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문기사 정리
✅ 생각 정리
- 공급이 부족하게 되면 어떤 현상이 발생할까?
- 서울시는 매년 4.8만 가구의 주거 수요가 있다.
- 건물의 노후화/낙후로 거주가 불가능하거나 철거해 이주가 필요한 수요가 4.8만 가구다.
- 엄청 큰 수치이고 서울에서 이 수요에 대한 공급이 부족할 경우 수요와 공급 법칙에 의해 기존 주택들의 가격이 올라가게 된다.
- 결과적으로 한정된 재화에 수요가 몰리다보니 재화의 가격이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 전국 아파트들은 어느 정도 연계가 되어있다보니 서울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주변으로 그 상승세가 이어져 속도의 차이는 있지만 경기권으로 퍼지게 된다.
- 다행히 서울/경기 입주를 살펴보면 25년, 27년 10만, 그리고 26년 5만 정도로 3년 34만 수요 대비 25만 공급으로 상대적으로 방어(?)가 가능한 상태로 보인다.
- 물론 여기의 1만, 2만이 상당히 큰 숫자이긴 하지만 실제로 이 공급부족은 여러가지 다른 경기 지표들과 함께 연결되어 어느 트리거에 의해 작동될 것으로 보인다.
- 서울 공급부족→서울 공급대비 수요 많음→서울 집값 상승→수요가 경기권 이동→경기 공급대비 수요자가 많아짐(서울 수요자까지 합세)→경기권 집값 상승→ 그다음은??
- 결국 서울/수도권/지방 두루두루 앞마당을 가지고 있어야 이 흐름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고 본다.
- 꾸준히 앞마당을 가지고 뉴스를 통해 생각의 흐름을 가져가고 항상 팩트를 체크하자!
서울 수요와 공급
서울경기 수요와 공급
✅ 25년 1월 신문기사
✅ 25년 2월 신문기사
✅ 25년 3월 신문기사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