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투기 22기 선명한 앞마당 만들고 투자하고 5조 미식이] 3주차 강의후기 "선명한 비교평가의 가치를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움을 가리지 않는 미식이 입니다^^

 

3주차 강의를 들으며 가장 인상깊었던 것은

B지역에 대한 이해도가 올라간 것도 좋았지만,

현재 시장에서 우리가 가진 돈으로 가장 좋은 물건을 사기 위한 비교평가 방법을 알려주신 것에 대해서

명확하게 말씀해주신것이 너무 좋았던것 같습니다!

 

그만큼 양파링멘토님이 저희에게 집을 살 기회를 주고자

보다 쉽게 이해를 해주시기 위한 노력을 하신것 같아 너무 감사드립니다!

 

이번 강의에서 제가 깨닫고 적용하고 싶은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입지 가치에서 “위치”의 중요성

 - 가끔 ‘앞마당간 비교’를 할 경우 전혀 다른 지역에서 단지간 비교를 하면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생기곤 했는데요

   양파링멘토님의 이야기를 듣고나서 접근성과 위치를 같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서울 2급지와 수도권 4급지의 대장을 비교함으로써 땅의 가치와 지역 위상을 비교해주시는 것을 보고, 저도 앞마당간 랜드마크 가격을 필히 숙지해서 지역의 위상을 사전에 파악하고, 지역간 비교를 할 때에는 그 지역이 가지는 땅의 가치를 꼭 파악해봐야 겠습니다!

 깨달은점 : 입지가치를 비교시 “위치”와 “접근성”을 알고 지역의 위상을 먼저 아는게 비교평가에서 첫번째로 중요한  부분이다!

 적용할점 : 지역의 위상과 앞마당간 비교평가시 1개 장표를 넣고, 지역의 위상을 기억하며 비교평가 하도록 하기

                 1) 3급이 지상과 같은 땅의 압도적 차이가 있으면 땅의 가치가 우선인 곳을 생각해보기

                 2) 땅의 가치가 비슷한 지역의 위상이라면 단지대 단지로 다른 입지가치와 함께 비교해보기

 

2. 입치 가치에서 “땅의 가치”를 만회할 수 있는 “상품성과 환경”의 중요성

 - 우리가 항상 생각하는 좋은 위치의 기준은 강남 접근성인데요, 사실 직장이 가장 많은 곳이기에 수도권 전역의 수요를 끌어오는 지역임을 알고 강남 1시간 이내라는 기준을 가지고 가치평가를 하고있지만, 거리에 대한 제약을 만회할 수 있는 방법도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같은 지역 안에서도 강남 1시간이 안되는 단지도 있는데, 그 단지의 가격은 왜 비쌀까? 라는 생각을 한번 해볼필요가 있겠다는 생각을 해보는 좋은 기회였던것 같습니다.

양파링멘토님은 상품가치를 봐야하는 이유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말씀해주셨습니다

 

“강남과 멀어질 수록 장거리 출퇴근을 감수할 만큼 만족요인이 있어야 합니다”

 - 양파링 멘토님 -

 

결국 입지가 떨어질 수록 상품성을 우선시 해야한다는 것을 항상 생각하면서 단지간 비교평가를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깨달은 점 : 위치와 접근성이 떨어질 수록 상품성과 환경이 좋으냐에 따라 가치있는 단지의 기준이 달라질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적용할 점 : 강남1시간 이내 접근이 안되고, 위치도 먼 단지의 경우 상품성과 환경에서 가치가 있는지 판단해보는 습관 가지기

 

 3. 꼭 알아야 할 가치의 기준, “선호도”

 - 선호도란 결국 사람들이 얼마나 좋아하는가, 투자의 측면에서 “그 지역에서 사람들은 어디를 좋아할까?”를 우선 알아가는 것이 양파링멘토님의 말씀을 듣다보니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여기서 정말 중요한 것은, “가장 선호하는 곳만 사려는 것이 아니라, 투자자의 측면에서 가치대비 저렴한 가격의 단지를 찾기 위해서 꼭 필요한 요소”라는 것을 놓치면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저는 1호기를 할 때에도 이 지역에서 좋은 것은 무엇인가?, 가격결정요소를 봤을때 가장 좋은것은?, 내 투자금 안에 드는것중에서는 무엇이 제일 좋지? 라는 생각만 하다보니 가장 중요한 핵심인 가치대비 싸게 사야하는 것을 잊게 되었던것 같은데, 이번 양파링 멘토님의 선호도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며, 투자자는 선호도를 미리 알아두고 싼 것을 사려는 노력을 해야한다는 것을 다시한번 제 머릿속에 입력하게 되었습니다

 

“선호도를 파악하는 이유는 가장 선호하는 곳만을 사려는 목적이 아니다!!”

 

꼭 잊지 않겠습니다

 

깨달은 점 : 선호도 파악을 하는 이유는 결국 선호도 좋은 것만을 사야겠다는 목적이 아니라 가격이 싼 것을 사기 위한 목적을 가져야 한다

적용할 점 : 지역내, 그리고 생활권 내에 단지간 선호도를 파악하고, 그 선호도 대비 저렴한게 무엇인지 파악하기

  


댓글


미식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