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가 가기 전에 꼭 해보면 좋을 투자 복기 방법 (ft. 2024년 투자 성적표 만들기) [진심을담아서]

안녕하세요,

매 순간 진심을 담고 싶은 진담 입니다 :)



(우선 글을 쓰기에 앞서서

국가적인 비극에 애도를 표합니다)



오늘은 모처럼 날이 푸근해서

어깨를 잔뜩 움츠러들지 않아도 되는

따뜻한 날씨인 것 같습니다.

 

얼마 남지 않은 올해,

행복한 일만 가득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

 

올해를 보내면서 '24년을 돌아보시는 분들,

'25년을 계획하시는 분들이 있으실거에요.

 

저 역시도 그런 복기의 과정에 있는데요.

 

독서/강의/임장 계획도 중요하지만

투자(내집마련) 관점에서

우리의 복기는 내년을 더 잘 보내는 데

꼭 필요한 행동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와 관련해서 제가 사용한

투자복기 방법을 나눠보고자 글을 써봅니다.

 

복기하시는 데 도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모의투자로 만드는

투자성적표

image.png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결론적으로 저는 이런 양식으로

올해 투자를 복기해봤습니다.

 

흔히 '모의투자'라고 불리는 건데요.

 

아마 임장보고서 결론 부분에

내가 투자를 염두한 단지를 넣어두시고

다시 보지 못하신 경우가 많으실 겁니다.

 

저 역시도 그랬습니다.

 

매월 새로운 임장지로 향하고

새로운 임장보고서를 쓰고

그 때 나의 상황에 맞는

투자 결론을 짓느라 돌아볼 시간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어느 순간부터 저도 모르게

매월 비슷한 관점에서 물건을 뽑고

투자를 결정하는 모습이 보였습니다.

 

'저 동료는 어떻게 저 물건을 찾지?'

라는 생각이 들 때가 많았는데요.

 

그 이유는 제가 복기가 되지 않아서 였습니다.

 

투자에는 정답이 없고,

투자자 본인이 생각하는

더 나은 해답이 있을 뿐이라 생각합니다.

 

무엇보다도 한정된 돈으로

간접적으로 많은 경험을 쌓으려면

내가 어떤 마음으로 당시 투자를 결정했고

다음 투자는 어떻게 바라볼지에 대해서

스스로 정리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잠깐만 제 경험을 말씀드리겠습니다.

 

구리시에 오래 살았던 제가

과거에 신혼집을 마련할 때

'경기도보다는 무조건 서울이지'

라는 마음으로 성북구를 봤었습니다.

 

다행히도(?) 예산에 벗어나는 집이 많아서

구리와 성북구 모두 매수하진 못했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3년 정도 흘러서

2024년이 10월이 되었고,

투자를 할 수 있는 상황 속에서

저는 여전히 '성북구'가 '경기도'보다

좋다 생각하고 투자 우선순으로 두었습니다.

 

 

그러나 시장은 그렇게 판단하고 있지 않았습니다.

 

보시다시피 경기도 구리의 한 단지가

여러가지 상황이 바뀌면서 성북구 단지보다

더 좋은 가치를 갖고 있는 단지가 되었습니다.

(전고점 외에도 환경적인 측면을 종합해도

구리에 서울보다 나은 단지들이 있었습니다.)

 

복기가 되지 않으니

강의를 아무리 많이 들어도

임장을 아무리 많이 들어도

제 의사결정의 실력이 바뀌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1) 결정을 내리고 2) 근거를 남겨본 후

3) 시간을 두고 관찰하며

4) 시장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5) 더 나은 결정을 할 수 있게 성장

하는 방법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절실히 깨닫고 모의투자를 정리해봤습니다.

 

경기도라고 할 지라도 단지에 따라

서울보다 훨씬 나을 수도 있고,

중소도시라 할 지라도 단지에 따라

광역시보다 훨씬 나을 수 있습니다.

 

소위 강의에서 나오는

'단지마다 다르다'는 말씀은 대부분

이런 시장을 복기하면서 말씀해주시는

메시지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투자 성적표 만드는 방법

 

저와 비슷한 경험이 있는 분들께

추천드리는 투자복기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안드립니다.

 

/

 

1) 올해 쓴 임장보고서를 열어보세요.

 

그 안에서 당시 결정한 투자 물건을 찾고

매매/전세를 기록해두세요.

 

제 경우에는 아래 게리롱 튜터님의 양식을

모의투자 복기용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시세트래킹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꼭 봐야할 2가지
(★시세트래킹 양식 최종버전) [게리롱]

 

아울러 그때 투자를 결정한 근거를

같이 기록해보세요.

image.png



가격과 생각을 같이 정리해두시면

더 입체적으로 당시 상황이

떠오르실 수 있을 거에요.



/

 

2) '24년 12월 네이버 부동산 호가 기준

매매/전세가를 같이 기록해보세요

 

그 안에서 당시 결정한 투자 물건을 찾고

매매/전세를 기록해두세요.

image.png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이 때 매매/전세 물량이 없어서

호가를 확인할 수 없다면,

아실 등을 통해서 최신 실거래가를

참고하셔도 충분히 좋습니다.

 

/

 

3) 지금 관점에서 당시 의사결정에 대한

자유로운 생각을 남겨보세요.

 

이 때 중요한 건

'틀릴 것을 의식하지 않는다'

'틀리는 건 별로 중요하지 않다'

입니다.

 

앞서서도 말씀드렸지만,

투자에서 100% 맞는 정답은 없습니다.

 

다만, 과거로 돌아가서

비슷한 의사결정을 한다면

어떤 의사결정이 더 좋았을지,

 

이 모의투자(실전투자)로

배운 것은 무엇인지

 

다음 투자에는 어떤 것을

개선하고 적용하면 좋을지

 

이런 것들을 가득 남겨주실수록

성장에 더 도움이 되실 거라 생각합니다.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면

동료/선배님/튜터님께

여쭤볼 기회가 있다면

스스로 정리의 마침표까지 찍어보고

의견을 여쭤보는 것입니다.

 

그 과정에서 놓친 것을 복기하고

더 채움으로서 실력이 쌓일 수 있을 것입니다.

 


 

이상으로 모의투자를 활용한

투자성적표 만드는 방법을

적어보았습니다.

 



부동산 투자는 한채 한채

가진 현금 대부분이 투입되기에

무작정 많은 경험을 쌓기가

어려운 영역 중 하나입니다.

 

다만 우리가 투자자로서

매월 남긴 흔적들을 잘 정리하면

간접경험으로도 우리가 갖지 못한

경험적인 한계로 인한

목표와의 간극을 어느정도

채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올해 마무리 하시는 데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댓글


솔인user-level-chip
24. 12. 30. 12:36

감사합니다:) 복기해보겠습니당♡

딩동댕2user-level-chip
24. 12. 30. 12:38

담반장님 투자 복기 방법 감사합니다 ♥

양파으니user-level-chip
24. 12. 30. 12:48

복기의 중요성!! 투자에서도 잊지않겠습니다❤️ 감사해요 담반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