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 경기 비교 평가 하기]
- 가치
- 입지 가치
- 같은 투자금이면 땅의 가치가 좋은 곳을 우선 고려한다.
- 입지가 좋으면 구축 투자도 가능하다.
- 위치와 땅의 가치로 만들어진 입지는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다.
- 땅의 가치가 비슷하다면 단지별로 비교한다.
- 상품 가치
- 입지 가치를 넘어서려면 상품 가치가 좋아야 한다.
- 연식, 단지 규모, 구조, 브랜드 등
- 하지만 상품 가치는 시간이 지나면 빠지게 되고 결국 땅의 가치만 남게 된다.
- 입지가 떨어질수록 상품성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
- 상대적으로 입지가 떨어지더라도 신축이면 고려해본다.
- 선호도
- 가격
- 저평가 여부를 판단하려면?
- 가치와 가격이 정리되어 있어야 한다.
- 가치를 정리하려면 임장, 임보를 통해서!
- 가격을 정리하려면 현장에서 실제 물건을 보고 확인!
- 투자를 한다면 1주일 단위로 수시로 시세를 봐야 한다. 투자에 임박했다면 꼭 하자!
- 투자금이 적당한가?
- 그 투자금으로 살 수 있는 최선의 물건인지 생각해보자.
- 아실에서 필터 걸어서 확인해보면 된다.
- 취득세, 복비, 법무사비, 채권료도 고려해야 한다.
- 갈아타기
- 리스크
- 가격과 리스크까지 봐야 비교 평가를 할 수 있다.
- 인접 지역 공급 리스크를 같이 봐야 한다.
- 인구를 주고 받는 지역의 공급을 봐야한다.
- 부동산 지인에서 확인해보자.
- 전세 세팅
- 세대 수 대비 전세 물량이 있는지 본다.
- 전세가가 올라와서 투자금이 줄어드는지 본다.
서울 투자라고 무조건 다 버는게 아니다. 서울, 경기를 비교 평가해야 한다.
후기: 왜 안양 매가트리아가 생각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