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차 강의 후기_단 생 공/ 공 수 포]
▶ 부동산 투자자라면, 당연히 알아야 할 전세 A to Z!
- 이때까지는 가치 있는 집을 싼 가격에 매수하여 목표한 금액까지 버티고 투자시장에 오래 살아남는 방법을 배웠다면, 큰 틀이 아닌 매수 직후 or 동시에 진행 해야하는 전세를 놓는 모든 것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
- 전세 프로세스를 알아야 한다.고는 인지 했지만, 제대로 배울 수 없었는데, 양파링 강사님께서 핵심 목차로 설명해 주셔서 이해하기 쉬웠던 것 같다.
- 하지만, 실제로 이 과정을 행하지 않아 100% 이해하지는 못한 것 같고, 잘 정리 했다가, 매수를 하기 직전에 전세에 대한 내용도 이번 강의에 정리해놓은 것들을 봐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 '25년 상반기 전세 시장 상황
- 내가 투자하고자 하는 광역시 상황은 매우 좋다..!!!!! 하자 제발(전세가율이 점점 올라온다..!, 공급도 줄고 있고, 전세 매물도 없다!)
▶ 전세 셋팅을 위해 알아야 할 것(유형 & 프로세스)
- 전세 셋팅의 대표 유형 3가지를 정리해서 각각의 장/단점을 알려 주셨고, 특수한 경우(주인전세, 전세낀)에 관해서도 정리를 해주셔서 실제 전세를 놓지는 않았지만 생길 수 있는 여러 시나리오를 대비할 수 있을 것 같다.
▶ 전세물건 1등 만들기_단 생 공/ 공 수 포
- 전세 가격을 적절하게 정하고 부사님께 의존하는 것이 아닌, 내가 직접 판단하기 위해서는 단지/ 생활권/ 공금에 대한 이해를 해야한다고 알 수 있었다.
→ 의사결정은 내가 하는 것!
※ 소액 투자 시 전세보증 보험에 대해서도 알아야함. ① KB/매매/일반 ② 90%, ③ 승인시점 - 임대 기간 설정을 위해서는 공급/ 수요/ 포트폴리오를 체크하자.
▶ 계약단계부터 챙겨야 할 전세 셋팅
- 매수 결정을 하기 전(가계약금 송금 전) 등기부등본을 확인_갑구, 을구, 페이지 하단
매매 계약 시 매매계약서를 꼼꼼히 확인_금액, 계약금, 중도금 유무, 잔금, 잔금일자, 특약 등
→ 책임은 내가 지는 것.
▶ 임대리스크 줄이기
내가 아무리 경험이 많았다고 해도 이렇게 여러 상황을 만났을때, 잘 대응했을까라는 생각을 해보았는데, 쉽지 않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올 해 매수 직전에도 이번 주차 내용을 잘 복기 하고 판단 시 활용해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