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중급반 - 직장인으로 10억 달성하는 법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내용 있는 너바나님의 강의를 처음 들었다.
경험이 풍부해서인지 강의가 훨씬 설득력 있었다.
너바나님이 인용하는 말에서 진정한 독서가라는 생각을 했다.
어마어마한 자산가인만큼 막연히 아주 오래전부터 투자했다고 생각했는데
강의내용으로 볼 때 2007년 경부터 투자한 걸로 보였다.
(1강: 하락장에서 10억 버는 법)
현재는 하락장(직: 다만 부동산은 장기적으로 상승하는 걸 알아야 함)
- 많이 오른 입지가 많이 떨어지고 많이 떨어진 물건이 상대적으로 많이 오른다.
- 1차 하락기(2007~2013년)
→ 직(사이클이 빨라지는 전제로 판단하면 최대 2022~2028까지 하락기) 2024년에 사면 최대 4년 마음고생!!
- 부동산 상승기(2003~2007) / 2차 상승기(2013~2021) 최소 5년, 최대 9년
→ 직(가격이 돌아서면 4년차부터 의미있게 매도 고려)
- 하락장에서 버틸 수 있는 투자를 하려면
⓵ 종전 최고가 대비 30% 하락한 아파트
⓶ 수요(입지 or 신축) 좋은 아파트
⓷ 전세가율 높은 아파트(서울 60/경기 70/지방 80)
(2강: 월급쟁이가 경제적 자유를 얻는 법)
너바나님의 목표금액을 더블로 하는 전략은 심플하면서도 의미가 있었다.
현재 나는 lv 6인데 내게 필요한 역량은 투자로 돈을 불리는 것이고, 전문가의 내공, 존버이다.
월부는 단리 기준 연 20%(5년 더블, 10년 트리플) 수익을 기대하고 투자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난이도가 높다. 내 기준엔 연 평균 8퍼센트 투자도 강력한 투자라고 생각하나
월부의 방식을 최대한 이해하고 실행해야겠다.
투자의 성패는 투자처, 투자시기보다 투자자의 실력이 연관성이 높다고 한다.
송희구 작가도 일정 수준의 부까지는 실력으로 달성할 수 있다는 맥락의 말을 했다.
고수익 전문직(의사, 변호사)이 전문성을 갖추는데 10년 이상이 소요된다. 내가 전문 투자자가 되기 위해서도 10년의 숙성이 필요하다. 2019년부터 의미 있게 시간 투자를 했으니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2028년까지의 기간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3강: 너바나님의 실전투자 경험담(17년 성공과 실패)
상당히 의미있게 읽었던 “내가 알고 있는 걸 당신도 알게 된다면”의 책을 바탕으로 깔고 강의했던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 현재 월부 방식은 시세차익 형태의 아파트 전세 갭투자인데 월부 투자방식의 원조인 너바나님은 돈이 없는 초창기 지방에 10채 이상 월세 세팅, 경매투자한 점이 흥미로웠다.(나도 월급의 한계를 넘는 방법으로 월세 세팅했다가 전세 갭투자로 방향을 틀었다.)
- 내 지경을 넓히기 위해서는 comfort zone에서 learning zone/panic zone을 경험해야 한다는 말이 크게 와닿는다.(마냥 편안하기만 한 친지와의 시간보다 조금 불편하지만 배울 점이 있는 친구와의 만남에서 내 지경이 넓어지는 것을 체감한다.)
- 돈보다 실력을 키우기 위해서 투자하는 개념도 흥미로웠다. 의미있게 현금흐름이 나오지 않는현재기준 매년 투자를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한번 더 생각해봐야겠다.
- 강의를 들으면 동기부여가 되나 지속성이 떨어진다. 투자습관을 만드는 게 관건이다.
- 리스크 관리를 하지 않고 투자하면 역전세 때 버티지 못하는 사례를 보고 투자 물건 대비 안전 버퍼가 절실하다는 것을 배웠다.(25백 갭 5채 투자, 2년 뒤 1채 당 5천 역전세로 3억원이 필요하여 1채 당 시세차익 45백을 보고 팔았는데 2년 뒤 1채당 추가로 4.1억원씩 올랐음)
- 강의 커리큘럼을 보니 시기의 문제이지 열반 기초/서울투자 기초까지는 들을 것 같다.
댓글
직진희원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