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신도시 2급지에 대한 편견 깨기! 서울이 무조건 더 좋다XX[신투기5기 힘들어도 5뚝이처럼 일어나서 11억 부자되조_뭉치꽁치]

  • 24.12.13

[강의를 통해 배운 점 및 깨달은 점]

  • 경기도 신도시 중에서도 상급지의 입지를 정확히 배울 수 있었다. 

수도권 4급지는 서울 4급지와 비교해 봐야한다는 말을 듣고 신도시는 그럼 다 4급지 이하로 봐야 하는구나 라고 착각했다. 

여러 기초반에서도 신도시 중에서도 과천 분당은 2급지라는 것을 배웠음에도 자꾸 경기도에서 2급지지 서울 2급지랑은 또 다르다고 받아들였다..

이미 강의에서 등장한 신도시 2급지가 내 앞마당이고 이미 그 가치에 대해서는 위치가 조금 멀지만 SABC의 정량적 등급으로는 완벽한 입지 아닌가? 라고 결론을 내렸음에도 자꾸 한 등급 아래로 내렸다. 

 

  • 신도시 지역에 대한 완벽 이해

무조건 서울, 하락기엔 서울이라는 편견을 버리고 역시 단지 대 단지! 입지 가치를 면밀히 살펴야 함을 깨달았다. 

역시 지역 분석 강의는 그 지역을 알고 볼수록 더 많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고 부족했던 입지 분석과 비교평가 부분을 강의를 통해 채울 수 있다. 아는 만큼 보인다! 라는 말이 와닿는 강의였다. 

심지어 1년 반 전의 첫 앞마당, 뭐가 뭔지도 뭘 봐야할지도 모르는 어벙한 상태로 봤던 지역임에도 제주바다님의 말씀이 하나하나 공감되고 앞마당 복습이 되었다. 

 

  • 상급지를 알아야 하는 이유

상급지를 먼저 봐야한다는 말을 듣고 너무 상급지만 보다보니, 높은 가격에 점점 감정이입이 되지 않고, 좋으니 비싸겠지 퉁쳐서 보기도 했다. 

이번 강의에서는 왜 상급지를 봐야 하는지를 이해시키기 위해 지역이 다른 두 단지, 그 중에서도 상하급지가 명확한 지역을 비교 예시를 들어주셨다. 

더 좋은 단지를 놓치지 않고 볼 수 있으며, 결국 내 조건에 맞는 단지를 하게 되더라도 상급지와 가치를 잘 비교해서 더 확신을 갖고 투자할 수 있게 된다.  

 

[적용할 점]

  • 가치 평가를 쪼개서 순차적으로 하기!

구별 입지평가, 생활권별 순위, 단지별 상중하로 큰 범위부터 작은 단위까지 가치를 분석하는 방법을 알려주셨다. 일부 임보에 반영하고 있는 점도 있지만 특히 생활권별로 순위만 매기는 것이 아니라 특색과 장점을 직교학환의 가치를 토대로 분석하는 것을 BM해보려고 한다. 꼭 정량적인 입지분석이 아니더라도 생활권을 쪼갰다가 다시 묶어 장단점을 면밀히 살펴봐야겠다.  

 

[궁금한 점]

분당과 위례는 정량적 입지 평가로는 비슷하거나 분당이 좀더 우위에 있다고 생각했는데, 위치적인 조건 아니면 신축들이 모여있는 환경적 요소 때문에 위례를 선택한다고 말씀하신걸까? 

결국은 단지 대 단지로, 투자금 등 조건을 봐야하겠지만 판교가 아닌 이상 나도 같은 값이면 위례를 선택할 것 같다…

 


댓글


뭉치꽁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