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열중43기 17조 4강 수강후기 재키] 수도권 vs. 지방 투자, 내 선택은?

  • 25.03.04

 

부동산 투자를 고민할 때 가장 큰 고민 중 하나가 바로 ‘수도권이냐, 지방이냐’이다. 

이번 강의를 통해 그동안 막연하게 생각했던 부분들이 어느 정도 정리되었지만, 여전히 고민이 남아 있다.

내 귀여운(?) 투자금을 생각하면 지방으로 가는 것이 현실적인 선택일 것 같지만

지방 광역시에서도 최소 1억은 필요해 보인다.

그렇다면 1억으로 수도권 외곽을 고려해도 될까? 

아니면 그냥 중소도시로 가야 할까? 

하지만 중소도시에 투자하기엔 내 투자금이 아깝다는 생각도 든다. 

'조금 더 수익을 낼 수 있는 곳', ‘수요가 있는 곳’

즉 인구 규모가 크고 안정적인 지역을 선택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고민이 계속된다.

 

강의에서 인상 깊었던 부분

서울 투자 전략

  • 아직 크게 오르지 않은 지역이 많아 가치 있는 물건을 좋은 가격에 살 기회가 있음.
  • 투자금만 보고 접근하기보다 '선호도 높은 아파트'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함.

수도권 투자 전략

  • 서울 투자가 가능하면 서울을 우선적으로 고려.
  • 수도권에서도 평촌, 수지, 광명, 구성남 같은 입지가 좋은 곳부터 투자.
  • 인천의 경우 송도, 청라, 검단 신도시 등 선호도가 높은 지역 위주로 검토.

지방 투자 전략

  • 현재 가치 대비 가격이 저렴한 지역이 많음.
  • 전세가 상승으로 인해 지역에서 선호하는 아파트를 소액으로 접근할 기회가 있음.
  • 입주 물량이 줄어드는 지역을 잘 살펴야 하며, 전세가 안정적인 곳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함.

 

나에게 맞는 투자 방향은?

강의에서는 종잣돈과 1년간 모을 수 있는 저축액을 기준으로 수도권과 지방 투자를 나눠서 설명해 주었다. 

하지만 핵심 메시지는 투자 지역을 국한하지 말고 '내가 투자할 수 있는 가장 좋은 것을 선택하라'는 것이었다. 

즉, 수도권과 지방을 따지기보다는 내 투자금으로 가능한 최선의 선택을 해야 한다는 것.

그렇다면 나는 어떻게 해야 할까? 

'투자금을 기준으로 최선의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되새겨 봐야겠다.

 

내가 고려해야 할 요소

  • 내 투자금에 맞는 지역과 단지를 선택하는 것이 핵심.
  • 수도권에서 가능한 지역을 먼저 검토한 후 지방을 고려하는 것이 순서일 듯.
  • 지방 투자의 경우 인구가 많은 곳이 유리하며, 입주 물량 감소 및 전세가 반등이 예상되는 지역이 기회가 될 수 있음.

 

아직도 정리되지 않은 고민

강의를 듣고 난 후 어느 정도 정리가 되었지만

여전히 고민이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다. 

수도권과 지방 중 어디가 더 나은지를 단순 비교할 수 없다는 것은 알겠지만

막상 실전 투자로 들어가려니 여전히 고민이 많다.

  • 1억으로 수도권 외곽 투자 vs. 지방 광역시 투자: 어느 쪽이 더 안정적이고 수익성이 클까?
  • 중소도시 투자: 투자금이 적게 들지만 수요가 적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도 해야 할까?
  • 투자 지역 선정: 결국 더 많이 오를 가능성이 있는 곳을 어떻게 검증할 것인가? 전고점만 믿어도 되는 걸까?

이 고민들을 해결하기 위해 앞으로 더 많은 임장을 해야 할 것 같다. (그런데 언제까지…😭)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내 투자 방향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정해보고

여러 지역을 비교하면서 최선의 선택을 찾아야겠다.

 

마지막으로

이번 주우이님 강의는 수도권과 지방 투자에 대한 막연한 고민을 조금 더 구체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내 투자금에 맞는 지역으로 앞마당을 많이 만들고

아는 단지를 늘려 비교 평가를 할 수 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깨달았다. 

지금까지는 서울 4급지 정도의 수도권 위주로 앞마당을 만들었지만

앞으로는 소액 투자가 가능한 지역으로도 앞마당을 더 만들어 나가야겠다. 

그리고 6개월 안에는 꼭 투자 결정을 내리기로 다짐한다!🔥🔥🔥


댓글


제이씨하
25. 03. 05. 00:08

소중한 씨앗 심으실 재키님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