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서울의 시장은 오르지 않은 단지들이 존재한다.

그 단지들은 가치가 없어서 앞으로도 오르지 않을 단지가 아니다.

서울은 전체적으로 수요가 있기때문에 

선후의 차이가 있을 뿐 

추후에 올라가는 것은 매한가지이다.

더딜뿐!

 

권유디님은 현재의 시장이 2011년에서 2012년이라고 생각한다.

 

 

4급지는 교통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환경도 중요하지만 

교통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

물론 교통과 환경이 같이 공존한다면 금상첨화

직장의 POINT는 직장 종사자 수라고 생각

회사가 많은 것이 아니라 직장 종사자 수가 많은 것

사람이 많을 수록 부자가 나올 확률이 크다

 

A지역의 특징

V협곡 ㅇㅅㄷ ㄱㅈㅇ 뉴타운 ㅂㅇㅎ 뉴타운

 

구마다 좋아하고 선호하는 노선이 다르다 

 

A지역의 경우

교통 

3호선>5호선

교통+환경

5>3호선

 

B지역의 경우 

1/5호선 비슷

 

B지역은 

현재 과거의 ㅁㅍㄱ와 비슷한 느낌

전부 바뀌는 신축 사이에 낀 ㄱㅊ이 기회를 줄 수 있다.

WHY 주변환경이 변화하기에 

 

수도권은 지방과 다르게 

하나의 구에서의 공급이 다른구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더 크다.

 

상승장에 공급이 많은 것과 

하락장에 공급이 많은 것이 다르다

 

상승장의 경우 

공급이 많다면

전세가가 떨어진다

사람들이 매매를 하기때문에 

 

하락장의 경우 공급이 많다면

전세가가 올라간다 

사람들이 매매를 하지 않기 때문에

수도권은 공급물량보다 심리가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는 폭발적으로 상승했다가 하락한 단지를 

매수해야한다.

WHY?

1. 싸게 매수가 가능하며

2.2년뒤 혹은 4년뒤 전세금을 크게 올려 받을 수 있기때문

이런 경우는 마통을 사용할 수도 있다.

 

서울 외곽의 경우 

땅의 가치가 적어 

환경의 영향이 크다.

 

구마다 수요가 다르며 

이는 선호하는 단지가 다르다는 것이고 

일괄적으로 부동산을 해석하기 보다는

구에 맞게 

거주민들의 필요에 맞게 

해석이 필요하다

 


 

많은 꿀팁을 얻었던 강의였습니다.

특히 하락장에서의 공급물량 

상승장에서의 공급물량의 차이가 

 전세가의 방향을 다르게 결정할 수도 있다는것이 

놀라웠습니다.

 

물량이 많다 하락

물량적다 상승

단순하게 생각했었는데 

새로운 시선으로 시장을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시장은 늘 변화하고 유동적이며 

편협한 한 가지의 시선으로 

해석하면 안된다고 다시 한번 생각하는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드림텔러user-level-chip
24. 12. 19. 09:21

강의 후기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감기 조심하세요~

문빵구user-level-chip
24. 12. 19. 17:19

오! 김가님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어서 강의 내용을 리마인드할 수 있었어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