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임장을 여행처럼 가는 새여매입니다 ^^
신도시투자 강의지만
신도시 + 경기도를 전체적으로
아우러 주시는
1+1의 알찬 강의 입니다.
2주차는 양파링 멘토님께서 강의해주셨습니다.
멘토님은 상승장을 겪기 전 부동산
봄, 여름, 가을 겨울 시장을
겪으며 투자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이
무엇인지
언제 어떤 아파트를 사야하는지를
다~ 풀어 주신다고 해서
기대감이 가득합니당 ^^
2강 후기 들어가겠습니다.
너무도 좋은 곳
p지역과, s지역의
입지요소와
투자포인트를 중심으로
설명을 해주셨습니다.
여전히 기회는 있습니다
요즘 기사며, 분의기며 반등해서
매수할 수 있는 곳이 있을까?
다 날라 간거 아니야
생각이 들었었는데
멘토님은 중요한건
내가 아는 투자처를 늘리는게 중요하고
기회가 있을 곳을 알아보라고 하셨습니다
어느 시기에도 내돈으로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맹목적으로 서울투자만 기다리기보다
서울만큼 좋은 수도권에 투자처가 있으며,
가치를 알고, 어떤 요소가 반영되었는지를
아는게 중요하다고 합니다.
우리가 땅의 가치를 판단할때
일자리, 교통, 학군, 환경 요소가 있고,
그안에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에 대한 부분도
설명해주셨습니다.
앞으로 변화가 일어나며, 가치가 상승 할 곳도
눈여겨 봐야할 곳으로,
아파트 가치를 결정하는 요소임을
알게되었습니다.
p지역과 s지역은
기본적으로 사람들이 좋아하는
변하지 않는 입지요소가 있고,
변화가능성이 있는
입지 개선될 요소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이슈,
개발호재 등
지금도 서울만큼 좋은 지역이고,
앞으로 더 좋아질 곳으로 보여집니다.
충분히 땅의 가치가 높은 지역으로
덜 오른 가격, 저렴한 가격으로 살 수 있는 기회임을
알게 되었으며, 관심갖고 지켜봐야겠구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소형아파트 투자해도 될까요?
소형평수 역시 상승하였고,
아직 투자금이 적게 들어가지 않기에
다른평형과 비교는 필수 입니다.
비슷한 투자금이라면
소형보다는 큰평형을 선택해야합니다.
구축전세는 전세상승분을 받을 수 있을지
많이들 궁금해 하시는 부분인데
구축전세도 신도시안에 인프라를 누릴수 있으면
실사용가치 만족도가 높아서
구축이지만 전세가도 오르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구축은 전세상승분을 받기가
어렵다고만 생각했었는데
선호하는 단지인지를 파악하는게
더 중요하구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후순위 생활권에 투자해도 될까요?
이 단지를 살 수 있는 돈으로 다른거 살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결국 투자의 마지막은 내가 얼마 들고 있지?
이 투자금으로 어디를 살 수 있지?
신축이라는 이유로 다른지역과 비교하지 않고
매수하면 안된다고 하셨습니다.
반드시 다른 지역과
비교하고 선택을 해야합니다.
내가 가진 돈으로 가장 좋은것을 사기위해
내가 아는 단지에서
치열하게 비교를 하고 결정해야하는
노력을 기울여야겠습니다.
(인생 최대쇼핑인데…치열하게 사야지요)
단점이 있는 단지도 투자해도 될까요?
상승장 이전 많이 했던 민감했던 고민들이
상승장을 겪은후 가격변화 결과는
금액 차이는 있었지만 상당히 올랐습니다.
구조적 단점만 보지말고
가치적인 부분을 잘 판단해서
가격이 싸다면 매수를 고민할 수 있음을
알게되었습니다.
재건축/리모델링 예정단지투자해도 될까요?
사업성과 시장분의기를 알아야하고
빨리 진행되지 않을 수도,
중간에 변수가 생길 수 도 있음도
알고 들어가야 합니다.
p지역과 s지역은
재건축, 리모 이슈가 있다고
전세가가 낮지 않고,
오히려 인프라가 좋아서
전세가가 견고한 편이라고 합니다.
충분히 싸게 사고, 전세가 회수가 적다해도
운용 가능한지 확인후 투자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재건축,리모 단지들이 낡고, 전세가가
낮을거라는 인식보다 임장을 통하여
단지의 가치를 알고, 선호도를 파악하여
전세상승이 더디더라도 내가 무리가 되지 않으면
투자할 수 있구나 알게 되어서
무조건 제끼기 보단 의미있는 단지들은
지켜봐야겠습니다.
투자한사람
시장 분의기에 힘이 빠지고
기죽을 필요 없이
목표를 생각하세요
조급한 마음을 내려놓고,
꾸준히 앞마당을 만들며
결과물을 만드는 사람이 되야겠습니다.
투자는 늘 할 수 있음을 알려주신
양파링 멘토님 감사합니다.
댓글
새여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