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스1반_오너천사] #3.유튜브 필사

<이 영상이 뜬 당신, 지금과 달리 변하고 싶다면 오늘부터 '이걸' 반복하세요. (#너나위의나긋나긋 ☕)>

https://youtu.be/JucTicT_ggc?si=rUgpJ8ns-YxeUCDd

인생이 술술 풀리는 증거

1. 불필요하다고 생각한 인간관계가 정리된다.

2. 힘든일이 연속적으로 일어난다.

3. 직업에 대한 회의감이 생긴다.

4. 내가 바라는 삶이 무엇인지 깊이 고민한다.

5. 나만의 꿈을 가지고 싶은 생각이 든다.

6. 도전해보지 않은 것을 시도한다.

7. 나를 시기하고 질투하는 사람이 생긴다.

 

인생일 잘 풀리면 좋은일들만 있을줄 알았다.

이런일이 벌어지는 것에는 공통점이 있다.

변화할 때 생기는 일이다.

인생이 술술 잘 풀리기 위해서는 변화를 시도해야한다.

변화를 할때 인생이 잘 풀리기 시작한다.

올바르게 변화하는 걸까?

사람은 변화라는 것을 본능적으로 싫어하게 되어있다.

인류는 700만년전에 생겼다.

왜 변화를 싫어할까?

내 뇌가 변화를 싫어한다.

원시인들 그 척박한 환경에서 목숨을 부지하려고 뭉친것.

무리에서 떨어져 나가면 죽음을 의미했던 것

어울리는 집단에서 떨어져 나갈떄 심리적인 충격 받는다.

지금은 원시인들이 살던 척박한 환경이 아니다.

우리의 환경이 바뀌었는데, 우리의 뇌는 그렇게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이상하게 사람들이 변화하는 것을 싫어한다.

변화해야하는 현대시대.

원시인의 뇌로 세팅이 되어 있다.

변화가 생존에 악영향을 줄수있다.

 

#너나위님이 경험한 변화는

34살부터는 직장인 투자자로 변화 “주경야독”

힘드니까 자꾸 미루게 된다.

의지의 문제가 아니라 기본 세팅의 문제

작은변화라도 하는 사람들이 압도적인 사람

 

[변화전에 겪에 되는 증상들]

-현실 불만 (3,4,5)--> 변화가 임박

결심- 나라는 사람을 새롭게 창조하는 것

 (자기의 정체성을 바꾸는 것)

모든 변화는 이 과정을 거친다. 

이것을 반복하면 결국에는 바뀐다.

"나는 운동하는 사람이다"라고 새롭게 창조한것

아니야 아니야 나는 운동하는 사람이야.

자기 정체성을 재창조해야한다.

이것은 마치 선언과 같은것

행동만 생각하지 말고, 결심을 해야하고, 나를 새롭게 창조하는것.

내가 실패한 변화들은 행동에 대한 계획만 있음

“나는 올해 말에 1억이 있는 사람이 되어야지”

내가 내 뇌를 속여야 하는 것.

너는 운동하는 사람이라고 정체성을 이야기 해줘야한다.

 

[변화후에 일어나는 것!]

변화하기로 했던 행동들 과정 중 1,7 

 

[변화가 끝나고 나서]

변화를 경험해본 입장에서는 어땠나요?

뇌는 변화할때  두려움을 느끼게 세팅되어 있다.

부정적 피드백을 받으면서 두려움을 느끼게 한다.

오히려 더 말을 못했다. 

변화가 없으면 발전은 없다!

어렵고 두려운 것도 알겠다.

결국 그길을 가지 않으면 바뀌는 것은 없을 것이다.

20대의 여름날이 나에게 더 없는것

30대의 휴일은 나에게 없다.

그 때 변화에 좀 더 적극적이었으면 어땠을까?

본인들이 보내시간들이 얼마나 찬란하고 소중한 시간들인지 알았으면 좋겠다.

나랑 동년배, 선배들 내가 너무 보수적으로만 살았구나 내가 너무 두려워하면서 살았구나'

나이와 상관없이 생각을 바꿔서 지금이 가장 젊은 날이니까 지금부터 나의 인생이 더 값지게 변화하지 않을까?

 

내 뇌하고 논리싸움을 해보는것.

너 그거했다고 손해보면 어떻게해. 위험해지면 어떻게해

안위험한 변화/ 손해보지 않은 변화

뇌와 이야기하고 시도해보는것.

많이 시도 해서 뇌에게 변화가 나쁜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려주는것

자꾸자꾸 작은 변화를 시도해보는것.

더 큰 변화에 익숙해져봐라.

그 무의식이 나의 변화를 다 막는다.

내 인생을 바꾸는 인생을 어떻게 다 바꿀 수있겠느냐

내 뇌가 변화에 익숙해져 있지 않다.

그게 큰 변화의 씨앗이 되는 것다.

작은 변화, 나를 두렵지 않게 하는 변화부터 시도해본다.

안해보던 것 부터 하기

쓸데 없다는 생각은 변화를 막는 뇌의 명령

내몸에 인이 박힌다.

 

[변화 일어나기 전]

3.4.5.

고민- 내 자신과의 대화

작은 변화- 익숙- 중대한 변화를 하고 싶다는 가장 먼저 해야될것이아니라

나와 먼저 대화를 해야한다.

남이 내려주는 일을 처리하느라고 

본인 스스로와 얼마나 이야기를 많이 해보았느냐.

자기 스스로와 대화하기 시작한다면 

고민을 한건 없고, 고민을 들었던것같다.

나도 인생이 좀 풀리는 느낌을 받고 싶다면

자기와의 대화를 해야한다.

뭐하고 싶어라는 질문하면. 

어린아이들은 금방 답이 나오지만

어른이 될수록 글쎼…

나 스스로와 대화를 안해봤던 것.

그게 고민이라는 것.

결심- 나를 재 창조하는 것

나라는 사람을 재창조하기 위해서 고민(나와의 대화)을 해야한다.

 

1. 기존 가치체계를 전복시켜라.

직장인--> 직장인 투자자

나와의 대화를 할때 가치를 의심했었다. 그동안은 회사에서 진급하고 인정받는 것이 가장 큰 가치

정리해고하는 모습을 보면서 나가기 시작하는 선배들이 18년차. 나는 9년차

처음으로 이게 맞나 생각이 들었다. 가치체계에 금이 가기 시작했다.

이게 아니구나 돈벌어야 겠다.

처음에는 돈이 었지만 그다음은 투자자 실력

 

2. 자연스럽게 정체성의 변화가 생김

나는 직장인 부동산 투자자가 된것

기존의 가치체계에 대한 의심이 필요.

지금 나한테 가장 소중한게 뭐지. 가치체계의 가장 상단에 나의 행복이 있어야 한다. 회의감 들지 않게.

돈 벌고 나서 나의 최고 가치체계 달성하고 나니 약간 허무했다. 변화해야되는 시기가 왔구나

이후 또 나의 가치 체계를 전복시켰다.

내가 즐겁고 행복했을때는 언제지? 내가 알고 있는 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알려줄때 행복했었다.

나를 행복하게 하는 것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기존 가치체계를 의심하여 전복시킨다.

내가 진정 변화를 갈구하고 있기에 이영상을 볼것

난  이런 사람이 될거야 라고 정체성의 변화를 결심하면

심지어 주변의 상황이 바뀐다. 유튜브 카테고리 까지도

사소한 변화들을 반복해주고 

가치의 우선순위를 살펴보고 

내 행복과 맞닿아 있는지 점검하고 고민하고 깨부수어라

새로운 가치체계를 창조해라, 그 이후는 저절로 따라온다.

 


댓글


메이저user-level-chip
25. 01. 15. 11:56

어쩜 이리 잘 정리하시나요? 매일 리즈갱신 하듯 성장하기~~ 조장님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