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월부학교 6강_'여러분이 걸어갈 길- 직장인 투자자' (with 자음과모음 멘토님) [에이스1반 녹두보리]

  • 24.12.28

 

 

 

 

ogq_5bd08b3564f7e-21

 

 

안녕하세요!

월부학교 가을학기 에이스1반

녹두보리입니다.

 

 

 

 

 

"가장 책임감을 가지고

올라오는 강의가 월부학교 6강.

저와 같은 경제적 자유를

이루려고 하는 후배들을

잘 데리고 간다 라는 생각으로 

강의를 준비했습니다."

 

 

 

 

 

 

자모님은 특별히 질의응답으로 

진행되는 월부학교 6강을

책임감을 가지고 올라오신다고 합니다.

실제로 9시간 넘게 이어진 강의에서

자모님의 그 책임감이 느껴졌던 것 같습니다.

 

 

 

 

 

“이렇게 하다 여러분이 망할 것 같아요.”

"왜 한 명도 할 수 있어요! 라고 말하는 사람이 없는지

질문지를 받고 안타까웠어요.."

“저는 지금 여러분이 조급한 것 같습니다.”

 

 

 

 

 

후배 투자자들이

올바른 길을 갔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꾹꾹 담아 준비한 자모님의 월부학교 6강.

천천히 꼭꼭 복기하는 마음으로

인상 깊었던 내용 위주로 적어보겠습니다.

 

 

 

 

 

 

 

 

 


 

우리가 걸어갈 길

: 직장인 투자자

 

 

 

 

 

 

이번 3개월 간 월부학교 학생들은

투자를 참 많이 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번 질문의 대다수가

"자모님, 저 투자 했어요..!

그런데 그 다음에 어떻게 해야하죠..?"

였다고 합니다.

 

 

 

 

자모님은 이번 강의를 통해

비전보드 순자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25년을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알려주셨습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지금 우리가 하고 있는 투자는

무작정 챗수를 늘리려는 투자인 것처럼 보인다고 하시며

조급함은 하나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나는 어떤 투자를 하고 있는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하셨습니다.

 

 

 

 

 

요즘 강의에서 튜터님과 멘토님들이

‘투자를 적극적으로 해라’고

메시지를 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메시지가 요즘 수강생들에게는

‘투자를 적극적으로 해라’를 넘어서,

‘챗수를 늘려라’라는 의미로 

해석되고 있는 것 같다고 합니다.

 

 

 

 

그래서 요즘

튜터님께 물어보지 않고 매코를 받거나,

가계약금을 넣고 매코를 받고,

매임을 하지 않고 매코를 넣거나 

또는 확신이 없는 상태에서 가계약금을 넣는 

상황들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고 합니다.

 

 

 

 

 

 

자모님은 

이렇게 해서 투자를 하나 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강조하셨는데요.

우리의 투자는 항상 그 다음을 바라보고

투자해야 하는 것이며,

챗수를 미친 듯이 늘리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포트폴리오에 가치 있는 자산을 하나씩

넣어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이야기하셨습니다.

 

 

 

 

 

지금은 차가운 시장임을 기억하겠습니다.

우리의 조급함은 하나도 도움이 되지 않고

일을 그르치게 만들 뿐이라는 것을 기억하겠습니다.

직장인 투자자로서

자산을 쌓기 위한 투자를 앞으로 

한 채 한 채 정성을 들여서 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B.M

1. 시세지도 위에부터 아래까지

가격 레벨 훑으면서 내려오기

2.구축 가치를 알고 싶다면

10년 간 전세가를 살펴보기

 

 

 

 

 

 


 

 

 

 

정반합의 결정

 

 

 

 

 

 

 

투자 공부를 하다 보면

O와 X 사이에서

하나를 골라야 하는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될 때가 많습니다.

 

 

 

 

 

종잣돈을 뭉쳐서 하나로 할까?

아니면 나는 시스템 투자로 굴러 가게끔

쪼개서 두 채를 할까?

사람들은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요.

 

 

 

 

자모님은 정과 반이 아닌

합을 선택해야 한다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위의 고민에서 합의 결정은

'시스템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경험을 쌓아야 하고,

경험이 쌓이다 보면 더 좋은 투자를 할 수 있게 된다.'인데요.

돈을 남기거나 쪼개서 애매한 투자를 하는 것 보다는

매매 전세가 빨리 오르는 더 좋은 것 

하나에 투자하는 것이 나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모님의 이야기를 들으며

모든 선택을 O,X의 관점에서만

생각하고 있지 않았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가족, 건강, 투자를 모두 챙기면서

나아가는 건 안 될 야라고 생각한 것처럼요.

 

 

언제든 투자자는 보릿고개를 

맞이하게 되어있다는 것과,

돈이 없어지는 게 두려워 투자금을 남기는 것이 

좋은 선택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 기억하겠습니다!

 

 

 

 

 

 

 

 

B.M

1. 돈을 생기면 투자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돈을 들고도 투자를 못 하는 사람이 아니라.

2. 500이든 1000이든 

투자 물건을 찾고자 마음 먹으면 투자 단지가 보인다.

3. 카테고리화 하지 않기

 

 

 

 

 


 

나의 부족함을 채울 수 있는

한 가지의 행동

 

 

 

 

 

 

 

 

부자가 되는 길에는 언제나

두려움, 좌절감, 막막함, 부족함이라는

감정들을 직면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런 감정을 통해

스스로 부족함을 느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투자를 해야 하는 명확한 이유가 있습니다.

 

 

 

 

자모님은 그럼에도 ‘삶의 변화’는

누구나 다 좋아하지 않는다고 이야기 하시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스로 만들어 놓은

안전지대에서 머무르려고 하고,

새로운 행동을 하기 싫어하는 자신을

여러가지 이유로 합리화한다고 하셨는데요.

 

 

 

 

이런 생각과 태도로는

절대 성장할 수 없다고 말씀하시더라구요.

 

 

 

 

 

"내가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고,

그것이 나의 부족이라고 생각한다면

‘나의 부족’을 붙들고 괴로워하지 말고

그 ‘부족’을 채울 수 있는 행동 

한 가지씩을 하루에 하나씩 꼭 하세요.

 

생각이 변해야 태도가 변하고,

태도가 변해야 행동이 변합니다.

 

생각을 먼저 변화 시키세요."

 

 

 

 

 

 

매일 하지 않았던 행동

1가지를 정해서 하고 잠든다면

스스로 변화한다고 느낄 수 있다고 합니다.

 

 

 

고정 마인드셋에 갇혀있지 않고

성장 마인드셋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안전지대에 머무르지 않고

부자의 길을 뚜벅뚜벅 걸어가겠습니다!

 

 

 

 

 

B.M

1. 매일 하지 않았던 행동 1가지 하고 잠들기

2. 마음일기 쓰기

3. 된다고 생각하기

 

 

 


 

 

 

 

 

 

 

 

 

 

 

 

"투자는 게임 같아요, 여러분.

나중에는 정말 재밌어져요.

 

지금 여러분들이 80%를 왔을 수도 있습니다.

20%가 남았을 수 있어요.

포기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갑시다."

 

 

 

 

 

 

 

 

투자가 너무 너무

재밌어지는 그날까지

자모님의 뒷모습을 바라보며

열심히 걸어가겠습니다!

 

 

 

긴 시간동안

모든 걸 쏟아내 알려주신

자모님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댓글


녹두보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