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기초반15기68조 복실아] 4강 후기

  • 23.12.03

안녕하세요!

어느덧 마지막 강의까지 듣게 되었습니다!

여태까지 들었던 지역의 주요한 내용을 다시 상기시켜주셨습니다.

어느지역에 어떤 투자를 해야 하는지, 하지 말아야 하는지 , 우선순위는 어떤지.

제가 투자한 지역과 지금 공부하고있는 지역이 나왔을 때 더 생각하며 들을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그동안 제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생각을 다시 해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겼습니다.


어떤 지역에 역전세가 위험하니 어떤 식으로 대처해야 하는지, 만약 그 상황이 견딜 수 없다면 기다리는 것도 한 방안이라고 하였습니다.

어떤 지역에 입지보다 연식을 우선으로 둬야 하고, 어떤 지역에서 준신축을 투자해도 되는지에 대해 명확하게 알려주셔서 종이 빼곡히 적게 되었습니다.


투자는 이렇게 하는 것이구나.. 지역에 따라 투자할 수 있는 물건이 정해져있구나를 깨닫게 되었습니다.


지역의 인구구성에도 종류가 있구나를 깨달았습니다! 꼭 서로 연관된 지역이 인구를 뺏기고 뺏는 그런 관계가 아닌 시너지를 일으키는 지역도 있구나를 깨달았습니다. (물론 인접지역의 인구는 영향을 줍니다.)


그리고 꼭 전출입 top3의 지역의 공급을 꼭 봐야하는 게 아닌 전출입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면 top1만 고려해도 된다는 것.


인접지역의 공급이 영향을 주고 위성도시라고 하더라도 사람들이 살고싶어 하지 않는 지역이라면 영향을 주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 대신 그 반대의 상황에서 영향을 준다는 것.


제주바다님께서 투자범위를 더욱 확고하게 해주셔서 저의 투자에 있어서 방향을 확실히 잡을 수 있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BM.

  1. 지역마다 가능한 투자범위가 있다. 공급물량에 따른 신축 선호도 차이
  2. 영향을 주는 인접지역에서 몇천세대의 순이동은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되고 top`1만 고려하면 된다.
  3. 공급캘린더를 만들때 중요한 지역은 표시하고, 더 보수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 내가 아는 것은 나의 경쟁자 또한 내가 포기하고

싶어하는 지점에서 선택의 기로에 놓였을 거라는 점이다

그러나 그는 포기했고 나는 밀어붙였다는 것이 중요하다.

남들이라면 포기했을 지점에서 나는 눈을 감고 억지로라도

한 발을 더 내딛었다. 바로 이 때문에 내게 남들보다

더 좋은 기회와 수익이 오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댓글


복실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