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못맞췄을 때 해결하는 방법들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월부 강의를 듣고 이제 인생 처음으로 아파트 투자를 하고 싶어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근데 제가 걱정이 많은 성격이기도 해서

내집마련이 아닌 투자로 (전세를 끼고) 아파트를 매입했는데 

만일 전세를 못맞췄을 때는 어떤 방법으로 해결 가능한지 궁금해서요!

 

전세 못맞췄을 때 보통 어떻게 해결하시나요??

(전세 못맞추면 제가 주담대를 받아서 들어가야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했을 때 다음 세입자를 구하고 그 보증금으로 주담대 상환 조건으로 계약을 하는건지! 그리고 이런 식으로 

계약하면 세입자가 잘 안구해지는지 등등 처음이라 최대한 자세한 조언을 해주시면 너무 감사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지금 종잣돈은 3억이고 주담대는 3억까지 나오는거로 알고 있습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 알림🔔을 받으세요! 앱 추가하는 방법은 공지사항>신규멤버필독 < 여기 클릭!


댓글


늘배user-level-chip
25. 02. 13. 09:13

안녕하세요 옹칠님 전세가 안 맞춰지면 잔금을 대비하셔야됩니다.세입자를 구하신후 주담대를 상환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드림텔러user-level-chip
25. 02. 13. 09:32

이응칠님 안녕하세요~! 저도 처음에 전세 못맞추는 것에 대해 걱정을 했었어요. 보통 계약하고 3개월 뒤에 잔금을 한다고 하면 3개월 안에 전세 가격을 낮춰서라도 세입자를 구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3개월 동안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면 잔금을 쳐야 하는데 주담대 + 현금 + 신용대출 등으로 매매 가격만큼 준비해야 합니다. 하지만 대출을 하게 되면 중도상환수수료 + 이자 등 금융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세 가격을 낮추는 것이 경험상 더 좋더라구요. 만약에 잔금을 하게 되면 그때부터는 공실로 두고 세입자를 구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딩동댕2user-level-chip
25. 02. 13. 09:56

이응칠님 안녕하세요 :) 잔금 리스크에 관한 고민이 있으시군요. 텔러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아파트 매매 가격에 대한 잔금을 현금 + 주담대 + 신대 를 해결해야 합니다. 따라서, 잔금에 대해 감당 가능하신지를 반드시 알아둬야 합니다. 다만, 잔금 리스크를 헷지하는 방법도 있는데요. 세낀 물건을 산다거나, 주인전세물건, 매매전세 동시계약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요 부분은 강의를 통해 더 자세히 알아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열반스쿨기초반에서 투자기준에 대해 너바나님이 자세히 알려주십니두. 이응칠님 빠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