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중급반 - 직장인으로 10억 달성하는 법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난 수도권 투자에 관심이 있다.
그런데 방랑미쉘님의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한 강의를 듣고 보니 조금 생각이 변했다
방랑미쉘님의 강의를 내 식대로 풀어보자면
"현재 기준 비수도권 투자가 수익률 측면에서 수도권보다 우월하다
다만 지방투자 특성 상 잃거나 환금성이 떨어지는 리스크가 있으니
잃지 않는 투자를 해야 한다" 로 이해했다.
2024년 6월까지
수도권에서 투자금 대비 100% 이상 수익이 기대되는 물건을 찾지 못한다면
비수도권 투자도 관심을 가져야 겠다.
(1강: 수도권&지방 현재 부동산 상황과 투자 특징)
수도권: 전세가 상승 미비하여 비수도권 대비 투자금 많이 필요/장기 보유 전략
비수도권: 전세가 상승으로 소액 투자기회 확대 / 입주물량 리스크 없는 지역에서 단기 매매 전략
/적은 투자금으로 경험 축적 가능
(2강: 내 투자금, 상황에 딱 맞는 투자처 찾는 법)
지방투자 지역 선정 기준
(3강: 지방 3개월 내에 투자하는 법(투자금, 추천지역))
지방 투자 아파트 선정기준
실전투자 사례(대전 유성구 24평 투자) *사례 중심 강의가 가장 와닿았음
(4강: 수도권 1년 내에 투자하는 법(투자금, 추천지역))
수도권 투자 지역 선정기준
수도권 지역의 급지
(직 생각: 강사들마다 급지에 대한 생각이 조금은 차이가 있었다. 이번달 분당 살피고 나서는 본격적으로
3~4급지 중심으로 앞마당을 만들어야 겠다.)
수도권 투자 아파트 선정기준
강사님이 수도권 투자사례로 수지구를 설명했는데
4개 아파트 중 해당 아팟을 투자한 이유(죽전역 도보권)를 먼저 맞췄다.
임장으로 내 투자안목이 조금은 높아진 듯 싶어 뿌듯함을 느꼈다.
그리고 상승시기에는 공부도 중요하지만 그 전에 키운 안목을 바탕으로 행동을 빠르게 해야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5강: 지방과 수도권 투자 로드맵 요약정리)
강사님은 전고점 회복 기준으로 투자수익을 계산했는데
난 회복시기에 대한 감이 없다보니 이 부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수도권은 장기투자가 좋은 것은 잘 알지만
현재 내 수준에서는 매도를 통한 투자수익 확정 경험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해
Best는 2년, Even은 4년을 두고 투자금 대비 100% 이상 수익이 기대되면 매매를 하려고 한다.
향후 목표
(앞마당 총 29개 만들기)
2023: 총 4개(수지/영통/분당/동대문구)
2024: 총 8개(광명/안양 동안구/강서/서대문/성북/노원/관악/은평)
2025: 총 8개(동작/영등포/중구/종로/성남 수정구/하남/구로/금천)
2026: 총 9개(중랑/강북/도봉/부천 산본/고양시 덕양구/마포/성동/양천/광진)
(매매 1년에 3~4급지 중심 1채 매수)
댓글
직진희원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