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제사 차례 지방쓰는 법 총정리!
(+ 뜻, 규격, 지방양식, 부모, 명절 )
작성일: 2024.9.12.
#지방쓰는법 #차례상 #추석차례상
#설날차례 #설날지방 #설날지방쓰는법
#추석차례 #추석지방 #추석지방쓰는법
#설날차례상차리기 #추석차례상차리기
#차례지내는방법 #제사상차림 #제사상차리는법
#부모지방쓰는법 #제사지방
#제사지방쓰는법 #제사지방양식
#아버지지방쓰는법
#아버지제사지방 #아버지지방
#어머니지방쓰는법 #부모님지방
#제사지방문 #부모지방
#설차례지방 #설지방 #설제사지방
#설명절지방 #한글지방쓰는법
#추석차례지방 #추석지방 #추석제사지방
#추석명절지방 #지방쓰는종이 #지방쓰는방법
안녕하세요 마이로드입니다.
곡식이 무르익고 가족의 정을 나눌
추석이 코앞입니다.
차례상을 차리시고 제사를 지내시는 분들은
지방쓰는 법에 대해
한번쯤 검색하실 때가 된 것 같아요.
추석 명절 지방 쓰는 법,
총 정리해드리고자 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 지방의 의미 : 지방이란?
흔히 지방이라고 하면
아래와 같은 영양소일 텐데요.
오늘은 위의 지방과는 거리가 멉니다.
명절에 제사를 지낼 때
꼭 필요한 것이 지방입니다.
돌아가신 조상님의 이름과 사망일 등이 적힌
나무명패를 신주라고 하는데요.
제사를 지낼 때 신주를 사용하지만,
신주가 없는 집안에서는
깨끗한 한지에 붓으로 글씨를 써 신주를 대신하는데,
이를 지방이라고 합니다.
즉, 지방은 신주가 없는 집안에서
설, 추석, 명절 등 제사 차례상을 차릴때
필수적으로 올리는 것이죠.
조상님께서 제사상을 잘 찾으실 수 있도록
상을 차리면서 올려드리는 것입니다.
🚩 지방 규격
지방 규격은
가로 6cm, 새로 22cm 크기의 한지를
직사각형이 아닌
위쪽 양 모서리 끝을 잘라낸 형식입니다.
[지방규격]
사용하는 종이는 한지!
가로 6cm, 세로 22cm
위쪽 양 모서리 끝 잘라내기
🚩 지방 쓰는 법 및 준비사항
지방을 쓰기 위해서는
깨끗한 한지를 준비합니다.
위에 서술한 지방 규격에 맞춰 잘라둡니다.
준비된 한지에 '붓 펜'을 사용하는데요.
한 사람일 경우
중앙에 글자를 적고,
두 사람일 경우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에 적습니다.
가능한 한자로 작성하되
부득이한 경우 한글로도 작성가능해요!
꼭 한자일 필요는 없습니다!
위와 같이 작성하는 것인데요.
위 예시는
증조부지방, 조부모지방, 부모지방을 쓴 것입니다.
적혀있는 지방글귀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해드릴게요!
🚩 지방 글귀, 지방 뜻풀이
현고학생부군신위
우선 부모지방쓰는 법,
알려드리겠습니다.
부모님 제사를 지내는 분들은
아버지를 뜻하는 현고학생부군신위,
어머니를 뜻하는 현비유인ooo씨신위
위 글귀를 인용하여
지방을 쓰시면 됩니다.
✅ 아버지지방글귀, 문구
현고학생부군신위
顯考學生府君神位
✅ 어머니지방글귀. 문구
현비유인ooo씨신위
顯砒孺人ooo神位
어머니지방글귀 ooo에는 성씨가 들어갑니다.
가령 '김해김' 이런 식으로 말이죠.
현비유인김해김씨신위 로 적을 수 있겠네요!
자, 추석 명절 지방 쓰는 법
응용을 위해 자세히 풀이해 보겠습니다.
지방 쓰는 법을 쉽게 익히기 위해서는
이 문장을 기억해두시는 것이 좋은데요.
현고학생부군신위
배우는 학생으로 인생을 살다 돌아가신
아버지의 신령이시어
나타나서 자리에 임하소서
관계에 따라 위 문장에서 응용됩니다.
✅ 현고: 본인과 조상간의 관계
지방쓰는 법에서 첫 단어입니다.
부친은 현고를 사용합니다.
관계에 따라
현고조고, 현종조고, 현조고, 현백등으로
변형해 사용합니다.
✅ 학생: 조상의 벼슬 또는 직위
현재는 벼슬이 없기 때문에
배운다는 뜻의 학생을 쓰는데요.
이는 모든 관계에서 마찬가지입니다.
✅ 부군: 남성을 뜻하는 말
✅ 유인: 부인을 뜻하는 말
이 때 여성은 본과 성씨를 기입합니다,
아까 '김해김' 기억하시죠?
✅ 신위: 고인을 모신다는 뜻
위의 뜻을 가진 단어들로
자방을 작성하실 수 있어요.
아래에서 지방문안의 예시를 적어보겠습니다.
🚩 지방 글귀, 지방 뜻풀이
고조부지방, 증조부지방, 조부지방,
며느리지방, 남편지방, 아내지방,
형지방, 동생지방 등
대상에 따른 지방문안의 예시입니다.
✅ 증조부, 증조모 증조부모 지방문안
[부] 현증조고학생부군신위
[모] 현증조비유인김해김씨신위
증조부모는 "현증고o"로 표현합니다.
고는 아버지, 비는 어머니죠!
✅ 고조부, 고조모 고조부모 지방문안
[부] 현고조고학생부군신위
[모] 현고조비유인안동김씨신위
고조부모는 "현고조o"로 표현합니다.
✅ 조부, 조모 조부모 지방문안
[부] 현조고학생부군신위
[모] 현조비유인창녕조씨신위
조부모는 "현조o"로 표현합니다.
✅ 부모 지방문안
[부] 현고학생부군신위
[모] 현비유인창녕조씨신위
부모는 "현o"로 표현합니다.
부모님 지방문안을 기억해두고
여기서 응용하시면 쉽습니다.
✅ 남편, 아내 등 부부 지방문안
[남편] 현피학생부군신위
[아내] 망실유인안동김씨신위
✅ 백부 지방문안
현백부학생부군신위
백부는 '현백부'라고 작성합니다.
✅ 형, 동생 지방문안
[형] 현형학생oo신위
[동생] 망제학생oo신위
oo에는 이름을 씁니다.
✅ 아들, 며느리 등 자식 지방문안
[자] 망자수재oo신위
[며느리] 망부창녕조씨신위
oo는 이름입니다.
지방쓰는 법, 어렵지 않죠?
여성일 경우 본과 성씨를 기입하는데,
위의 예시에 부러 다양한 성씨를 넣어 작성했습니다.
조상님의 본과 성씨로 바꿔 쓰시면 되어요!
명절 제사때마다 항상 검색하시는
제사지방쓰는 법,
필요한 정보 얻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가족과 따뜻한 추석 되시길 바랍니다.
[추천글]
#지방쓰는법 #차례상 #추석차례상
#설날차례 #설날지방 #설날지방쓰는법
#추석차례 #추석지방 #추석지방쓰는법
#설날차례상차리기 #추석차례상차리기
#차례지내는방법 #제사상차림 #제사상차리는법
#부모지방쓰는법 #제사지방
#제사지방쓰는법 #제사지방양식
#아버지지방쓰는법
#아버지제사지방 #아버지지방
#어머니지방쓰는법 #부모님지방
#제사지방문 #부모지방
#설차례지방 #설지방 #설제사지방
#설명절지방 #한글지방쓰는법
#추석차례지방 #추석지방 #추석제사지방
#추석명절지방 #지방쓰는종이 #지방쓰는방법
댓글
추석 제사 차례 지방쓰는 법 총정리! (+ 뜻, 규격, 지방양식, 부모, 명절 )
로드님 점점 잊혀지는 차례,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지방쓰는법 총정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