자본주의 철학에 대해 설명하는데 애덤스미스,마르크스, 케인스, 하이에크의 철학을 시대에 따라 순서대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우리 자본주의가 나아가야 할 미래에 대해 제시한다. 그것은 복지자본주의로 현대 자본주의가 낳은 양극화, 불평등, 빈부격차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라고 말한다. 자본주의라는 경쟁체제에서 복지라는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고 더 많은 사람들이 생산적이고 행복하고 살 수 있도록 보장해야한다고 말한다.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자본주의 세상에 살아가고 있으며 투자를 공부하는 입장에서 자본주의 원리와 역사에 대해 공부하는 것은 분명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돈의 역사는 반복된다고 한다. 자본주의가 흘러온 방향을 알고 현재 시장의 흐름을 살피며 미래에 대해 생각하고 있으면 대처하기에 훨씬 수월할 것 같다. 그리고 자본주의의 원리를 통해 내가 왜 투자를 해야 하는지 이해할 수 있었고, 올바른 투자를 이어나간다면 10년, 20년 뒤 내가 돈을 벌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었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p52,64 그림

=> 자본주의 시대에서 돈이 어떻게 생기는지, 이자는 어떻게 생기고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었음.

전세레버리지 투자가 얼마나 좋은 투자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 있었다.



p76 은행은 돈이 없는 사람들에게 대출을 해주면서 계속해서 자신의 상품을 팔아야 했던 것이다.

=> 23년 특례보금자리론, 24년 신생아특례대출처럼 DSR을 우회하는 대출이 계속해서 생겨나는 상황에서 앞으로의 부동산 시장의 미래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음.


p157 우리가 금융전문가라는 사람들의 말을 무조건 액면 그대로 믿을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금융상품에 투자하고 그것으로 돈을 벌기 원한다면 우리도 공부를 해야하고, 그것의 함정과 숨어있는 이면을 보기 위해 안목을 키워야 한다.

=> 흔히 은행원, 투자회사 사람들을 금융 전문가라고 생각하기 쉽다. 나도 그렇게 생각했었고, 내게 손해가 되는 일을 추천할 리 없다고 생각했다. 주변에 은행원인 친구들조차 '투자'에 대해 무지한 경우가 많은 것을 보고 직장이 은행인 것과 금융을 공부한 사람과는 다르다는 생각을 했다. 본문도 우리가 금융에 대해 지식을 쌓고 스스로 판단하는 안목을 기를 것을 권한다.


p173 실제 투자할 나이가 되면 재교육이 필요하며 여기엔 투자의 위험성에 관한 것도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

금융자본주의 사회에서 금융에 대해 모르는 것은 총 없이 전쟁에 나가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살아남기 위해서는 아이와 부모가 함께 금융교육에 관심을 기울이고 적극 참여해야 한다

=> 살면서 결혼 전까지 부동산에 갈 일은 열 손가락도 되지 않는 사람이 대부분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결혼 후 우리는 교육을 받고 부동산을 구매하지 않고 지인의 추천 혹은 부동산 중개업자의 추천에 의해 집을 매매한다. 이것이 얼마나 위험하고 자산을 위험에 빠트리는 행동인지 알게 되었고, 투자 공부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었다.


p186 금융상품 판매자들에게 제대로 설명해달라 모르겠으니 다시 설명해달라 말하는 것이 필요하다.

=> 내가 잘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말하는 것이 부끄러웠고, 내가 잘 모르는데 잘 아는 사람이 추천하는 것을 거절한 용기가 없었다. 하지만 본문처럼 내 자산이 걸려있는 선택인 만큼 당당히 요구할 권리가 있고 모든 선택은 스스로 해야 함을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 있었다.


p374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생산적인 복지이며 약자들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건강한 복지다.

=> 자본주의를 더 오래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복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복지가 필요하다 생각하고, 현재 너나위님이나 여러 월부선배들처럼 다른 사람들을 위해 무언가를 전달해 주는 사람이 되고 싶다.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 102 (전자책인 경우 전자책이라고 작성 부탁드립니다😊)

: "무엇에 손을 대면 안 되는지 모르고 덤비다간 손가락이 잘리기 십상이죠. 조심해야 합니다. 금융 시장의 구성요소에 대해 전혀 모른 채 금융 시장에 가도 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화를 자초하는 일입니다. 특히 쉽게 돈을 벌 수 있다고 생각하면 더욱 그렇죠. 불행히도 금융 열기로 인해 사람들은 아주 쉽게 돈을 벌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럴 때는 매우 경계해야 합니다. 불행히도 많은 사람들이 돈을 그냥 가져올 수 있는 것처럼 보일 때 금융 시장에 들어가죠.

함정이나 위험에 대해 배우는 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리고 너무 많은 사람들이 금융으로 돈을 버는 모습이 보인다면 뭔가 잘못된 것이고 곧 무슨 일이 터질 겁니다.


=> 금융 투자의 위험성과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혹시 동료분들은 부동산 투자 혹은 다른 투자에서 열기를 띈 시장에 뛰어 들었던 경험이 있었나요? 있었다면 그때를 복기하며 어떻게 대처를 했어야 하는지 생각해보고 없었다면 앞으로 상승장이 왔을 때 경계하기 위한 계획이나 생각을 공유해봅시다.


6.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돈의 속성

자본주의 원리와 역사를 알고 다시 읽어 본다면 돈의 속성에서 말하는 돈을 어떻게 다뤄야 하는 지에 대해 더 공감할 수 있을 것 같다.



댓글


아몬드
24. 06. 13. 00:39

영상으로만 보고 책은 아직 읽어보지 못했지만 자본주의 세상에 살면서 한번도 생각하지 못했던 내용에 대해 알려주는 내용이라 좀 충격적이었어요. 시간 내서 책으로도 다시 한번 읽어봐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