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랭시] 월부챌린지 349회 진행중 : 1월 31일차 #1 [신문기사]

 

신문기사 정리

  • 서울 강남구 압구정2구역은 심의를 거치며 건물 높이가 250m 확정되었고 건물 높이를 70층→65층으로 낮췄다.
  • 이 과정에서 압구정 주민들은 ‘건물 높이’보다 ‘천장 높이’를 선택했다.
  • 현재 주택 건설 기준에 따르면 거실과 침실의 천장 높이는 2.2m 이상, 천장 위 전기와 각종배관이 있는 설비 공간을 포함한 한 층의 높이는 2.4m 이상으로 해야 한다.
  • 1980년대 아파트들이 대량 공급하기 시작하면서 경제성을 맞추기 위한 목적으로 2.2~2.3m 천장고를 계획한 이유이기도 하다.
  • 우물형 천장까지 합해도 2.5m를 넘지 않는 게 소위 ‘국룰’이었다.
  • 하지만 고급 아파트들은 높은 천장고 설계를 경쟁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 성수동 아크로 서울포레스트 등 고급아파트는 최대 2.8-2.9m 의 천장고를 설계했다.
  • 아크로리버파크나 래미안 원베일리 아파트도 지역 아파트들보다 10-20cm 높이는 경향이다.
  • 높은 층고는 개방감, 체감 면적 증가, 일조량, 환기량 개선, 고급스러운 공간 연출이 가능하다.
  • 높은 천장고의 장점에도 건설사들이 섣불리 적용하지 못하는 건 수익성 감소 탓이다.
  • 지역마다 고도 제한이나 용적률이 있기 때문에 가구당 천장고를 높이면 최소 1개 층, 많게는 2개 층까지 건설을 포기해야 한다.
  • 그렇기 때문에 분양 경쟁력 있는 인기 지역에서나 적용할 수 있는 설계라고 설명한다. 

 

 

 

✅ 생각 정리

  • 기사의 이야기처럼 우리가 살고있는 아파트들은 대부분 층고 2.85m, 천장고 2.3m 수준의 아파트다.
  • 최근 신축도 대부분 비슷한 높이가 적용되고 우물형 천장으로 거실만 2.4-2.5m 천장이 적용된다.
  • 층고가 높은 건물들과 낮은 건물들은 현장에서 체감하면 알 수 있다.
  • 실제로 30층짜리 건물이 높이규제, 일조권 등의 이유로 90m 높이(30층*3m층고)에 맞췄다고 가정한다면 각 세대별 층고 20cm를 확보하면 건물이 89.6m(28층*3.2m층고) 28층으로 2개층이 줄어들어다.
  • 한개층에 4개의 집이 들어간다고 치면 천장고 20cm 확보로 8세대가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 공사비는 문제보다는 분양하는 가구수가 줄어들어 84세대 기준 10억으로 치면 사업성이 -80억 감소하게 된다.
  • 건설사가 층고를 쉽게 높이지 못하고 최적화된 2.85m를 가져가는 이유이다.
  • 빈땅이 없는 서울 대부분의 아파트 사업들은 이제 재건축재개발로 인한 분양이다.
  • 사업 주체는 조합원(일반인)들이고 층고를 위해 세대수를 줄인다면 각자 내는 분담금 부담이 있을 수 밖에 없다.
  • 아파트 재건축 분담금이 결국 “수입(분양) - 지출(공사비)”로 단순하게 보자면,
  • 층고 상향으로 80억의 분양 수입 감소를 조합원들이 부담해야하기 때문에 사업적으로 좋은 선택은 아니다.
  • 결국 이는 상급지와 하급지의 양극화를 만든다고 생각한다.
  • 여유가 있는 조합원(강남3구 등)들은 더 좋은 자재, 더 좋은 천장고를 확보해 더 비싼 분양가를 책정해 수입을 극대화할 것이다.
  • 하지만 3-5급지의 보편적인 조합원들과 사업지들은 쉽게 공사비를 올리거나 고급화하기엔 부담이 있다.
  • 지금의 아파트 상품성이 땅의 가치를 떠나 급지별 아파트 가격을 벌리는데 일조하게 된다.
  • 압구정이 위의 신문기사와 같은 선택을 할 수 있는 것은 그만큼 삶의 여유가 있어서 라고 볼 수 있다.
  • 최근 핫이슈였던 한남4구역의 설계를 보아도 천장고 2.7m를 확보하는 등 고급화에 집중하고 있다.
  • 반면 최근 분양한 방화동 강서센트럴자이나 최근 입주한 동대문구 래미안라그란데는 천장고 2.4m이다.  
  • 장기적으로 남는 건 땅의 가치이지만 단기적으로는 상품성도 가격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 번외로 리모델링은 재재 사업보다 분담금도 크고 층고 확보도 불가능하다. 90년대식 건물이 요즘 리모델링 되는 추세라고 본다면 여전히 2.3m 천장고로 살아야 하는 단점이 있다. 사업성과 만족도는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천장고, 층고 개념 
한남4구역 현대건설 제안 층고 2.7m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


댓글


민민이user-level-chip
25. 01. 31. 08:04

호랭시조장님 오늘도 좋은 기사 인사이트 감사합니다!오늘도파이팅^^

우가행user-level-chip
25. 01. 31. 08:32

호랭시님 기사 감사합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호이호잉user-level-chip
25. 01. 31. 09:49

호랭시님 매일 기사정리 감사합니다💛 BM하고싶습니다!ㅠㅠ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