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선착순] 실전준비반 - 단 한 번의 투자로 1억 버는 임장∙임장 보고서 노하우
권유디, 자음과모음, 코크드림, 너나위

권유디님 강의를 들으면서 나도 열심히 해서 권유디님 같은 때가 오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같은 지도를 보고 같은 곳을 가도 생각과 연결 짓는게 다르구나 생각했다.
실제 투자를 잘 하는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하는지 알 수 있어서 좋았고 신선했다.
특히나 투자금을 우선으로 가격을 먼저 보고 투자 가능지를 찾는 게 아니라 가치에 따라 쭉 나열한 후 내 투자금에 가능한지 아닌지 판단하는 게 신선했다.
1) 임장은 눈과 발로만 해야한다. 집에서 할 수 있는 것은 임장가서 하지말기
임장은 몇만보 걸었다. 어디까지 가야한다는 채우는 게 아니다.
임장가기 전에 미리 그 지역을 상상해본다. 지도만 봤을 때는 여기가 더 좋은 것 같은데, 산이 있네 평지가 있네 상상과 예측한 것을 확인하러 가는 게 분임이다.
예) 고양시 덕양구: 논밭 > 빈 땅이 많구나 > 아파트를 새로 지을 수 있구나 > 입지독점성이 없네
서울시 서대문구: 중심부구나 빡빡하네 > 입지독점성 있겠다. / 3개의 산을 끼고 있구나 > 산과 산을 지나는 3호선 언덕이겠구나
느낀점: 아무것도 모르고 임장만 하는 건 운동밖에 안 된다.
BM: 분임을 가기 전에 미리 지도를 보고 상상해보는 게 필요하다.
2) 굵은선 - 신도시 아파트, 잔잔한선- 빌라
인구구성을 보고 1기 신도시인지 신도시인지 알 수 있음 > 10년 뒤에는 1기 신도시처럼 되겠구나 > 외곽이라면 서울 구축으로 바꿔야겠구나 까지 연결 필요
지적도를 보고 공업, 상업지역이 없네 > 베드타운이네 > 낮에 사람이 없겠네 > 교통이 중요하겠네
3) 임장: 지역을 익히고 입지를 파악하는 것
생활권: 비슷한 사람들끼리 사는 동네
분위기 임장할 때는 가격을 보지 않는다.
초보: 이 법정동에서 이 법정동으로 넘어갈 때는 이런게 달라지는구나
지도를 보며 언덕, 평지, 주택가 등으로 생활권을 구분
단지는 들어가지 않고 주변 상권의 분위기를 느껴야 함
4) 휴대폰은 루트볼 때만 보기
큰길 노란색 굵은 길 위주로 임장, 뒤돌아서 지금까지 온 거 3분정도 복기> 1번할 때 2번한 효과
구글 포토 사용, 상권 사진을 찍고 집에 갈 때는 지우기
지역이 어떤지 시세가 어떤지를 보고 아파트 단지 임장을 가는 것임
생활권별로 먼저 나누고 단지를 나눔 > 단지별 특징 & 선호도를 매김
사람 익히기: 의식을 가질 때 사람이 보임
주말 낮에는 사람을 봐야함
베란다를 보면 앎 예) A단지 주차 가관이겠네, B단지 주차 쉽겠다
이 단지 좋다 싫다가 아님 > 더 좋네 덜 좋네, 장, 단점을 정확하게 파악해야함
느낀점: 여기는 살기 싫다가 아니라 투자자로서 바라보는 시선이 필요함
BM: 연식 대비 관리가 잘 되고 있구나, 언덕에 있지만 중학교가 있어서 10대가많구나 등등 눈으로 본 것을 토대로 장 단점 연결짓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