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P1. 책의 개요
내가 읽은 책의 개요를 간단하게 작성해보세요
- 책 제목: 몰입
- 저자 및 출판사: 황농문 / RH Korea
- 읽은 날짜: 2024. 9. 1.
- 총점 (10점 만점): 10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몇 가지 핵심 키워드와 함께 내가 책 내용을 나만의 언어로 요약해보세요
#think hard #텅빈 시간이 없는 인생 살기 #원씽에 몰입하기 #말하는대로
#엔트로피법칙 #신경가소성 #창의성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책을 읽고 난 후 새롭게 깨닫게 된 점을 적어보세요
- 열심히 일하지 말고, 열심히 생각해라.
- 일을 위한 일, 그저 일 하기가 아니라 왜 이 일을 해야되는가, 필요한 일인가를 생각했어야 하는데 어느 순간 그냥 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모든 과정에 있는 것들이 무의미하게 느껴지고, 무성의하게 하는 경우가 있다. (예: 가족이 맛있게 먹게 하기 위함인데 그저 뚝딱 끼니를 준비해내는 것에 집중하고 먹는지 않먹는지를 신경 안쓴다던지…)
- 저항없이 그냥 사는 것은 텅빈 시간을 만든다.
- 인생에 텅 빈 시간이 많으면 후회가 많다는데 후회없이 살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생각하게 한다.
- 내 인생에 텅빈 시간이 많았다. 육아나 일이 힘들다고 생각하고 그냥 이것들이 다 끝나버리길(빨리 늙어버리길) 기다리던 시절이 있었다. 내가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다는 생각에 그저 시간을 죽이며 살았는데… 어느 순간 의식의 전환이 일어났다.
- 시간적인 자유를 위해 경제적 자유를 먼저 추구했는데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왜 이 공부가 필요한지 생각하고, 이것에 집중해야 몰입할 수 있을 것 같다.
- 내 의지로 태어난게 왜 살아야되나를 생각해본 적이 있다. 그런데 태어난 것에는 이유가 없는 것 같다. 그저 태어남으로 삶이 주어졌다면 그 삶도 그저 잘 살아내야하는 임무가 주어진 것 같기도 하다.
- 사는건 고통이다 > 고통은 극복하고 싶다 > 이 극복의 방법이 몰입인 것 같다. 몰입하면 깨닿게 되고, 나의 잠재력을 발견하게 된다. 그렇게 몰입하는 시간은 텅빈 시간이 아니기 때문에 무언가를 얻지 못해도 적어도 후회하지 않고 후련한 느낌일 들 것이다.
- 돈이 인생에 전부는 아니지만 돈에 끌려다니며 이런저런 고통을 겪는다. 끌려다니는 것이 아니라 끄는 법을 배운다면 돈으로 인한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고, 그러기 위해서는 돈 공부, 몰입이 필요하다. 많은 문제를 일으키는 이 돈에 집중을 해보는 것도 큰 의미가 있을 것 같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책 내용 중 내 삶에 적용하고 싶은 점을 작성해보세요. 적용할 점은 구체적일수록 좋아요!
- 일을 하면서 왜 하는가를 생각하고, 문제가 생기면 깊이 생각하기
- 핸드폰을 의식적으로 멀리하기
- 지금 단계에서 돈이 왜 필요한가, 투자하기 위해 임보와 임장을 왜 하는가에 대해 몰입해보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책을 읽으며 기억하고 싶은 ‘책 속 문구’가 있다면 적어보세요
- 자신의 능력으로는 도저히 불가능해 보이는 수준의 일을 하도록 강요받지 않으면 내 안에 숨어 있는 능력은 영원히 빛을 못 볼 수도 있다. 잠재력을 끄집어내는 과정은 고통스럽지만, 한계를 뛰어넘어 잠재력의 발현을 경험하는 것은 살면서 느낄 수 있는 몇 안되는 소중한 순간이 될 것이다.
- “참으로 중요한 일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은 그 생활이 단순하다. 그들은 쓸데없는 일에 마음을 쓸 겨를이 없기 때문이다.” - 톨스토이
- “지극히 현실에 순응하는 삶을 살면 그 순간은 편할지 모르지만 인생을 정리하는 단계에서는 후회를 하게 된다. 현실적인 어려움과 능력의 한계에 부딪히더라도 정말 중요한 문제, 그리고 꼭 해결해야 하는 주제를 선택해 최선을 다해 연구하면 후회가 없을 것이다.”
- 본능에 이끌리는 자연스러운 삶의 행로는 긑내 실패한 삶으로 귀결된다. 엔트로피 법칙에 따르면 우리의 습관은 내리막이기 때문이다.
- 문제를 설정할 때는 미해결된 문제 중에서 중요하고 핵심이 되는 것을 택한다. 매우 어렵지만 대단히 중요해서 그것을 푸는 것이 의미가 있어야 한다. 거기에 그 문제가 절실하게 느껴질수록 유리하다. 또 해결해야 하는 기간을 정해두는 것도 절실함을 자극하는 데 도움이 된다.
-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몰입을 시도할 경우에는 ‘어떻게 하면 되는가?’라는 물음보다는 ‘왜 그렇게 되는가?’ 하는 물음이 훨씬 더 절실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대체로 ‘왜’에 대한 답은 한 가지 원인으로 생각을 집중시켜서 수렴적 사고를 유도하지만, ‘어떻게’에 대한 답은 여러 가지 가능성을 열어두어, 집중을 분산시키는 발산적 사고를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 위대한 발견은 진정한 의미에서 우연히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우연한 영감에 의한 위대한 발견 뒤에는 그러한 영감을 얻을 때까지 오랫동안 피나는 노력을 기울인 사람들의 정성이 있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 어떤 일이건 목적이나 목표를 만들고 강화시키면 그 일의 의미가 생겨난다. 어떤 일이 나에게 의미가 있다면 그 일의 결과에 따라 나의 시냅스가 흥분할 확률이 높다. 그리고 그 결과 어떤 감정이 유도될 것이다. 임의로 설정된 목표에 가까워지면 즐거움을 얻고 목표와 멀어지면 부정적인 보상인 불쾌감을 얻는다.
- 신경가소성은 우리가 어떤 행동이나 생각을 하면 그 결과가 시냅스의 영구적인 변화로 이어져 종래에는 우리의 인격과 미래를 바꿀 수 있음을 의미한다.
- 자신이 해결하려는 문제와 친구가 되려고 하면서 긍정적이고 낙천적인 자세를 가지고 문제를 공략하는 몰입 활동을 추구해야 한다. 이처럼 긍정적인 자세를 갖는 것은 뇌과학 측면에서 봤을 때 베타엔도르핀을 분비하여 스트레스를 줄이고 행복감을 증가시킨다.
- 내가 살아있는 시간이 유일한 기회이고 이 삶의 기회를 잘 보내느냐 그렇지 못하느냐는 나한테 달려 있다. 서서히 다가오는 중음에 대하여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은 살아 있는 동안 가장 삶다운 삶을 사는 것이다. 죽음과 크게 다르지 않은, 살아도 산 것 같지 않은, 죽지 못해서 살아가는 삶이 아니라 죽음과 가장 반대되는 삶을 살아야 하는 것이다. 하루하루가 생동감 넘치고 삶의 희열로 꽉 찬, 그리고 작지만 내가 가진 모든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는 그러한 삶을 살아야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살아 있음이 나의 유일한 기회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