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경험담

새로운 지역을 빠르게 배우는 투자자의 3가지 습관

  • 23.10.07


안녕하세요.


본질에 집중하는 투자자★

경제적 자유를 향한 너와 나의 여정기 입니다.



새로운 지역을 가더라도

지역을 이해하는 속도가

유독 빠른 동료분들이 있었는데요.


그런 분들은 지방, 수도권 할 것 없이

새로운 지역을 가기 전에 반드시 하는

3가지 습관이 있었습니다.


이 습관은 새로운 지역을

빠르게 익히는 것을 넘어


투자와도 연결되는 행동이

되는 것 같습니다.


그럼 3가지 습관을

같이 알아볼까요?



1. 호기심 갖기


새로운 지역을 가기 전

반드시 하는 것이 있는데요


그것은 바로

지역의 궁금점을 갖는 것입니다.



나는 특별한 재능이 없다.

그저 호기심이 많을 뿐이다.

-아인슈타인-



호기심은 무언가를 탐구하게 하는

힘이 됩니다.


호기심은 우리가 이미 아는 것

알고 싶어 하는 것,

그 사이의 간극입니다.



호기심을 갖는 방법은

내가 아직 모르는 것이 있다는 것을

아는 것에서 부터 시작됩니다.


즉, 알고 싶어하는게 생기면

호기심은 자연스럽게 생기게 됩니다.


저는 이런식으로

지역에 대한 호기심을 키우고 있습니다.


#1 나무위키


생각보다 나무위키에는

투자와도 연결되는

다양한 정보들이 많이 담겨있습니다.


아래는 고양시의 나무위키

검색 결과입니다.



이처럼 "시내간다"라며



일산호수공원 일대에 여러 쇼핑몰과

상권들이 위치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상권의 규모가 클까?"


"사람들이 선호하는 상권일까?"


"그럼 일산호수공원 인근의 단지들이

높은 가격을 형성할까?"


등등



다양한 생각의 꼬리를 만들어

호기심을 키워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호기심들은

어떤 것들을 확인하면 좋을지

알려주기 때문에

임장을 할때도 큰 도움이 되는데요.



위 사진처럼 실제 임장해보니

일산에서 호수공원 인근의 환경에 대한

니즈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킨텍스, 라페스타, 원마운트와 같은

다양한 시설뿐 아니라

유동인구가 많다는 지표인

스타벅스의 개수도 압도적으로 많네요 :)



실제 단지를 비교하더라도

일산의 대표 학군지인 후곡학원가 옆의

후곡9단지 LG라는 단지보다

호수공원을 마주보는

문촌16단지 뉴삼익의 가격이

항상 높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유튜브


요즘에는 유튜브에도

지역을 소개하는 영상들이 다양합니다.



"xx지역 지역소개"

라고 검색하면 다양한 영상들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1~2개 영상이라도

빠른 재생으로 본다면

실제 임장하고 지역을 이해할 때

큰 도움이 됩니다.


이런 질문을 갖고 계신 분도

계실 수 있을 것 같아요.



"투자하려고 왔는데

지역과 왜 친해져야 하나요?"



아파트 투자에서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곳"

파악하는 것인데요.


지역에 대한 이해가 기반이 된다면

거주민들이 좋아하는 곳이 어디고

그 이유가 어떤 것인지

보다 쉽게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아직 지역을 떠나기 전이라면

호기심을 키워보시면 어떨까요? :)



2. 핵심 거주가치 파악

(3시간의 기적)


지역에 대한 궁금증을 가졌다면

이를 토대로 해볼 수 있는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어떤 이유 때문에

이곳에 사는지를 고민해보는 것인데요.


즉, 핵심 거주가치를

파악해보는 것입니다.


임장 하기 전날,

단 3시간만 투자하셔도

충분히 의미있는 생각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들 참고)


|


위성지도, 상권의 위치, 학원가의 위치,

맘카페, 동별 인구비율 등등을 미리 확인하고

이 지역을 거주하는 이유를

고민해보시길 바랍니다.


아직 임장을 하기 전이기 때문에

너무 정답을 찾으려고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시 일산 서구의 지도

돌아오겠습니다.


.


다시 한번 지도를 보니

눈에 띄는 입지 요소들이 있는데요.


1) 지하철 역(교통)

2) 학군(후곡학원가+중학교 학군)

3) 환경(호수공원, 라페스타, 대형마트 등)

4) 직장(EBS, 킨텍스 등)


여러 요소들이 보이는데

이러한 요소들이 거주하는 이유들이

될 것입니다.


어떤 요소가 거주민들이 거주하기 위한

핵심 거주가치인지를

사전에 고민하고 임장하시면 좋습니다.


아래에 간단하게 입지요소들의

데이터를 빠르게 확인하는 방법을

넣어두었습니다.


이런 입지요소들을 확인하고

내가 가는 지역에서 사람들이

어떤 요소를 가장 선호할지

고민해보시길 바랍니다.


#0 입지 등급

전국입지등급 정리(멤생이님)

높은 입지 등급이 무엇인지 보고

어떤 이유로 거주할지

고민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 세부 입지요소를

확인해봅니다.


#1 직장


(1) 수도권 직장 지도(타격대아가씨님)

수도권이라면 어디가 일자리가 많은지

일자리 지도를 통해 간단히 확인해봅니다.



(2) 주요 직장 위치(클릭 후 접속)

서울(그린아이님)

경기도(란별님)

인천/부산(썸머제이88님)

대구/대전(골드트윈님)

광주/울산(위모님)

충남/충북(킴나두님)

경남/경북(계란님)

전남/전북(홍영기님)

강원/세종(훌륭해맨님)


카카오맵 위에 주요 직장이 뜨니

한눈에 직장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3) 중소도시 주요 직장(레잉님)


중소도시의 주요 직장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교통


(1) 교통 수단 확인 [엔티제이님]


어떤 교통 수단을 통해

직장으로 출퇴근을 많이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통 수도권은 지하철 혹은 버스,

지방은 자차 비율이 높은데요.


하지만 지역별로 상이한 부분이 있기에

주요 교통수단을 다시 한번 확인합니다.



(2) 지하철 승하차 인원(웰뜨님)


역들의 승하차 비율을 통해

역세권의 중요도를 알 수 있습니다.




#3 학군


(1) 전국 중학교 학업성취도(스톡데일님)



중학교 학업성취도를 확인하여

좋은 중학교가 얼마나 있는지

빠르게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2) 전국 고등학교 순위(프메퍼님)


학업이 뛰어난 고등학교가

지역 내 있는지도 확인해봅니다.



#4 환경


(1) 전국 백화점 수(캐논님)



백화점의 유무, 위치, 갯수를 확인하고

나아가 매출액까지 확인해서


지역 내 사람들이 선호하는 환경

어디에 위치하고

지역민들의 소비력은 얼마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지방 환경요소 - 구글지도(연나루님)


지방도시의 백화점, 스타벅스, 대형마트

등등의 위치를

한눈에 파악해볼 수 있습니다 :)



(3) 전국 상권 순위(여정기)



백화점 매출 뿐 아니라

상권의 매출을 통해,


어느 상권이 사람들이 가장 많이

소비하는 곳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3. 정석대로 빼곡하게


사실 우리는 1달이라는 짧은 시간동안

그 지역을 사는 사람들보다

더 많이 지역을 이해하게 됩니다.


처음 공부를 시작하고 놀랐던 건,

20년 넘게 그 지역에 산 사람보다

월부의 선배님들의 지역에 대한 이해도가

훨씬 높은 것이었는데요.


1달이라는 짧은 기간이지만

치열하고 고민하고

정석대로 돌아다닌 것이

그런 결과를 만든다는 것이

정말 놀라웠습니다.


돌이켜보니 역설적이지만

지역을 빠르게 배운 사람은

1달이라는 기간에

엄청난 인풋을 넣은 투자자였습니다.



1달이라는 기간동안

정말 제대로 지역을 뽀개야 합니다.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30일이라는 기간을

그 지역에 가서 임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적으면 몇천만 원, 많으면 몇 억의

수익을 얻기 위함입니다.


30일 동안 지역을 제대로 파악하고

나중에 투자로 이어지고

1억이라는 수익난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1억을 30일로 나눈다면

하루에 330만 원의 가치를 내는

엄청난 일을 하는 것입니다.


만약 1달이라는 기간동안

하루하루를 정석대로 쌓아간다면

330만 원을 번다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누가 330만 원을 준다고 하면

하루동안 정말 열심히 일하지 않을까요?:)


차곡차곡 쌓아가는 하루가

330만 원이라는 가치가 될 수 있도록

오늘 하루도 열심히 보내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도 꼭 그렇게 하겠습니다^^


오늘은 지역을 빠르게 이해하는

투자자들의 3가지 습관을 알아보았습니다.



[지역을 빠르게 이해하는 방법]

1) 호기심 갖기

2) 핵심 거주가치 고민하기

3) 많은 인풋을 넣기



어느 덧 찬 바람이 불어오는

가을이 찾아왔습니다.


이제 3달 뒤면 연말이라는 사실에

시간이 참 빠르다는 생각도 드는 것 같아요 :)


2023년을 돌아보았을 때,

연초보다 성장한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기를 바라며


오늘 하루도 멋지게 쌓아가실

여러분들을 응원합니다.


화이팅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와 댓글 부탁드려요 ♥



댓글


아나틀리에user-level-chip
23. 10. 07. 05:46

좋은 정보를 정리 잘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지승아user-level-chip
23. 10. 07. 06:45

첫날 좋은 글 읽고 시작하네요ㅎㅎ 감사합니다

미라클짱가user-level-chip
23. 10. 07. 07:11

지금 딱 필요한 정보를 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1. 호기심 갖기(나무위키, 유튜브) 2.핵심 거주가치 고민하기 3.많은 인풋 넣기 실준반 자모님 강의에서도 나무위키 얘기가 나왔었어요. 이번 분임이 아직 결정되진 않았지만 나무위키 꼭 찾아보고 가겠습니다. 배울 게 엄청나게 많은 걸 또 한 번 느끼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