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STEP 1 책의 개요
책 제목 : 몰입
저자 및 출판사 : 황농문/알에이치코리아
읽은 날짜 : 24.08.22
STEP 2 본 것
프롤로그
[몰입, 최고의 나를 만나는 기회]
p06. 아프리카의 초원을 거닐다가 사자와 마주쳤다고 하자. 이때는 이 위기를 어떻게 빠져나갈까 하는 것 이외에는 아무 생각이 없을 것이다. 이 상태가 바로 몰입이다. 몰입 상태에서는 한 가지 목표를 위하여 자기가 할 수 있는 최대 능력을 발휘하는 비상사태가 발동한다.
p.41 지속적으로 실천 가능한 페이스 찾기
마라톤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려면 자신만의 페이스를 지켜야 하듯 공부를 할 때도 각자의 상황에서 최적의 페이스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입시처럼 장기간에 걸쳐 최선을 다해야 하는 경우에는 자신만의 페이스를 찾아서 하루의 패턴을 만들고 이것을 반복해야 한다.
-깨달은 점-
우리가 하는 투자와 공부도 장기적인 목표이고 계획이다. 강의, 임장, 독서, 투자 모두 말이다.
단기간에 짜잔~할 수 있는 일이 아니기에 나만의 페이스를 찾아서 하루, 한달, 일년의 패턴을 만들고
반복해야 한다.
[분명한 목표를 정하라]
p. 44 어정쩡한 결론은 결국 어정쩡한 결과로 이어졌다.
[지금 하는 일이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일이다]
p47 사람들은 모두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은 이 능력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인생을 마친다. 각 분야의 정상에 있는 사람은 자신의 잠재력을 어느 정도 발굴해낸 사람들이다. 문제는 이런 잠재력이 절대 저절로 발휘되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자신의 능력으로는 도저히 불가능해 보이는 수준의 일을 강요받지 않으면 내 안에 숨어있는 능력은 영원히 빛을 못 볼 수도 있다. 잠재력을 끄집어내는 과정은 고통스럽지만, 한계를 뛰어넘어 잠재력의 발현을 경험하는 것은 살면서 느낄 수 있는 몇 안되는 소중한 순간일 것이다.
-깨달은 점-
나의 잠재력은 어디쯤 있는가? 월부라는 환경에 와서 도저히 할 수 없을 것 같았는데 조모임, 과제, 임장등 내 수준을 뛰어넘는 일들을 강요받으면서 조금은 해낼 수 있었다. 하나하나 완료할 때마다 그 과정은 포기하고 싶고 자본주의만 몰랐다면..싶었지만 조금씩 성장해나가는 경험을 해나가면서 나 또한 몇 안되는 소중한 순간들을 느끼면 지내고 있는 것 같다.
[후회하지 않기 위해 해야 할 일을 떠올려라]
p.51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 후회를 한다면 그것은 실패한 인생이다. 그렇다면 과연 어떻게 살아야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 후회하지 않을까?
[work hard에서 think hard의 패러다임으로]
p54. 지극히 현실에 순응하는 삶을 살면 그 순간은 편할지 모르지만 인생을 정리하는 단계에서는 후회를 하게 된다. 현실적인 어려움과 능력의 한계에 부딪히더라고 정말 중요한 문제, 그리고 꼭 해결해야 하는 주제를 선택해 최선을 다해 연구하면 후회가 없을 것이다.
P56. 자나 깨나 실험만 한다고 해서 우수한 연구 업적이 나오는 것은 아니다. 연구의 우수성은 그 문제를 얼마나 우랜 시간 집중해서 생각하느냐에 달려있다. 매일 열심히 일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하던 기존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머리를 쓰지 않으면 아무리 열심히 해도 그저 그런 결과밖에 얻지 못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자 나는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되었다. 열심히 일하면 남들보다 2배 이상 잘하기도 힘들지만 열심히 생각하면 남보다 10배, 100배 아니 1000배까지도 잘할 수 있는 것이다.
-깨달은 점-
지금까지 지극히 현실에 안주하며 살아서 아주 편하게 지냈지만 뒤돌아보면 후회할 것 같다. 내가 생각하는 정말 중요한 문제, 꼭 해결해야하는 주제는 무엇일까.. 노후..!!
노후문제가 지금 내가 꼭 해결해야 문제이다. 그래서 지금 월부에 있는 거고..
현실적으로 나에게 어려움이 많다. 나이, 체력, 센스, 종잣돈..등등 그럼에도 부딪혀도 나가야하는 나의 문제
노후..이것을 꼭 해결하도록 해야겠다. 나의 부족한 점들에만 초점을 맞추지 말고 내가 해결해나가야 할 것에 초점을 두고..열심히 생각하자!
[think hard의 발견]
p55. 이제 남은 문제는 어떻게 하면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느냐는 것이었다. 자신이 풀 수 없을 것 같은 문제라도 포기하지 않고 그 문제에 대해서 계속 생각하는 것이 자신의 두뇌를 최대로 활용하는 것이고 이런 방식으로 연구하는 것이야말로 자신의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는 것이라는데 생각이 미친 것이다. 그리고 의식이 있는 한 내 연구와 관련하여 풀리지 않는 문제를 생각하는데 모든 시간과 노력을 쏟아 붓겠다고 결심하게 되었다.
매일 열심히 일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하던 기존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머리를 쓰지 않으면 아무리 열심히 해도 그저 그런 연구 결과밖에 얻지 못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자 나는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되었다.
2장 본격적인 몰입을 시도하기 위하여
[천천히 생각하기의 중요성]
p93. 적당한 걱정이나 스트레스는 그 문제에 몰입하게 만들고 몰입된 상태에서 높은 문제 해결력을 보여주지만, 과도한 걱정이나 스트레스는 오히려 위기감을 조성하고 고통스러운 감정을 느끼게 한다. 이를 위해서 내가 추천하는 것은 slow thinking, 즉 천천히 생각하기이다.
[능동적인 몰입과 수동적인 몰입]
p187. 문제해결을 위하여 몰입을 할 때는 접근 방식이나 자세도 매우 중요하다. 사업을 하다가 부도에 쫓기는 것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느끼며 몰입하기보다는 열애를 하듯, 보다 능동적으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해야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즐거움을 원동력으로 하는 능동적인 몰입]
p.188 우리가 일상에서 가장 쉽게 경험할 수 있는 몰입 경험은 사랑에 빠지는 것이다. ‘열애는 곧 몰입’ 이라는 등식을 성립시켜도 어색하지 않을 정도다. 이걸 때는 오매불망 밤낮으로 연인에 대한 생각만 머릿속에 가득 차 있다. 바로 이런 몰입이 능동적이 몰입이다. 능동적인 몰입이란 이처럼 즐거움에 의해 빠져드는 몰입을 가리킨다.
[위기 상황의 스트레스에서 시작되는 수동적인 몰입]
p.189 일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의 몰입은 위기 상황에 처했을 때 다가온다. 이럴 때 우리는 위기 상황이라는 스트레스에 의해 수동적으로 몰입에 들어간다. 수동적인 몰입에서도 몰입에 의한 문제 해결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궁하면 통한다’고.
p.190"회사가 잘 돌아가면 사업하는 재미는 오히려 떨어지고 부도에 쫓기는 등 약간의 위기 상황을 경험해야 사업하는 재미가 있다" 위기 상황이라고 해서 언제나 고통만 주는 것이 아니라, 아이러니컬하게도 몰입의 즐거움을 동반한다는 사실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사람들이 모험과 스릴을 즐기는 원리와도 비슷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위기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동반하는 수동적인 몰입은 몰입 과정에서 겪은 괴로운 기억 때문에 위기 상황이 아니면 다시는 그 같은 상황을 반복하지 않으려 하는 속성이 있다.
[수동적인 몰입을 능동적인 몰입으로 전환하는 방법]
p. 191-192 쫓기는 사슴의 몰입과 쫓는 사자의 몰입은 분명히 다르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할 점은 의도적인 노력을 통해 수동적인 몰입을 능동적인 몰입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몰입에 들어간다는 것은 산만한 상태를 벗어나 고도의 집중상태로 접어든다는 것을 뜻한다. 몰입이 자율적으로 구현되면 더할 수 없는 기쁨을 느끼지만, 사자에게 쫓기는 것 같은 위기 상황에서 구현될 때는 지옥에 빠진 듯 고통스럽다.
충분한 시간을 두고 자율적으로 문제에 대한 몰입도를 올리는 방법이 바로 ‘ 천천히 생각하기’ 이다.
-깨달은 점-
난 지금 수동적인 몰입을 하는가, 능동적인 몰입을 하는가…
강의 초반에는 새로운 것을 알아가고 깨달으면서 재밌었다.
이전에 생각해보지 못했던 모든 세상의 원리가 자본주의와 연결되면서 참 재미있었다.
바로 능동적인 몰입이였던 것이다. 그런데 점점 그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해 안하던 것들을 해나가려다 보니 수험생들이 마지못해 공부하는 것처럼 점점 수동적인 몰입이 되어가고 있는 것 같다.
옆에 동료들의 능력있는 모습이나 나보다 잘해나가고 있는 모습들 등등에 나의 몰입도는 더 떨어져가고 수동적으로 가고 있다. 어떻게 하면 능동적인 몰입으로 바꿀 수 있을까..
책에서 말하는 충분한 시간을 두고 천천히 생각하기..
동료들의 모습이나 바뀌어가는 시장의 상황들, 정책들..
내가 어찌 할 수 없는 부분들을 가지고 조급해하거나 불안해하지 않고 느긋한 마음을 가져야겠다.
또한 그런 마음들이 올라올 때마다 ‘그럼, 지금 내가 어떻게 해야할지’ 를 시간을 갖고 의식적으로 천천히 생각하려고 한다면 어떻게 해야겠다는 것은 내가 선택하고 결정한 것이니까 좀 더 즐겁게 능동적인 몰입 속으로 들어갈 수 있을 것 같다.
6장 몰입에 이르는 다섯 단계
[1단계 생각하기 연습]
p.253 몰입을 시도할 때도 초기 몰입 단계의 워밍업이 필요하다. 일단 10분이고, 20분이고 차분히 앉아서 생각에 집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급선무이다. 먼저 충분한 사고 훈련을 하고 나서야 몰입을 할 수 있다. 몰입의 준비 단계로 20분 동안 한 문제에 대해서만 생각하는 연습을 충분히 해야한다. 하루에 20분간 생각하는 연습을 다섯 번 이상 한다.여기서 중요한 점은 문제를 푸는 것보다 20분간 생각하는 훈련을 하는 것임을 기억하자.
[일상 속에서 20분 생각하기 훈련]
p.256 우리는 머리를 잠시도 비워두지 않는다. 항상 무엇인가를 생각하고 있다. 사람은 한 시간에 2천 가지를 생각하고 하루 24시간 대략 5만 가지를 생각한다고 한다. 그래서 ‘오만가지 생각’ 이라는 말이 생겼다. 그러나 이것은 상념에 해당하는 ‘생각나기’ 이다. 이것은 내가 내 뇌의 주인이 되는 것이 아니고 의도되지 않은 상념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보다는 명확한 목표를 세우고 자신이 뇌의 주인이 되어 문제에 대한 해결을 향한 체계적인 사고를 하는 ‘생각하기’ 를 해야 두뇌를 활용할 수 있고 지고의 즐거움을 얻을 수 있다.
-깨달은 점-
내 뇌의 주인은 그동안 누구였는가?
의식의 흐름대로 생각하면서 행동하고 말하고 살아왔던 것 같다.
내 뇌의 주인은 내가 아니였다. 내꺼 인듯 내꺼 아닌..
앞으로는 의식의 흐름대로 생각하기가 아닌 내가 주도적으로 생각하는 생각하는 연습을 해야겠다.
STEP 3 적용할 점
나의 분명한 목표 노후문제임을 잊지말기
일상 속에서 의미 없이 버려지는 시간들(휴대폰)에 열심히 생각하는 연습하기
천천히! 열심히!! 내가 할 수 있는 일, 내가 해야 하는 일등에 집중하여 생각함으로
내가 할 수 없는 것들에 대한 초조함, 조급함, 불안함등 잠재우기
내 황금뇌의 주인이 되자!
댓글
어반그래니s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