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정책, 한국은 안전할까? 한국 기업에 드리운 압박

 

안녕하세요. 돌맹입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글로벌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취임과 동시에 멕시코, 캐나다, 중국을 대상으로

강경한 관세 부과를 추진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이것은 더이상 남의 나라의 문제가 아닙니다.
 

최근 백악관이 발표한 자료에서 현대차, 삼성전자, LG전자 등

한국 기업들을 직접 언급하며
대미 투자 확대를 압박하는 신호를 보내고 있는데요.

 

이제 한국 기업들도 더 이상

관세 압박에서 자유롭지 않은 상황입니다.


과연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한국 경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요?
기회가 될까요,

아니면 또 다른 부담이 될까요?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왜 관세를 밀어붙이는가?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경제의 가장 큰 문제를

무역적자로 보고 있습니다.


미국의 무역 적자가 가장 심각한 국가가 바로

멕시코, 캐나다, 중국인데요.
이 세 나라가 미국 전체 무역 적자의

45%를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기 때 협상을 시도했지만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고 판단해

2기 시작과 동시에 강력한

관세 압박을 통한 전략을 취하고 있는 것이죠.


강경 관세 정책,

미국 내부 반응은 괜찮을까?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정책을 강행하면서

미국 내부에서도 논란이 있습니다.


관세가 부과되면 결국

미국 내 물가 상승 또한 피할 수 없기 때문인데요.

 

예를 들어,

미국에서 소비되는 아보카도의 90%가 멕시코산인데

관세가 부과되면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큽니다.

캐나다산 메이플 시럽과 멕시코산 데킬라도 마찬가지이죠.

 

 

 또한, 멕시코산 자동차 부품에 25%의 관세가 적용될 경우

미국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자동차 가격이

평균 440만 원(3,300달러) 상승한다는 전망도 있습니다.

 

이렇다보니 산업계와 정치계에서의 반발도 나오고 있는 것인데요.

자동차, 철강, 반도체 업계는 제조 비용 증가와

소비자 부담이 커질 것을 우려하고 있고

공화당 내에서도 일부 반대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단기적인 피해가 있더라도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입장을 유지하며

관세 정책을 강행하고 있습니다.


한국 기업 직접 거론하며 압박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정치적·외교적 무기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이 직접적인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되었다고 해서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보여요.

 

백악관이 발표한 자료에서

한국 기업들이 직접 언급되었다고 하는데요.

 

대표적으로 현대차의 경우 조지아주의 새 공장을 관세 해결책으로 홍보했고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멕시코 생산라인 일부를

미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현대자동차그룹이 22일 미국 조지아주에 전기차 전용 공장 신설을 공식 발표했다. 장재훈 현대차 사장(오른쪽)과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왼쪽)이 21일(현지 시간) 미국 현지에서 투자 협약을 맺은 뒤 악수하고 있
출처: 동아일보

 

이미 언론에 보도된 내용이 많았지만,
대미투자를 늘리고 미국으로 공장을 옮기라는

무언의 압박처럼 들리기도 하죠.

 

미국이 한국에게 관세를 무기로

방위비 인상까지 압박할 수 있다는

우려섞인 전망이 나오는 만큼

미리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 기업들에게 미치는 영향

 

미국 국경에서 불과 200km 떨어진

멕시코 몬테레이에 위치한 기아차 공장은
지난해 약 25만 대의 차량을 생산했으며,

그중 절반가량을 미국에 수출했습니다.

 

기아자동차 멕시코 몬테레이 생산기지
몬테레이 기아차공장


삼성전자, LG전자, 포스코 등

멕시코에 진출한 한국 기업은 92곳에 달하며,
이들은 미국·멕시코·캐나다 자유무역협정(USMCA)을 통해

무관세 혜택을 받아왔습니다.

 

하지만, 이번 관세 정책으로 인해 이 기업들은 더 이상

무관세 혜택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당초 저렴한 인건비와 자유무역 혜택을 활용하기 위해

멕시코에 공장을 세웠지만, 관세 폭탄이 현실화되면서

생산량 조정이나 수출 다변화 등의 대책이 불가피해졌습니다.


한국, 다음 타깃이 될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직접적인 관세 부과 대상으로 삼지는 않았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캐나다 이후 유럽

다음 관세 대상이 될 것이라고 공언한 상황인데요.

 

출처: 뉴시스

 

반면, 한국은 중국의 1/5, 유럽의 1/3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아 관세 부과 우선순위에서

다소 뒤에 위치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반도체·철강·의료산업 등에 대한

추가 관세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한국의 주요 산업들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 한국은 수출 중심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어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될 경우

타격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오늘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처럼 불확실한 시장 환경에서는 리스크를 줄이고

현명하게 재테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불안한 시장에서도 기회를 찾을 수 있습니다.
변화하는 경제 흐름을 읽고 철저한 대비 전략을 세워야 할 때입니다.

 


댓글


user-avatar
수수진user-level-chip
25. 02. 05. 18:15

와.. 반도체, 철강, 의료산업! 트럼프대통령이 주는 영향이 생각보다 많네요..! 꼼꼼히 체크해보겠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돌맹님^^

user-avatar
허씨허씨user-level-chip
25. 02. 05. 18:16

와 트럼프 대통령 관세 정책이 멕시코, 캐나다에 그치지 않고 추가적으로 우리나라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군요. 유익한 글 감사합니다

user-avatar
오르디user-level-chip
25. 02. 05. 18:17

관세 정말 어떻게 될지 너무 궁금하네요... 돌맹님 좋은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