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부자로 가는, 종자돈을 마련해야 하는 시기
위표는 kb 부자보고서중 일부 발췌한 내용이다. 금융자산10억이상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보고서라서, 여기 등장하는 사람들의 평균 자산은 약70~80억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부동산, 10억 이상이 자격기준이고 그 속에서 평균이기 때문에) 위표는 결국 40세 종자돈*10=최종자산이 된다는 것을 뜻한다.
자수성가형은 평균 42세에 종자돈 7억을 만들었다. 금수저형은 평균 40세에 8억7천만원을 만들었다. 여기 등장하는 자산가들의 평균나이는 약 60대 정도로 추정되므로, 위 종자돈을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현재 가치로 보정하면, 10억~15억정도로 추정된다.
아마 20년후 부자보고서 상에 등장하는 사람은, 45내외에 종자돈 10억~15억정도를 모은 사람이 될 것이고, 이들은 65내외에 최종자산으로 약 100~150억 정도를 쥘 것이다. 만약 당신이 40대 초반인데 이정도 순자산이 있다면 일단 1단계를 통과한 사람이라고 보면 된다. 우리나라 평균연령의 증가와 생애주기상 노동기간이 길어질 것을 염두해서 5살 정도 올려서 추정했다.
나는 40세 이전에 목표로 하는 순자산 나누기10을 계산한 종자돈을 마련하는게 목표다. 올해안에 해당 순자산의 70%정도를 마련할 것으로 본다. 아마 3년안에 해당 순자산의 80%이상 마련은 거의 확실해 보이고, 100%는 시장상황이 도와준다면 가능할 것으로 본다. (원래 목표를 예상치보다 20%정도 높게 잡는 버릇이 있다)
인생의 종자돈을 왜 40초반 이전에 완성해야 하는가? 그이유는 바로 부양비 증가, 자녀 양육비 증가를 본격적으로 맞는 시기가 40대 중반 이후에 펼쳐질 것이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생애주기표를 보면 10대에 들어서면서 강력한 적자구간이 약 10년간 시작된다. 또 70세 이후부터 부모세대의 적자폭도 커진다. 보통 이 시기를 현재는 남자기준 40대중반~ 50대중반까지 맞는다. 물론 소득이 가장 높은 시기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들어가는 돈이 많기 때문에 추가로 불입금을 늘리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 50대 중반 이후에는 일차직장(고임금)의 본격적인 퇴직시기도 맞물리기 때문에 40초반에 종자돈이 최종 자산을 많이 좌우하는 것이다.
2. 올바른 위치에 놓여있는 종자돈
얼마의 종자돈을 갖는가?(양적인 문제)도 중요하지만, 해당 종자돈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가?(질적인 문제)도 중요하다. 올바른 포지션이어야, 해당 종자돈은 쑥쑥 자랄 것이기 때문이다. 인생의 종자돈을 올바른 위치에 배치하는 행위를 난 투자라고 정의한다. 투자를 바라보는 시각도 이제 많이 변했다. 옛날에는 보통 2~4년내의 수익률 게임이었다면, 이제는 오랜기간 동안 편안하게 머물수 있는 것인지가 제1 고려사항이 되었다.
핵심 1주택
개인적으로 원화자산 중, 으뜸은 공급이 제한된 서울 핵심지 1주택이라고 본다. 난 아직 3주택인데, 차츰 1주택으로 줄여나갈 것이다. 그러면서도 더욱 핵심지로 갈 것이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원주 신축 아파트는 26년에, 서초 주거용 오피스텔은 28년에 정리해서 1주택을 만들 예정이다. 27년에는 고덕 아파트에 부채없이 실입주 해서 좀 살다가 좋은 타이밍에 매도해 갭으로 최상급지를 잡아놓고, 월세로 다른 곳에서 살 예정이다. 그리고 4년후 그 최상급지 주택에 들어가서 사는 것이 목표다. 그러면 아마도 전용 59기준으로는 대한민국 어느 상급지라도 살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고덕 아파트 무부채 금액은, 최상급지 갭이다. 그래서 고덕 아파트를 이번에 매수한 것이다. 40대 초반에 최종 핵심지 주택을 갭으로 매수하고, 40대 중반에 해당 주택에 실거주 하는게 목표다.
미국지수 중심으로 구성된 연금3총사
국민연금, 퇴직연금(IRP), 개인연금으로 구성된 연금3총사에 26년부터 꽉 채워서 불입할 예정이다. 60세까지 불입을 하고, 이후 최소 5년정도 더 거치할 것이고(불입은 멈추지만). 건강이 좋고, 상황이 허락한다면 70세까지 거치하는게 목표다. 국민연금은 최대 불입액을 25년간 납부하고 5년 거치를 할 경우 133만원 정도 월에 지급된다. 거기에 두개의 연금에 1800 한도를 명목수익률7%로 굴리면, 20년 후에 7.38억을 쥔다. 원금을 깨지 않고 수익금으로만 생활한다고 가정시 월생활비는 430만원이 된다. 국민연금130을 더하면, 560만원의 생활비가 생긴다. 물가상승률3%를 제외한 명목수익률7%에 대한 계산이기 때문에 물가는 현재를 상상하고 해당 금액을 보면 된다.
여기에 추가 거치를 5년 더하면 10.35억이 되고, 원금을 헐지 않는, 월 생활비는 604만원으로 늘어난다. 국민연금과 더하면 약 734만원 생활비로 사용될 수 있다.
만약 10년 거치를 하게 되면14.52억이 되고, 원금을 헐지 않는, 월 생활비는 847만원, 국민연금을 더하면 977만원을 생활비로 사용할 수 있다.
국민연금은 아래 표와 링크를 참조하길(노령연금 기준)
3. 이 모든 가정이 들어맞을려면 가장 중요한 것은, 소득!
난 14년간 사업을 했다. 위와 같은 가정이 성립되려면 상당히 중요한 것이 있다. 바로 앞으로 최소 25년은 더 사업을 지속해야 한다는 점이다. 최소 국가평균 성장률 정도를 성장하면서! 즉 오랫동안 꾸준히 사업을 지속하는게 관건이다. 결국 위 가정이 성립되려면 최소한으로 지금수준을 25년간은 더 끌고가야 한다. 과연 무에서 유를 만들어간 지난 14년이 더 힘들까? 아니면 만65세까지 이런 수준을 최소한 평균적으로 유지하면서 가는게 더 힘들까? 아마 비슷한 난이도가 될 것으로 본다. 지난 세월 사업한 14년의 시간을 앞으로 2바퀴 더 반복하면 위 시나리오는 성립될 것이다.
원본글 : https://blog.naver.com/kyungjain
댓글
40전에 해야할 일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건 소득!!! 경자인님 좋은 글 감사합니다.
경자인님~~ 좋은 글로 인사이트 넓혀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자인님!
좋은 글을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경자인님의 글을 인기글로 지정하였습니다.
-월부 커뮤니티 운영진 드림-
인기글 화면 바로가기 👉 https://weolbu.com/community?tab=1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