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를 시작하지 못해서 불안했는데

어제 광복절 휴일을 맞아 1주차 강의 완강을 했다..!!

 

강의를 들으면서 막막했던게 조금 가닥이 잡히니 

엇, 나도 할 수 있겠다 두근두근거리기도 하다가

아, 좀 일찍 준비 할 수 있었다면… 하는 아쉬움의 마음도 들었다가

꼭, 1~2년 내엔 내 집 마련하리라 하는 다짐으로 마음을 다잡았다.

 

 

[내가 기억하려고 적어두는 메모]

 

  • 앞으로 1~2년 이내, 무조건 집 산다!를 목표로 리스트 정리하고 업뎃하기

     

  • 대충 가격이 저렴하다고 판단 할 수 있는 시기

    PIR 12 이하 - 낮을수록

    전세가율 60% 이상 - 높을수록

     

  • 매수 후 추가 하락시 당황X(부동산 이해하고 있을 것)

    결국 돈의 가치 하락, 부동산은 오른다(우상향)

  • 매수 후 추가 하락시 버틸 수 있는 수준의 대출(재정적 체력)

    끌어모으면 못 견딤, 절대 무리해서 대출X, 영끌은 영끌의 시기가 따로 있음

     

  • 신용대출은 전세가가 확실히 오를 때를 보고 하는 것

     

  • 협상(네고) 

    무조건 깎는거X, 상대가 원하는 것 줘야함

     

  • 본능보다 머리로

    내가 원하는 주거 환경보다 사람들이 원하고 찾는 곳

    (서울과 가까운 곳, 이왕이면 서울)

     

  • 교통 > 환경 (ex. 흑석동 청호아파트)

     

  • 전세가의 움직임을 볼 수 있어야 함(역전세 대비 크게 욕심내지 않기)

      전세가에 영향을 주는 요소(3가지)

      1. 공급(입주물량)

     2. 금리(전세대출)

     3. 가격(낮으면 상방, 높으면 하방)

 

     변동폭 / 매매가>전세가>물가 

 

  • 전세 빠지면 매매도 빠짐

    강동구, 동대문구, 광명시 - 앞으로 입주 多

    매매호가 낮게 나올 수 있음

     

  • 24년 8월 현재 공급과 금리 상황

    공급: 현재 착공 물량 등 감안하면 향후 4년이 가장 적음

    금리: 급격한 변화는 당분간 어려움

    → 지금부터는 공급이 전세가에 가장 큰 영향을 줄 것

         기회 살리려면 공급 많은 곳 매매-전세 조사하기

         (눌림목, 움푹 패였을 때 최선의 선택을…!)

 

  • 갈아타기는 무조건 앞으로(상급지)

 

<종잣돈별 거주/보유분리 가능지역>

2억 이상 : 서울

1억 이상 : 경기 1기 신도시 이상 지역

1억 미만 : 저축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걸 하자

내 수준에서 최선의 것으로

시장서핑 꾸준히, 행동하기

 

 

전세가 움직임 부분 강의 다시 듣고 이해하기

청약점수?

내 종잣돈 파악하기(종잣돈: 보유현금+전세금-임차보증금(전세대출고려))

적정대출액: 저축액 ⅔ ≥ 월 대출 상환액

 


댓글


요를레
24. 08. 19. 00:44

강의를 엄청 잘 들으셨네요!! 정리까지 대단하셔요~ :) 1주차 과제 마감까지 시간이 더 남았으니 조금 더 힘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