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강 수강 후에는 지역구별 평균 매매가 정도만 알게돼서, 해당 구의 평균 매매가만 보고 대상 매물을 찾았었습니다.

조금 더 자세히 보니 같은 구라도 동별로 상황이 많이 다름을 알게 돼, 타겟을 구 단위가 아닌 동 단위로 바꾸게 됐습니다.

 

아직 잘 모르다보니 언제든 바뀔 수 있지만, 지금 생각중인 대략적인 타겟은 아래와 같습니다.

 

- 송파구 거여동
- 중구 신당동
- 성동구 왕십리동
- 동대문구 답십리동
- 광진구 군자동
- 강동구 성내동
- 동작구 노량진동/본동

 

동 단위로 보니 생각보다 상급지에서 살 수 있는 매물이 있는것 같다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1강 수강 직후에는 송파구, 성동구, 광진구는 투자대상이 아니라 생각해 찾아볼 생각을 안하고 있었습니다.

 

입지분석을 어떻게 해야할까 참 막막한 부분이었는데, 명확한 기준을 제시해주셔서 좋았던 것 같습니다.

배운대로 강남역까지의 소요시간, 학군, 편의시설 등을 주요요소로 보고 임장을 다니는 것 부터 시작해보려 합니다.

 

입지에 관해선즌 어렴풋이 역세권이 중요하다 정도만 알고있었는데,

편견도 많이 깨지고 새롭게 배우는 것도 많은 강의였습니다.

 

좋은 강의 준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잘 듣고 있습니다 :)


댓글


Brian Ahn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