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부동산Q&A

지기반 2강 수강 후 C지역 인근 지역 공급물량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3.11.20

안녕하세요 지기반 14기 수강중인 모카라떼 입니다

2주차 게리롱 튜터님께서 C지역의(언급안되겠죠..?ㅎㅎ) 향후 공급물량이 600세대 정도라서

공급리스크가 없어 투자 하기 좋은 지역이라 설명해주셨는데요~


C지역의 1년간 전출입 인구를 보니 1년 동안 완주군, 익산시와 전출입이 많더라고요.

완주군은 향후 공급이 적정수요 범위 내이고(부족수준?),

익산시는 24,25년 공급이 적정수요의 4배 물량인데,

C지역은 전라북도의 수요를 흡수하는 도시라 익산의 공급은 영향이 없을까요?

강의 공급파트에서 익산 언급은 없으셨던거 같아서요 ㅎㅎ

1년간 전입인구(2700명)만큼이나 전출인구(-2200명)가 있어서 무의미한 숫자는 아닌거 같아서요!


C지역을 투자할 때 익산의 공급물량을 어떻게 해석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이 글을 보실진 모르겠지만 좋은 강의 해주신 게리롱 튜터님 감사드립니다 ^-^


댓글


게리롱
23.11.20 14:52

안녕하세요 모카라떼님 강의를 열심히 잘 들으셨네요~! 익산도 완주에 이어 2번째로 전주와 인구교류가 많은 지역이기 때문에 익산의 공급물량이 많을 때는 전주에도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ㅎㅎ (익산시까지 함께 포함해서 보는 것도 의미가 있습니다) 다만, 1. 익산은 완주에 비해 전주와의 전출입 규모가 절반 수준이라는 점 2. 전주에서 익산으로 나가는 수요보다, 익산에서 전주로 들어오려는 수요가 더 많다는 점 3. 익산에 초과공급이 예정되어 있긴 하지만, 그 중 익산에서 선호되는 위치에 입주물량은 많지 않다는 점 등의 이유로 강의에서 익산의 공급까지 설명 드리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말씀드린 부분들을 참고해서 어느정도 영향이 있을지(만약 여기에 새 아파트에 들어오면 전주에서도 옮겨갈 만한 이유가 있을까? 라는 관점) 한 번 확인해보시면 지역을 이해하는데 더 도움이 되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ㅎㅎ 파이팅입니다 모카라떼님~!

프메퍼creator badge
23.11.20 15:20

모카라떼님 안녕하세요 공급에 대해 고민이 많으시군요~! 게리롱 튜터님께서 잘 설명해 주셨듯이, 그 지역에 공급이 되는 것이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 우선적으로 생각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전주 내에서도 선호도 있는 단지라면, 굳이 익산의 공급이 많더라도 큰 영향이 없을 수 있습니다. 해당 부분도 고려해보시면 좋을 거에요~! 화이팅입니다 모카라떼님 :)

란별
23.11.20 17:05

안녕하세요 모카라떼님~ 강의 꼼꼼하게 듣고 공부하시는 모습 너무 멋지십니다~! 지역의 인구이동을 살펴보실 때는 총 ‘이동규모’를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동규모란 전출과 전입 세대를 모두 합한 것인데요, 이 규모가 클수록 지역간 영향을 많이 주고받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인구이동은 보통 3년 기준으로 살펴보는데요, 완주군은 전출과 전입 모두 합해 3만 1천 세대 이상, 익산시는 전출과 전입 모두 합해 1만 5천세대 정도 수준입니다. 게리롱 튜터님께서 말씀해 주신 것처럼 완주군의 절반수준에도 못 미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유의미한 지역은 아닌 것 같습니다. 한 지역의 공급물량을 살펴볼 때는 물량 뿐만 아니라 공급이 들어오는 위치도 함께 보며 어느정도 영향을 미칠지 생각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선호도가 떨어지는 곳에 입주물량이 들어오면 상대적으로 영향을 적게 받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선호하는 곳에 입주물량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큰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 실입주 세대가 많아 전세물량이 거의 없을 수도 있고, 시장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전개될 수도 있습니다. 투자하기 전 공급물량을 꼼꼼하게 살펴보되, 100% 수치대로 움직이진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참고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꾸준히 시장을 살펴보시며 상황에 맞게 대응해 나가면 됩니다. 다른 지역 분석 시에도 도움이 되시길 바라는 마음에 댓글 남깁니다 :) 모카라떼님 화이팅입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