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돈버는 독서모임 독서후기- 부동산 트렌드 2025 져투밀

  • 25.02.07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부동산 트렌드

저자 및 출판사 : 김경민 외 5명 WISE MAP

읽은 날짜 :  2025.02.07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인플레이션    #공급절벽    #전세가격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8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계획 전공 김경민 교수님, 유튜브 영상으로 몇번 본적이 있는데 통찰력과 분석력이 뛰어나다고 생각했다. 책에서도 분석력과 뛰어난 통찰력을 엿볼 수 있었다.

 

 

2. 내용 및 줄거리

 : 

 

2024년 부동산 시장 다시보기 

빅데이터로 분석한 서울&전국 아파트

2025년 부동산 투자 빅이슈 TOP6

12개 대장단지 상세 리포트

2025년 부동사 가격 대예측

주목해야 할 ‘핫 플레이스’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작년 부동산 시장을 뒤돌아보고 데이터를 통해 부동산 시장의 흐름을 알 수 있었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같은 서울시장이더라도 먼저 상승을 이끄는 지역, 뒤따라가는 지역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남구의 매매가격이 가장 먼저 상승하고, 이어 분당과 수지에 상승 여파가 퍼진다. 강남구가 가장 먼저 높은 폭으로 상승하고, 강남구의 상승폭이 둔화될 때 분당구는 상승기세가 확장이되고, 수지구 또한 큰 상승을 보여준다. 하지만 2013년 1분기 부터 2024년 2분기까지 강남구와 분당구의 누적 상승률은 100% 이상 상승했지만 수지구는 82%에 그쳤다. 이는 수지구에는 아직 새로운 아파트를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있기 때문이다. 월부에서 말하는 입지독점성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빈땅이 많기 때문이다.

 

앞으로 서울 아파트 공급이 부족하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지만, 빌라와 아파트 모두 공급이 심각하게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2025년에 서울시에 약 2만 6천채의 아파트가 입주예정이다. 이마저도 서초구에 약 4800채, 나머지 1만 5천채는 동북권인 동대문구 (장위동, 휘경동, 이문동)에 몰려있다.

2026년에는 서울시에 약 1만 2300채의 물량이 입주 예정이며, 2027년에는 이보다 더 적은 약 9600채의 아파트가 입주 예정이다. 역대급 공급부족이 3년간 예상된다. 금리 또한 낮아진다면 부동산 수요를 자극시키기에 충분한 조건들이 갖추어져서 상승 방향으로 이어질 것 같다.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 129 

:PF 대출 문제 

정부의 정책으로 PF 대출이 예외적으로 계속 연장되고 있다. 만약 정책방향이 변경되어 정부가 PF대출을 연장해주지 않는다면? 어떤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지 궁금하다.

 

 


댓글


져투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