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중급반 - 10억 달성을 위한 부자 마인드 갖는 법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잊기 전에 기록하기
1) 25년 상반기 전세시장 상황
-. 대출규제 이후, 수도권-지방 모두 매매물량 증가함.
-. 대출규제 이후 수도권 전세매물은 증가했지만, 입주 진행중인 지역을 제외하고 다시 감소세
지방의 경우 공급이 마무리되는 지역은 매물감소 (특히, 울산광역시-청주시)
2) 전세 셋팅 유형
-. 세낀 물건 : 이전 임대인과 임차인의 약속을 그대로 지켜야 함.
※ 투자 검토 3단계 :
전세보증금액 (현재 전세시세와 비교)
임대만료일 (재계약 시기 공급물량 체크)
갱신요구청구권 사용여부 (만기 전 임차인이 이사를 간다면? 재계약때 전세를 제 가격으로 받을 수 있을지?
※ 최초 전세계약 시 2년은 의무거주, 이후 계약갱신권 사용 시 2년은 의무 아님
중간에 퇴거 시 전세금 돌려주어야 함. (단, 묵시적 갱신 시 최대6년 거주 가능)
-. 주인전세 : 매수시점 임대 리스크가 있거나 매수인에게 잔금 리스크가 있는 경우 유리
단점) 만기시점 공급, 매매가 상승 시 전세협조 x , 소극적 하자체크
3) 적정 전세가 설정하는 방법
-. 단생공 : 단지(단지 내 비교), 생활권 (생활권 내 비교), 공급 (현재 공급물량, 이후 공급물량)
4) 소액 투자 시 체크사항
-. 전세보증보험 : 보증한도 기준 (kb 매매/일반 - 90% - 승인시점 기준)
5) 임대기간 설정법
-. 공수포 : 공급(공급물량의 규모,시기,상세 위치를 확인 영향권 범위 가늠)
수요(본인이 투자하는 지역,단지,평형의 수요를 아는게 중요)
포트폴리오(보유주택수가 늘어날 수록 임대 포트폴리오로 재계약 시기 분산 필요)
※ 임대 만료일은 투자자 본인이 조절할 수 있는 영역임,
한순간의 선택이 몇년치의 리스크를 좌우하게 됨.
6) 법인 임차인 : 특약내용 중요
7) 등기부등본 확인사항 : 소유자, 가압류-가처분-가등기, 근저당권, 열람일시, 페이지
2. 나에게 적용할 점
1) 투자물건을 선택한 후 임대과정 중에 반드시 체크해야 될 사항
-. 전세금 설정 (단지-생활권-공급)
-. 전세기간을 설정 (공급-수요-포트폴리오)
댓글
현즈파파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