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3월 돈버는 독서모임 - 소득혁명
독서리더, 독서멘토

책 제목 : 부동산 트렌드 2025
저자 및 출판사 : 김경민외 5인 / 와이즈맵
읽은 날짜 : 2/3/25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부동산빅데이터 #서울대장아파트분석 #슈퍼사이클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8
내용이 너무나 알찬 나머지 나에겐 한번으로 이해하고 기억하기엔 다소 어렵게 느껴졌다.
올해 안에 몇 번 더 곱씹어 읽어보며 10점을 채워야겠다.
1. 저자 및 도서 소개
일단 저자가 여러명으로 부동산, 도시계획, 건축, 빅데이터 등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쓴 책이다.
과거 부동산 가격 등락의 원인을 파악하고 패턴을 분석해봄으로써 다가올 25년 부동산 상황이 어떻게 진행될 지에 대한 시나리오와 인사이트를 공유한다. 어떻게 하면 부동산을 통해 수익을 낼 수 있는지와 같이 투자자의 구미를 당기는 말을 하기 보다는 과거와 현재 상황에 대한 '팩트'를 다루는 것에 가까워서 나도 최대한 객관적으로 부동산 정책이나 시장 상황을 바라보는 시각을 기를 수 있었다.
2. 내용 및 줄거리
이 책은 25년도에 부동산이 오를 확률이 더 높을 것으로 베팅하고 있는데 08~13년까지의 하락기, 13년~21년 동안의 상승기, 22~24년도 하락기, 그 이후의 정체기 및 상승기를 하나하나 뜯어서 그 원인을 파악하고 현재 상황에 적용해보며 다가오는 25년도 부동산이 오를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1. 인플레이션에 따른 전월세 가격 상승
2. 공급부족(PF사태에 따른 토지가 상승-> 사업수지 맞지 않아 집을 안 지음)
3. 빌라포비아(빌라보단 아파트, 임대보단 매매 선호)
상기 삼박자가 맞아 떨어지니 당분간 부동산은 오를 수밖에 없긴 하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왜 너나위님이 책을 읽고 시장 상황에 대한 감을 잡으라는 건지 이해할 수 있었다. 다만, 무조건 받아들이고 수용하기 보단 다른 채널을 통해서도 검증의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
3.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앞마당을 늘릴 때는 내가 타겟하는 지역에 한정해서 보게 됐는데 부동산 메가트렌드를 살펴봄으로써 그동안 놓치고 있던 부동산의 거시적인 큰 흐름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집값 등락의 원인을 하나하나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다가올 여러 상황에 대해서도 스스로 적용하고 분석할 수 있는 훈련을 할 수 있었다.
4.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
전자책 P120
"임대차 2법(계약갱신청구권제, 전월세상한제) 역시 폐지되어서는 안 되는데, 4년(2년+2년)의 계약 기간과 갱신 계약 시 임대료 5% 상한 조건은 선진국의 임대차 계약에 비해서도 아주 낮은 수준의 거래 계약이기 때문이다."
이 책이 투자자나 정부 중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았다고 느꼈던 이유는 현재 시행하고 있는 부동산 정책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에서였다. 사실 투자자 입장에서 계약 갱신 청구권이 마냥 좋게 보일 수는 없는데 임차인의 권리 보호가 강한 다른 선진국에 비하면 전혀 팍팍하지 않은 수준이라고 하니, 그동안 너무 자본주의 속에서 나한테 불리하면 무작정 비판만 하고 있지 않았는지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었다. 실전 투자경험이 전무한 나의 생각은 아직 이런데 실제 투자자의 생각도 궁금하다.
댓글
백수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