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중급반 - 10억 달성을 위한 부자 마인드 갖는 법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마지막 주우이님의 강의. 길었다.. 그만큼 알찼다.
복기하자면,
1. 지방 vs 수도권 투자 특징 비교
-. 서울 4급지 이상 / 수도권 4급지 이상
-. 광역시 / 중소도시
→ 투자금, 장점, 리스크에 따른 투자 시 핵심고려사항.
→ 특히 공급 리스크 관점에서 각 지역별 투자 전략.
2. 나에 맞는 투자 지역
-. 종잣돈 및 연간 저축액을 고려 시 어떻게 투자를 운용할 것인지.
3. 수도권 투자
-. 입지독점성 및 그에 따른 급지 분포
-. 전세가율로 읽는 매매가 수준 파악
-. 내 투자금으로 가능한 지역 분석 및 가이드(이렇게나 디테일하게??)
-. 투자 준비의 꽃, 5순위 시세표
→ 내 앞마당에서 이 정도 금액이라면 바로 비교가능한 단지들.
→ 비교 평가의 기준점 마련(이 좋은 단지들보다 더 좋은 단지인가?)
-. 입지, 구축과 신축 : 투자금과 전세상승 측면에서의 선택
-. 똘똘한 1채 vs 나눠서 2채
?. 5억 있는 사람의 나눠서 2채 대상 물건 = 3억 있는 사람의 똘똘한 1채 물건이 될텐데, 공식처럼 받아들여도 되는 것인지 궁금하다.
4. 지방 투자
-. 지방 간의 입지 차이는 인구수 = 수요 = 기대수익
-. 광역시 구별 급지 및 투자금 수준 확인을 통한 투자 전략 수립
-. 입주 물량의 중요성(지방은 전세가와 매매가가 매우 유기적)
-. 수도권과 지방의 직접 비교 시 필요 개념.
그 외, 여러 수강생분들의 다양한 고민/상황들에 대한 친절하신 QnA까지, 많은 것을 배우고 미리 경험할 수 있었다. 특히 서기를 신청할 때 자금 상황을 고려한 지역 선정에 큰 도움이 되었으며, 5순위 시세표는 빨리 신발을 신고 나가서 많이 돌아보고 빈칸을 채워보고 싶은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늘 고민되는 입지 좋은 구축 vs 신축 / 똘똘한 1채와 나누는 투자에 대해서는 조금이라도 더 알고 투자 상황과 목적성에 맞게 투자할 수 있을 것 같다.
오랜 시간 하나라도 더 알려주려 고생하신 주우이님,
비교평가의 정수를 보여주신 식빵파파님,
전세놓기의 난이도를 확 낮쳐주신 양파링님,
가장 기본기인 투자원칙의 본질을 때려 넣어주신 게리롱님,
모두 감사합니다. 덕분에 올해 2호기 잘 할 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