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적한투자] 독서후기 #25-2-3 회복탄력성 / 김주환

 

책 제목 : 회복탄력성

저자 : 김주환

출판사 : 위즈덤하우스

한줄 요약 : 어떠한 시련에도 앞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마음이 곧 회복탄력성의 비밀이다.

 

 

 

1. 생각

#긍정, #행복, #강점

생소한 용어들이 많이 등장하긴 하지만 회복탄력성이라는 단어가 결국은 고난과 시련과 같은 힘든 상황에서 주저앉지않고 이겨내고 성장하며, 빠르게 원래 상태로 돌아오기 위해 과학적으로 증명된 사실들을 알려주는 책이다. 기본적으로 긍정이라는 마음가짐에서 시작되며, 얼마든지 훈련을 통해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말해주는 부분이 인상 깊었다.

 

 

 

2. 책을 읽고 본 내용 & 깨달은 내용

 

본것 / 깨달은것

 

PART 01 마음의 근력, 회복탄력성

21p 떨어져본 사람만이 어디로 올라가야 하는지 그 방향을 알고, 추락해본 사람만이 다시 튀어 올라가야 할 필요성을 절감하듯이 바닥을 쳐본 사람만이 더욱 높게 날아오를 힘을 갖게 된다. 이것이 바로 회복탄력성의 비밀이다.

→ 이미 올라가봤던 곳이기 때문에 어느정도 높이 인지 알고 어떻게 해야 다시 올라갈 수 있는지 알고 있기 때문인것같다.

 

 

 

PART 02 나의 회복탄력성 지수는 얼마인가

63p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은 스스로의 실수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지닌다. 그들의 뇌는 습관적으로 보다 더 과감하고 도전적이어서 늘 새로움을 추구한다. 자신의 실수에 대해 예민하게 반응 하되,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 긍정적인 퇴의 특징이다.

 

81p 회복탄력서잉 높은 사람들은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으면서도 자신의 실수에 대해서는 스스로 민감하게 알아차리는 뇌를 지닌 사람들이다. 설령 실수를 범한다 해도 실수로 부터의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받아 들이는 습관이 들어있는 뇌를 지닌 사람들이다. 반면에 회복탄력성이 낮은 사람들은 실수를 지나치게 두려워한다. 이런 사람들은 실수를 덜 하지만 정작 실수를 했을 경우에 그들의 뇌는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다. 실수를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받아들이려 하기보다는 억누르고 무시하려는 무의식이 작동한다고도 해석할 수 있다.

→ 주변에도 잘 돌아보면 이런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들이 확실히 도전적인것 같고 결과가 좋지 않을때도 크게 좌절한다거나 하지 않고 바로 다음 할 일을 하는 모습을 보였던 것 같다.

 

83p 회복탄력성을 높이려면 내 삶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들을 보다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뇌가 필요하다. 무의식적인 수준에 자동적으로 내가 겪는 경험에 긍정적인 스토리텔링을 해주는 '기억하는 자아'가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긍정적이고도 회복탄력적인 뇌는 훈련을 통해서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회복탄력성은 뇌에 새겨진 습관의 문제다.

→ 긍정적인 생각, 수용성 등을 훈련하고 습관해서 무의식에 각인 시켜야 하는 것 같다.

 

84p 지식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다. 배움을 통해서 얻어지는 명시적 지식과 익힘을 통해서 얻어지는 암묵적 지식이다.

머리로 배우는 명시적 지식은 역사적 사실을 암기하거나, 논리적추론을 이해하는 지식이다. 역사나 과학, 수학 등의 과목이 이에 해당한다. 암묵적 지식은 반복적인 연습과 훈련을 통해서 몸으로 체득해야만 하는 지식이다. 악기 다루는 것, 자전거타는 것, 그밖의 다양한 스포츠 기술 등을 배우는 예체능 과목이 대표적인 예다.

 

 

 

PART 03 회복탄력성의 첫 번째 요소ㆍ자기조절능력

115p 긍정적 정서는 사고의 유연성을 높여주고,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고, 집중력과 기억력을 증가시켜 인지 능력의 전반적인 향상을 가져온다는 것을 밝혀냈다.

 

117p 긍정적 정서는 무언가 새로운 것을 찾으려는 진취성과 도전성도 키워준다. 예컨대 부정적인 정서가 많은 사람은 늘 하던일만 하고 먹던 것만을 먹으려는 반면, 긍정적인 정서가 많은 사람은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하다. 행복한 사람은 그래서 좀 더 도전적이고, 진취적이고, 늘 새로운 것을 추구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행복하고 긍정적인 사람에게 늘 더 많은 기회가 찾아오는 이유다.

→ 한 두번 도전하여 실패에 좌절하지 않고 계속해서 도전할 수 있는 긍정성을 가져야 이 시장에서 살아 남을 수 있을 것 같다.투자에서 물건이 날아갔을때의 무던함도 중요하겠지만, 월부안에서 더 높은 환경으로 올가가기 위한 도전에서는 긍정성과 지속성이 필요한 것 같다.

 

129p 공부 자체의 즐거움을 가르쳐야 한다. 공부하는 것이 다른 어떤 놀이보다 재미있다는 것을 가르쳐야 한다. 세계 역사를 보면 사람들이 먹고사는 문제가 다 해결된 다음에는 늘 지적 유희를 즐겼다. 글을 읽고 글을 쓰고 여러 가지 창작 활동에 몰입했다. 공자도 논어의 첫 머리에서 "배우고 익히면 또한 희열을 느끼지 않겠는가"라고 이야기 했다. 공부의 목적이 권력이나 지혜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짜릿할 정도의 기쁨, 곧 희열에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 배움과 경험을 통해 통찰력이 쌓이는 기쁨, 희열. 아파트만봐도 즐거워야한다.

 

138p 정상에 오르는 것을 '목표'로 두기는 하되, 내딛는 발걸음 하나하나를 즐기면, 즉 과정을 즐기면 힘들지 않고 정상을 향해 갈 수 있다. 이것이 칙센트미하이가 말하는 몰입 혹은 최적의 경험이다. 그렇기 때문에 행복은 '성공의 결과'라기보다는 '성공에 이르는 길'이라 할 수 있다. 성공한 사람이 행복하다기 보다는 행복한 사람이 성공하는 것이다. 회복 탄력성이 높은 사람이 행복해 진다기 보다는 행복해져야 회복 탄력성이 높아진다는 뜻이다.

→ 힘들지만 즐길 수 있어야 한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 같다.

 

 

 

PART 04 회복탄력성의 두 번째 요소ㆍ대인관계능력

208p 수천 년 동안 인류는 대인관계를 교육의 핵심으로 파악하고 가르치고 배워왔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인간관계에 대한 교육은 실시하지 않는다. 오늘날 전세계 모든 나라에는 비슷한 과목 간의 서열 구조가 있다. 언어와 수리 관련 과목이 항상 높은 위치에 있다. 언어와 수리능력을 강조하는 것은 임금노동자로서 요구되는 자질이기 때문이다. 공자나 예수나 소크라테스가 가르쳤던 인간관계의 덕몽은 사실 리더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이다. 그러나 현대 학교 교육에서는 리더를 길러내지 않는다. 현대 의무교육의 목적은 임금노동자를 길러내는 데 있다. 그것이 국가가 주도하는 의무교육의 기본정신이다.

 

213p 친구를 얻는 가장 쉬운 방법은 다른사람에게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다. 관심을 끌려고 애쓰는 2년보다 다른사람에게 관심을 보이는 2개월 동안 더 많은 친구를 얻을 수 있다. 배려하고 관심을 표명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

→ 먼저 다가가기. 어렵지만 제가 한번 해보겠습니다.

 

 

 

PART 05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

233p 낙관성을 지닌 사람은 무엇인가를 해낼 수 있다는 스스로에 대한 믿음이 있으며, 자신의 한계밖으로, 일상 너머로 뻗어 나가려는 적극적인 자세를 지닌다. 낙관성은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게 하며, 익숙한 현실과 반복적인 일상에 안주하기를 거부하고 새로운 영역으로 스스로 확대시켜 나가려는 자세를 유지시켜준다.

→ 더 성장하고 나아는 삶, 나 자신을 한계짓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는 것에서 성취감과 행복감을 느끼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

 

238p 행복의 기본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의 고유한 강점이 무엇인지 깨닫고 그것을 일상생활 속에서 꾸준히 수행하려는 노력을 해야만 한다. 강점 수행을 통해서만 진정한 발전이 잇을 수 있으며 긍정적인 뇌를 만들어갈 수 있다. 역경과 시련을 이겨내고 뛰어난 성취와 위대한 업적을 이뤄낸 사람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어려서부터 자신의 강점에 집중하고 끊임없이 키워나갔다는 데 있다 .이것이 긍정심리학의 가장 중요한 발견이다.

→ 고유강점을 알고 수행하면서 부족한 부분은 지속적인 도전을 통해 나의 강점을 계속해서 확대시켜 긍정적인 부분을 더 확장한다.

 

 

 

 

3.책을 읽고 삶에 적용할 부분을 써 주세요. (내 삶에서 변화시켜야 할 부분, 변화시키기 위한 아이디어, 아이디어를 적용할 구체적인 계획 등)

* 투자

-. 실수가 발생했을 때 그것을 복기하면서 다음번에는 같은 실수를 하지 않겠다고 다짐하기.

-. 투자 동료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항상 유지하기. 좋은 동료 되기. 먼저 다가가기

-. 질문,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기.

 

* 마인드

-. 긍정적 스토리텔링을 하는 습관이 뇌에 스며들도록 훈련한다.

-. 나는 겸손이라는 생각으로 내 스스로를 낮춰서 말할 때가 많은데, 상대의 칭찬에 대응 할때나 내가 스스로 나를 드러내야할때는 지나친 겸손은 주의하자.


댓글


적적한투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