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행복을 꿈꾸고 만들어가는 "행복디자인"입니다.
지기반 4강은 권유디님께서
“A & B & C” 지역에 대한 요약정리와
“D & E” 지역에 대한 입지분석과 투자전략을 강의해 주셨습니다.
부드러운 목소리와 깔끔한 정리로 강의가 너무~~ 좋았습니다.
1강부터 ~ 3강까지 나왔던 지역들을 다시한번 정리해 주셔서 너무 유익했고,
지방은 공급에 따라 투자 시기가 크게 달라진다는 점을 배웠으며
각 지역에 대해 적절한 투자 시기, 투자 뱡항등 많애 배웠습니다.
*전세가와 매매가의 의미
-전세가는 살고 싶어하는 가치
-매매가는 갖고 싶어하는 가치라는 것을 강의를 들으면서 더 알게되었습니다.
-매매가와 전세가의 캡을 봤을 때
① 선호도 높은곳(지역, 연식 브랜드 등)의 아파트는 전세가율이 낮았는데
갖고 싶어하는 수요가 많은거구나를 알게 되었고,
② 선호도 낮은곳(지역, 연식, 브랜드 등)의 아파트는 지속적으로 전세가율이 높았는데
살고는 싶어하지만, 갖고싶지는 않는구나를 알게 되었습니다.
②의 단지보다 더 좋은 단지를 봐야겠구나를 알게되었습니다.
*흠이 아닌 본질에 집중하기.
-“흠집있는 비싼 외제차 vs 흠집없는 국산차”를 예시로
사람들은 흠집없는 국산차를 선택하지만
본질은 흠집있는 비싼 외제차가 좋다는 결론..
-LH나 부영아파트등 비선호 단지는 스쳐지나가듯 보았는데
이런 단지들도 본질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을 듣고
모든 단지들에 집중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어느 동네에 있는지, 연식은 어떤지에 더 집중하고
단지의 가치를 알면 부정적인 소식들을
오히려 기회로 생각하고 접근하도록 하겠습니다.
*투자프로세스
-유디님의 투자사례 경험을 통해 전체적인 흐름을 알게 되었습니다.
-시세트래킹(투자기회 포착) → 매수계약 → 전세계약 → 역전세 → 현재(보유)
-투자는 돈이 아닌 자산을 가지고 싸우는만큼,
배운대로 1호기를 진행해보겠습니다.
댓글
행복디자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