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에게 특히 인상 깊었던 점

너바나님의 강의를 들을수록 인생을 배우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투자 뿐만 아니라 모든 영역에서도 적용되는 꾸준함, 버티기, 실행력 등이 인상 깊게 남았습니다. 

 

“LED” 

 

L: long work (은퇴 늦게 하기) - 자본 소득이 근로 소득의 3배가 되었을 때, 안정적인 은퇴 가능
E: Early start (빨리 시작 하기) - 수익률이 높을수록 머니 스노우볼 형성이 빠르다.
1년에 모을 수 있는 종잣돈 높이기, 수익률 높이기, 기간 늘리기, 원금 보존할 수 있는 투자 하기
D: Double income (맞벌이) - 부동산과 맞벌이하기, 배우자와 맞벌이하기 등

 

  • 꼭 적용해보고 싶은 점

꾸준히 강의를 들으면서 과제 수행하여, 현실적인 목표인 "올해 1호기 만들기"를 위해서 5개 앞마당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전략= 분명한 목표/실행 + 흑자구조(현금흐름) + 저가매입 + 장기보유 + 시스템 (다량보유)

 

1) 목적지(목표) 설정 - 비전 보드 만들기
2) 경로 설정 (전략) - 연저축액, 수익률, 투자 기간 등 계산하기
3) 100일 습관계획 (전술, 프로세스) - 장기, 중기, 단기, 연, 월, 주, 일 단위 계획 세우기
4) Connect the dot (실행, 복기) - 목실감 활용
5) 이룰 때까지 버틴다 (환경, 성장) - 스터디 활용, 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을 만들기, 꾸준하게 하기

 

Not A but B = 거인을 따라가자!

 

[부동산 가치 판단 기준]

 

1. 지역
- 전통의 강자: 서대문구, 종로, 시청
- 떠오른 지역: 여의도, 강남
- 떠오를 지역: 가산, 대림, 마곡, 수색, 잠실 (강남역 다음으로 출퇴근 많음), 판교, 삼성동, 용산 등
주황색으로 표시된 곳이 앞으로 떠오를 지역 

2. 교통
- 상기 지역 접근성에 대해 판단
-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네이버 지도를 통해서 확인하기 

3. 학군
- 특목고, 서울대, 의대 진학률 기준
- 상승장일 경우, 학군지가 많이 오름 (이유: 고소득자들이 많이 있기 때문)
- 아실 어플을 통해서 아파트 단지가 어느 학교에 진학을 많이 하는지도 확인할 수 있음. 

4. 환경
- 만족 요소: 공원, 백화점, 택지지구 (가급적 신규), 거주 연령 젊은층 선호 (임대료를 잘 올려줌)
- 불만족 요소: 외국인 주요 거주 지역, 저소득층 거주 지역, 60대 이상 

5. 호재/악재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 상승장에서는 호재가 엄청난 영향력을 준다.
- 불황기일때는, 호재가 의미가 없어진다. ex GTX 개통으로 일산은 무반응 

- 입지를 개선시키는가? -> 학군, 교통, 직장 등의 개선이 있는 것인지
- 확정된 것인가?
- 3년 이내인 것인가?
- 호재는 불황한테 의미가 없다. 

지금은 호재를 보고 투자를 해야한다! 왜? 호재가 아직 반영이 안된 불황시기이기 때문이다. 가격이 오르고 나면, 바로 매도하기! 

- 호황일때는, 호재를 쳐다 보지 말아라 

6. 브랜드
- 사람들 선호 브랜드


댓글


하늘바다시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