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나눔방

미국 9월 금리 인하 기정 사실화? (소비자물가, 고용지표, 실업률, 연준)

24.08.16



소비자물가, 고용지표 등 각종 지표를 보면

9월 미국 기준금리가 인하될 것이

유력하다고 하는데 왜 그런 것일까

궁금했다면 이 글을 읽어주세요!!!

 

 

 

 

작성일 : 2024. 8. 16.(금)

 

 

안녕하세요, 허씨허씨입니다.

 

 

미국 기준금리가 인하된다는

의견이 기정사실화 되고 있습니다.

 

 

왜 기준금리 인하를 기정사실화로

예상하고 있는지 궁금하시죠?

 

 

몇가지 지표를 통해

사람들이 예상하는 이유를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기준금리 #기준금리 #연준

#금리인하 #기준금리인하 #FOMC

#FED #미국연준 #파월 #제롬파월

#실업률 #소비자물가지수 #나스닥

#다우지수 #다우 #S&P500 #월마트

#미국주식 #고용지표 #실업수당

#소매판매 #소비자물가지수 #미국물가

#한국은행 #연준위원 #CPI

#금리인하영향 #금리인하주식

#금리인하전망 #금리인하채권

#대출금리인하 #미국금리인하영향

 

 


 

 

1. 미국 기준금리

 

 

 

미국의 기준금리는

흔히 연준이라고 부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통해

지역연준과 협의 하에 결정된다고 합니다.

 

 

약 6주마다 연 8회

정기적으로 회의를 개최하며

필요 시 수시로도 개최한다고 하네요.

 

 

미국 연준에서 발표하는 기준금리는

전세계 자산가치 변동에 영향을 주기에

아주 중요한 경제지표라고 합니다.

 

 

실제로 미국 금리 인상 소식에 따라

주식 시장, 한국은행 금리, 부동산 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걸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현재 시점의

미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는 몇%일까요?

 

 

 

네 바로 5.5%인데요.

 

 

 

2022년 1월 0.25%였던 기준금리가

계속해서 오르더니 2023년 7월에

현재 기준금리까지 인상되었습니다.

 

 

약 1년 가까이 유지되고 있는 금리입니다.

 

 

 

그렇다면 2년이 넘도록 인상 또는 보합의

기조였던 연준 기준금리

인하 소속이 나온 이유는 무엇일까요?

 


 

 

 

2.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경제지표 개선

 

 

기준금리를 올렸던 큰 이유 중 하나는

물가를 잡기 위해서였는데요.

 

 

이틀 전 미국 노동통계국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3년 4개월만에 처음으로

2% 대로 내려 앉았다고 합니다.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9.1% 상승률로 정점을 찍은 후

꾸준히 둔화되고 있었는데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줄었지만

주거비 상승폭은 다시 커졌다고 합니다.

 

 

주거 물가가 인플레이션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기에 이번 실적 발표를

약간 아쉽게 느끼는 전문가들도 있다고 하네요.

 

 

 

경제 회복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인

소매판매 역시 시장 예상을 웃도는

상승폭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소매판매 증가율이 1% 이상을

기록한 것도 약 18개월 만이라고 하네요.

 

 

 

미국 대표적인 필수 소비재 기업

월마트 역시 시장 예상치를 뛰어 넘는

호실적을 내놓았는데요.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8%나 증가했다고 합니다.

 

 

물가와 관련된 지표들이

개선되고 있는 점이 고무적이네요.

 

 


 

 

 

3. 고용지표 개선

 

 

 

미국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수가

예상치를 밑돌며 감소했다고 하는데요.

 

 

이번주 신규 청구자수는

22.7만명으로 직전주보다

7천명 감소했다고 합니다.

 

 

 

2주 연속 줄어든 고용지표에

시장은 빠르게 반응하고 있는데요.

 

 

8월 15일 광복절 당일

뉴욕증시는 큰 폭 상승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소비지표 개선과 함께

고용지표마저 개선되니

시장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다만, 실업률을 주목하는

전문가들의 의견도 많았는데요.

 

 

지난 7월 미국의 실업률이 올초 대비

빠르게 상승한 것으로 확인하자

패닉성 급락세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오는 9월 6일 8월 취업자수와

실업률이 공개된다고 하는데요.

 

 

 

 

연준 역시 미국 실업률 결과를

주목하고 있기 때문에

9월 6일을 우선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다음 FOMC 회의는

9월 17일 ~ 18일에 예정되어 있습니다.

 

 

잘하면 0.5%P 인하 되는

빅스텝도 점치고 있으니

미국 기준금리 관련 실적지표와

뉴스를 면밀하게 살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오늘은 미국 기준금리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많은 분이 금리 인하 소식에

관심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9월 연준에서 기준금리 발표를 하면

후속 글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글은 꼭 보셔야 합니다! 월부 BEST 글>

 

현금 2-3억 있다면 여기로 가세요.

제2의 마포가 될 겁니다. (+인기 아파트 가격 정리본 제공⭐️)

 

▼아파트 리스트 바로 공개▼

https://link.weolbu.com/3SCPTSN

 

------------------------

 

월급쟁이부자들은 월급쟁이들의 내집마련과 행복한 노후를 돕습니다.

원하는 목표 꼭 이룰 수 있도록 월부가 함께 하겠습니다.

 

 

 

#미국기준금리 #기준금리 #연준

#금리인하 #기준금리인하 #FOMC

#FED #미국연준 #파월 #제롬파월

#실업률 #소비자물가지수 #나스닥

#다우지수 #다우 #S&P500 #월마트

#미국주식 #고용지표 #실업수당

#소매판매 #소비자물가지수 #미국물가

#한국은행 #연준위원 #CPI

#금리인하영향 #금리인하주식

#금리인하전망 #금리인하채권

#대출금리인하 #미국금리인하영향




댓글


허씨허씨creator badge
24.08.16 13:35

미국 9월 금리 인하 기정 사실화? (소비자물가, 고용지표, 실업률, 연준)

아오마메
24.08.16 13:39

오 너무궁금한부분이었는데 감사합니다!!!!

드림텔러
24.08.16 14:04

9월 금리 인하 소식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