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반스쿨 기초반 2강 수강후기] 부동산 왕초보의 깨달음!😂 돈이나가는 흐름 끊기, 신랑도 월부에 입문 완료.

태어나서 부동산 강의는 처음이라 여전히 쉽지 않다. 

 

 너바나님이 저한수리? 저한소리? 라고 계속 강조해 주시는데…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이지……?ㅋㅋㅋㅋㅋㅋ 😅

누군가에게라도 물어보고 싶었지만 차마 입이 떨어지지 않았다.

다행히 놀이터에서 누군가 먼저 “저한솔”이 뭐냐고 질문해주셨고,

올리자마자 바로 답변을 달아주시는 분들이 계셨다. 

(이래서.. 놀이터에서는 어떤 질문도 가능하다고 하나보다!)

저한수리?? 저한소리?? 저한솔?? 그 어떤것도 아니고…

계속 강조하시는…….

"저환수원리" = 너바나님의 투자 원칙(저평가, 환금성, 수익률, 원금보존, 리스크 관리)

아….줄임말 이었구나^^;;;; 드디어 이해 완료! 😂

 

1강때는 틈틈이 듣다가, 

2강 시작하고서는 마음가짐을 새롭게 하고 바른 자세로 앉아 필기까지 하며 

‘수능 모드’로 돌입!

 

강의를 듣다 보니… 내 삶을 돌아보게 되었다.

 

부동산 투자원칙 알려주시고, 시세차익 얻는 법 등을 알려주셔서

부동산 지도를 밤낮으로 보고 있지만………

일단 내가 당장 할 수 있는건,

강의를 열심히 들으며 종자돈을 모아야된다는 생각뿐이다.

 

20년 가까이 열심히 일하며 남들보다 뒤처지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그런데, 정작 뚜렷한 목표 없이 살았다는 걸 강의를 들으며 깨닫고 있다.

너무 현재의 삶에만 집중하면서 미래를 준비하지 않았구나…

스트레스 해소 방법이 매일 저녁 누워서 습관처럼 하는 네이버 쇼핑이라니…😂

아이 학원비는 고민 없이 결제하면서, 

정작 내 월급과 노후는 신경 쓰지 않았구나…

강의를 들으며 처음으로 나 자신을 돌아봤다.

 

 

강의를 듣고 깨달은 점 3가지!

 

1. 평생 월급의 노예처럼 살지 않으려면

“투자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무조건 열심히만 사는 게 아니라, 도착지를 정하고 움직여야 한다!

 

매일 똑같이 흘러가는 일상

회사 업무에 치여 월급만 바라보면 평생 돈 걱정을 하며 살아야 한다.

신랑과 우리의 미래에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투자와 직장생활은 별개가 아니라,

함께 가야 하는 거라는 것을 확실히 했다.  

그리고, 내가 부동산 강의는 너무 어려운 것 같다고 했더니…

첫 강의에 5%만 이해해도 충분하다고 응원해주었다.  

그러더니 남편 본인은 경매반을 들어보고 싶다고….

바로 부동산 경매반을 신청했다.ㅋㅋㅋ! (이런 빠른 실행력이라니! 😆)

 

2. “종자돈”모으기 = 습관 바꾸기

부끄럽지만 체크카드를 처음 발급 받았다ㅋㅋㅋ 

늘 신용카드를 쓰고 남은 금액 없이 탈탈 쓰던..ㅋㅋㅋㅋㅋ

나를 없애고 싶었다.  

신용카드는 마지막 한 개만 남기고 모두 삭제!!!!!!!!!

네이버 페이에 연동된 신용카드 삭제 완료! (습관성 소비 차단!) ^^:;;;

 

퇴근 후 쇼핑하는게 스트레스 해소 방법이었다. 

좋은 차 타고, 좋은 옷 입고, 좋은거 먹으면

행복한 삶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런 지출을 한번도 두려워하지 않고 살았던 것같다.

은퇴 후 삶은 아예 신경쓰지 않고 살았던 듯…….ㅠ

늦었다고 생각하지 말고, 일단! 지금 내가 할 수 있는것부터!!!

돈이 나가는 흐름을 끊어야 한다.

 

아침마다 부동산 뉴스를 공유하는 분들 덕분에 자연스럽게 뉴스 체크!

조 모임에서 비전과 행복한 일을 공유하며, 삶의 방향을 재정립!

커뮤니티 속에서 자극받고, 계속해서 성장하려는 마음을 다짐!

강의를 듣기 전과 후, 확실히 내가 변화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이제 막 시작이지만, 앞으로 더 많은 것을 배우고 적용해 나갈 생각이다. 

 

단순히 일만하는 직장인 X

나는 계속 더 커나갈 써니, 더클써니 직장인 투자자 O 

 

강의를 들으며,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쌓인 오랜 노하우를 이렇게 쉽게 배워도 되나 싶었다.
하지만 중요한 건, 배운 걸 내 것으로 만들고 실행하는 것.

지금은 첫걸음을 내디뎠을 뿐.
앞으로도 계속 배우고, 실행하고, 나만의 길을 만들어갈 것이다.


댓글


더클써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