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내집마련 중급반 2강 강의 후기 [내집마련 중급반 1기 18조 김보니]

  • 23.11.30

본 것

  1. 지금 시장이 과거 어떤 시장과 유사했는지. 과거 XX년도
  2. 매매, 전세가 흐름 - 상황 변화
  3. 거시적인 관점 - 세계에서 대한민국의 위상, 그리고 대한민국 내에서 가장 살기 좋은 지역의 위상, 그 가격의 합리성
  4. PIR 기준, 매매 뿐 아니라, 전세를 볼 때도 적용 할 수 있다. 지금 현재 서울 시장의 전세는 싼가?
  5. 지금 시장 상황 - 싼 곳이 계속 바뀐다.
  6. 수도권 입지
  7. 탄천의 가치
  8. 입지 자체가 지니는 힘 - 서초라는 브랜드 ㅠㅠ
  9. 기회는 언제 오는지? - 비관론을 지켜볼 것.


깨달은 것

  1. 경기도 중상급지 이상으로는 서울의 흐름을 따라간다.
  2. 기준에도 순서가 있다.
  3. 기존에 알던 기준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사람들이 좋아하는 가치들이 있다면, 적용해야 한다.
  4. 내가 가격을 받아들이지 못해도, 시장이 인정하는 가격이라면 그게 곧 가치다.
  5. 내 집 마련에서 중요한 것은 내 취향이 아니라 다수의 취향!
  6. 보유가치와 실거주가치의 차이
  7. 좋은 것 하나 vs 덜 좋은 것 두개
  8. 시장이 곧 법칙이다. 시장을 보면서 내 생각을 교정해나가야 한다.
  9. 갈아타기는 갈아탈 수 있을 때 하는 거다. 내가 타이밍을 재는 게 아니다.
  10. 역세권, 신축, 대단지, 브랜드, 학군지 좋은 거는 누구나 다 안다. 그래서 이 중에 교집합인 게 생긴다면 아주 나이스한 물건이 되기 쉽다.
  11. 지역 자체가 사람들이 계속 오고 싶고 수요가 생기려면, 신축들이 계속 생겨야 한다. 낡기만 하면, 관심을 받지 못한다.



적용할 것

  1. 수도권 입지 암기
  2. 이번 시장에서 뜬 곳을 봤다, 그러면 다음 시장은 어디가 뜰 지 고민해볼 것
  3. 내가 할 수 있는 것들을 계속 지켜보면서, 갈아 탈 수 있을 때 기회를 놓치지 말 것
  4. 이번에 배운 단지들을 임장 가보면서 봐야겠다.


의문점

  1. 키 맞추기의 범위 - 어디까지 키를 맞출까. 서울 내에서 최상급지와 최하급지까지 키를 맞출 수 있을까?
  2. 이번에 배운 단지들끼리 비교할 때, 어디가 더 좋은지 감을 못잡겠다. 강의만 듣고도 감을 똑같이 잡아갈 수 있나? 다른 분들은 어떨지 궁금하다.

댓글


김보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