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5기 21조 초토메로] 지방투자 기초반 1강 강의 후기

  • 23.11.11

안녕하세요.

함께 성장하는 러닝메이트가 되고 싶은 초토메로입니다.


첫 지기반 1강 후기를 남깁니다.


후아-!(쉬호흡 한 번 하고 ㅋㅋㅋ)

어마어마한 정보량이 쏟아졌던

지방 투자의 교과서와 다름없는 강의였는데요.


자모님께서 강의 준비와 강의에 혼신의 힘을 다하셨다는 게 절로 느껴지는 시간이었습니다.


지방 광역시와 중소도시를 분석해주는 게 주요한 주제였는데

그에 앞서서 지방투자를 해야하는 이유, 지방투자 기준에 대해서 먼저 짚고 가주셔서

큰 도움이 됐습니다.


지방시장에 대한 이해도와 지방투자를 해야하는 이유를 명확하게 알지 못하면

지난달의 저처럼, 지방 임장을 다니고 있으면서도 계속 헤매게 될 것이라는 말씀이 기억에 남습니다.



[주요 내용]


개별성: 지방을 전체적으로 보되 개별적으로 보는 눈이 필요하다

선호도를 파악하라

지방 광역시와 중소도시의 사이클 주기를 파악하라

-> 오히려 지방 소액투자가 수도권 투자보다 수익을 가져다 주는 시기가 더 빠를 수 있다.



지방은 only 신축이다? NO!

신축이 선호도가 높을 수 있지만,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광역시 중에서는 입지 좋은 구축이 선호도가 높을 수 있고

동떨어진 곳에 있는 신축이 선호도가 높은 경우가 있다.

중소도시 신축은 입지가 떨어져도 선호도가 높은 편이나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지방에서는 무조건 신축만 투자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신축에 기회가 없다면 00년식 아파트에서도 기회를 찾아봐도 좋다(저평가 된 곳이라면)

=> 선호도가 있는 구축, 준신축, 입지 떨어지는 싼 신축들이 기회를 가져다 줄 수 있는 시장임

=> (생각의 흐름) 사람들이 몰려사는 곳에 땅의 가치를 가지는 곳도 있어->이런 곳은 구축도 투자가 가능해-> 그런데 땅의 가치가 없는 곳은 투자할 때 연식을 위주로 볼 거야


수요(선호도): 부동산 투자는 곧 수요가 있는 지역, 단지에 투자하는 것

선호도로 시작해서 선호도로 끝난다

모든 행위는 수요도(선호도)를 확인하기 위한 과정

=> 인구수, 입지, 환경(연식, 커뮤니티) 등

=>왜 몰려살지? 왜 좋아하지? 연식? 브랜드? 입지? 초등학교 가까움? 뭘까?를 고민하며 선호도를 파악해야 함


지역별 투자 범위(바운더리)를 정해라

연식위주: 인구수가 적고, 빈땅이 많은 곳

구축도 가능: 땅의 가치가 있고 수요가 탄탄한 곳(신축도 가능하나 구축도 가능)

그러나 우선순위는 연식을 조금 더 봐야하는 것

신축이 많은 곳은 5년만 지나도 구축 취급을 당할 수 있음(그 시장의 개별성을 이해하고 접근해야 함)

-> 신축이 쏟아져 나오는 곳에서는 바운더리를 90년식 복도식 아파트보다 00년식, 10년식 준신축으로 바운더리를 올려야 함


강의를 듣기 전에 잘 정리되지 않았던 부분 위주로 복기하면서 후기를 남겨봤습니다.

한달간 지기반 완주를 향해 조원분들과 화이팅 해보겠습니다!!>.<


bm. 입지 분석한 내용을 분위기 임장시 확인(적용)한다.


나는 자모님의 강의가 끝나고 and로 이어서 입지분석을 할 것이다.

그리고 강의 및 입지분석 내용을 분위기 임장시 적용하고 확인할 것이다.

선호도로 시작해서 선호도로 끝나는 임장

분위기 임장을 하면서 생활권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단지 임장을 하면서 단지의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댓글


초토메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