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기초반 5기 147조 민트초] 1강 수강 후기

월급쟁이 부자, 조용한 숨은 부자로 가는 첫 단계를 너나위님과 함께 시작했다.

FIRE족이 되기 위해서는 재테크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재테크는 남들 다 하니깐 나도 하는게 아니라, ‘’해야 한다. 

일하지 않아도 내가 원하는 삶을 살기 위해서는 부자가 되어야 한다.

 

사회생활을 시작하고 처음 6년간 어떤 행동을 했느냐에 따라서 나중에 몇십억의 차이를 불러 일으킨다. 

돈을 벌기 시작하고 나서의 돈 관리는 가족, 사랑, 우정만큼 중요하다 .

 

1단계. 많이 번다.

2단계. 덜 쓴다.

3단계. 잘 굴린다.

 

굴리는 돈을 마련해야 하는 초년생은 1단계(번다)와 2단계(모으다)가 훨씬 중요하다.

어느 정도 돈을 모은 사람이라면 반드시 3단계(굴린다)를 익히고 오래 해나가야 한다. 

지난 일은 걱정하지 말고 지금부터 각자의 상황에서 최선을 다해야한다.

열심히 투자 공부하며 모으고, 모은 돈으로 투자를 시작하면서 계속 모아서 불린 돈으로 실전 투자를 실행한다.

모든 투자는 독서적절한 강의를 동반해야 한다. 

10년 후, 회사가 취미인 선배가 되고 싶다고 느꼈다.

 

돈 관리 점수를 알게 되고 통장을 최적화 하면서 내 현재 상황을 객관적으로 알 수 있었다.

더 이상 돈에 끌려 다니지 말고, 내가 돈과 싸워서 이겨야 한다.

돈의 흐름을 알 수 없고, 연회비, 연말 정산에 불리한 신용카드를 그 단점을 알면서도 계속 사용하고 있었다. 

앞으로는 체크카드를 사용하면서 돈의 흐름을 파악하고 무분별한 지출을 통제하자.

 

그 다음으로 재테크에 관심을 가지고 실행한다.

투자는 매수, 매도가 아닌 자산을 쌓는것이다.

1,2년 투자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뚝심을 가져야한다.

매달 50만원씩 연금저축을 통해 꾸준히 베타투자를 하면서, 언젠가의 알파투자를 위해서 종잣돈을 모으고 기회를 노려서 적절한 시기에 실행한다. 

즉, 저축 구조가 잡히면 투자 역량 강화에 집중해야 한다.

 

나는 여행이나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하는편인데, 건강한 재정상태를 위해서 연간 예산을 감안하지 않는 여행은 주의 해야겠다.

월 탕진비를 통해서 여행 자금을 모으고 이걸로 소비하는 습관을 가져야겠다. 

보험의 경우, 다행히 관리를 잘해왔기 때문에 너나위님이 알려주신 방법과 동일하게 유지하고 있었다.

 

* 너나위님이 40년 살고 깨닫게 된 인생의 진리 : 생각 → 감정 →  행동 → 세상

 

‘혹시라도, 나만 빼고 다 잘 먹고 잘 사는구나’란 느낌이 든다면, 

‘나는 계획을 가지고 미래를 준비하는 중이야’라고 생각을 바꾼다.

‘내가 제일 잘하고 있구나’라는 감정을 느끼게 될 것이다. 

‘더 벌고 모으고 불리는 방법은 뭐가 있을까’라는 행동을 하게 될 것이다.

그럼 이 세상은 내가 꿈꾸고 원하던 세상이 된다. 

 

재테크는 일할 수 있는 기간(30년) 동안 일하지 못하는 시기(40년)를 미리 준비하는 것이다.

진짜 게임은 50대 후반에 끝난다. 

그러므로, 인식 변화를 통해 미래를 준비하면서 현명하게 현재를 즐겨야 한다. 

 

투자는 감정과 사실을 구분하여 판단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남에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판단하겠다는 목표를 세워야 한다. 

 

자본주의 사회의 자본은 리스크를 의미한다.

하지만 할 줄 알면 위험하지 않다. 훈련과 준비를 통해서 이 리스크를 제어해야한다. 

리스크를 감수하겠다는 마음이 없으면 수익도 없다.

리스크를 다루는 것은 커다란 정신 노동이므로 투자는 불로소득(일하지 않고 얻는 소득으로 이자, 배당금, 임대소득)이 아니다.

당연히 투자를 잘 하기 위해서는 노력이 필요하다. 

 

경험이 없는 분야라면 겸손한 마음을 가지고 임한다.

저지르기 전에는 독서를 하고 멘토의 경험을 참고한다.

해야할 것들이 정리 되었다면 먼저 시작하고 이후 경험하며 진짜를 접하며 배운다.

 

이성적, 인내심은 모든 투자와 성공의 기본이다. 

아무리 돈을 많이 벌 수 있을 것 같아도, 잘못되면 큰일나겠다 싶은 것은 손대지 마라. 

많이 못벌더라도 대응이 될 만한 투자처를 찾아 작은 성공을 반복하며 복리의 마법으로 부자가 되어라. 

매달 꼭 월급의 50%는 자산으로 먼저 만들고, 나머지 지출을 한다.

이번 강의를 통해, 이전의 경험과 이번에 배운 내용이 합쳐져서 새로운 가치관과 기준을 만들 수 있었다. 


댓글


민트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