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룰루랄라7] 월부챌린지 141회 진행중 : 2월 19일차 (칼럼필사 #

[샤샤와 함께] 1등 뽑을 때 반복되는 오답을 피하는 방법

https://cafe.naver.com/wecando7/8358949


[샤샤와 함께]

1등 뽑을 때 반복되는 오답을 피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글쓰는 투자자 샤샤와 함께입니다. 

 

오늘은 투자 물건 1등 뽑을 때

가장 많이 하는 실수와 오답들을 알아보고

 

여러분이 오답 구덩이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법까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실수,

좋은 단지가 1등이다.

 

와, 여기 살고 싶다.

우와, 이 단지 사고 싶다.

 

임장다니면서 이런 생각이 

저절로 들었던 곳이

여러분에게도 있었을 거에요. 

 

초보 투자자가 1등 투자 물건을 뽑을 때

가장 많이 저지르는 실수는 바로

 

생활권이 좋으면

혹시 단지가 좋으면

좋은 투자 물건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는 점입니다. 

 

투자를 한 마디로 정의하면

가치 대비 가격이 싼 물건을 사는 것입니다.

 

여기서 꼭 알아야 할 정보는

크게 두 가지, 가격과 가치입니다.

 

생활권 선호도와

단지 선호도를 구분하는 것은

해당 단지의 입지(가치)를

파악하기 위한 활동입니다. 

 

따라서 생활권 순위와

단지 순위를 파악하는 것으로는

투자 1순위를 알아낼 수 없습니다.

 

좋은건 알겠는데

그래서, 가격도 저렴한가?

 

라는 가장 중요한 질문을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 지역 사람들이 정말

누구든지 살고 싶어하는 

좋은 단지더라도

 

가격이 싸지 않다면

투자자로서는 매력이 없는 

투자물건일 확률이 높습니다. 

 

"

가장 좋은 생활권

누가 봐도 좋은 단지보다는

괜찮은 생활권, 괜찮은 단지이면서

가격이 싼 곳이 1등일 확률이 높다.

"

 

두 번째 실수,

가격이 같으면

같은 입지다.

 

두 번째로 많이 하는 실수는

물건의 가격이 같을 때

가치도 같다고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가격이 같으면

비슷한 입지일 확률이 높긴 합니다. 

 

하지만 늘 가격과 가치가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아파트 가격이 50% 내려 갔다고 해서

그 입지 가치가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때로는 가치가 반영되는데

시간이 더 걸리기도 합니다. 

 

이러한 현상 덕분에

저평가 투자가 가능합니다. 

 

때문에 가격이 같더라도

도시-생활권-단지가치를 살펴

어디가 더 좋은 곳인데, 싼지를

투자자 관점에서 고민해봐야 합니다. 

 

"가격과 가치는

늘 일치하지 않는다.

가격이 같다면

가치가 더 좋은 곳을 찾는다.

"

 

세 번째 실수,

구축 vs 신축

얼마 차이가 나야할까?

고민한다. 

 

비슷한 상품끼리 해야 한다.

비슷한 상품이란

-비슷한 연식

-같은 평형

 

이렇게 비슷한 상품끼리

비교해야 입지에 대해서만

혹은 가격에 대해서만

비교가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서로 조건이 다르기 떄문에

 

얘랑 쟤는 구축, 신축인데

(혹은 광역시, 중소도시인데)

얼마나 차이가 나는게 적당하지?

 

라는 질문만 남게 됩니다. 

 

물론 나중에 투자 경험이 쌓이고

많은 지역을 알게 되면

얼마 정도 차이 나야 한다는

감이 생기게 됩니다. 

 

하지만 아는 지역이 몇 안되고

가격 흐름에 대한 감이 없는

초보 투자자의 경우에는

오히려 혼란만 가중됩니다. 

 

따라서 반드시,

연식과 평형을 비슷하게 두고

비교해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

앞마당 10개 이하 초보라면

상품(연식/평형)이 다른 물건을 

비교하지 않는다.

 

비슷한 상품을 비교하는 것부터

비교평가를 시작한다. 

"

 


[본]

▶초보 투자자가 1등 투자 물건을 뽑을 때 가장 많이 하는 실수는 생활권이 좋으면 혹시 단지가 좋으면 좋은 투자물건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연식과 평형을 비슷하게 두고 비교해봐야 한다.

 

[깨]

▶투자자는 다른 관점이어야 한다. 남들이 다 좋아하는 물건이 아니라 가치 대비 가격이 싼 물건을 사는 것이다. 

▶생활권 선호도, 단지 선호도를 구분하는 것은 해당 단지의 입지를 파악하기 위한 활동이다. 따라서 생활권 순위와 단지 순위를 파악하는 것으로는 투자 1순위를 알아낼 수 없다. 

 

[적]

▶가격이 같다면 가치가 더 좋은 곳을 보자. 괜찮은 생활권, 괜찮은 단지에서 기회를 잡자!

▶비슷한 상품을 비교해야 한다.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


댓글


룰루랄라7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