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케이91] 250329_김미경의 딥마인드_독서 후기

[본 것]

  1. 세상에는 ‘나와 너’의 관계와 ‘나의 그것’의 관계가 존재한다. 우리가 참다운 삶을 살기 위해서는 ‘나와 너’의 관계를 맺어야 한다. ‘나와 너’의 관계는 서로를 인격적으로 마주한는 관계인 반면 ‘나와 그것’의 관계는 어떤 목적을 가지고 도구로 존재하는 관계다. p.54
  2. 나를 살리려고 가졌던 꿈이 거꾸로 나를 죽이고, 소중한 이들을 지키기 위해 시작한 일이 그들을 불행하게 만들었다. 완전한 주객전도. 이것이 바로 내가 겪은 잇마인드의 치명적인 부작용이자 함부로 인생의 주도권을 넘긴 대가였다. p.63
  3. 잠든 딥마인드를 활성화하려면 딥마인드에 최적화된 질문을 해야 한다. 바로 ‘감사, 칭찬, 반성’을 활용한 질문이다. 그중 나는 ‘감사'에 대한 질문을 가장 많이 했다. 오늘 있었던 일 중에 감사한 일은 무엇인가? 오늘 있었던 안 좋은 일 중에 감사할 일은 무엇인가? p.81
  4. 아주 작은 것이라도 억지로 찾아내려면 다시 하루를 디테일하게 들여다봐야 한다. 어떤 일이 있었고 그때 내 마음은 어땠는지 살펴야 한다. 그 ㅈ과정에서 나에게 관심을 갖고 들여다보는 힘이 생긴다. 바깥세상에만 쏠려 있던 관심을 나 자신에게 돌리는 것이다. …눈에 보이는 것 뒤에 숨겨진 이면을 보는 통찰력을 키우고 싶어서였다. 눈에 보이는 것만 이정하는 잇마인드로는 나와 세상을 절반밖에 이해하지 못한다. 보이지 않는 뒷면까지 입체적으로 볼 수 있어야 인생에 어떤 문제가 들이닥쳐도 해결할 수 있는 통찰력이 생긴다. 그러려면 일상의 사소한 일들부터 뒤집어보는 연습을 해야 한다. 그것이 바로 내가 말하는 ‘감사’다. p82
  5. 우리의 육체와 시간은 한정적이다. 한쪽으로 쏠리면 반드시 한쪽이 무너진다. p.107
  6. 많은 사람들이 오해를 한다. 외적 성공을 이루면 내적 성취는 자연히 채워질 거라고 말이다. 그 생각은 착각이다. 오히려 외적 성공에 모든 에너지를 가져다 쓴 사람들은 내적 성취에 쏟을 여력이 없다. 내적 성취도 외적 성공을 키우는 것만큼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p.108
  7. 외적 성공은 인생에서 절반의 성공일 뿐이다. 아무리 커다란 외적 성공을 이뤘다 해도 내적 성취를 놓친다면 우리는 본능적으로 내면의 중요한 것이 비어 있음을 알아차린다. p.109
  8. 나에게 자주 말을 걸다 보면 어느새 스스로에게 가장 믿을만한 조언과 따뜻한 위로를 해주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p.124
  9. 감사는 잇마인드로부터 상처받은 마음을 치유하고, 눈에 보이는 것 뒤에 숨겨진 이면을 보는 통찰력을 키워준다. 칭찬은 일상적인 비교와 열등감 속에서 주눅 들어 있던 자존감을 회복시켜준다. 또 bod루틴을 하면서 생긴 나만 아는 작은 변화를 알아차리고 지소갈 수 있는 확신과 에너지를 준다. 반성은 잇시스템 속에서 ‘이것만이 옳고 진실’이라고 믿었던 고정관념을 다시 성찰하게 만든다. 또 인생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주도적으로 내 문제로 가져와 해결할 수 있는 힘을 키워준다. p.126
  10. ‘네가 옳다. 지금 잘하고 있다’ 라는 확인과 응원이 필요하다. 그것이 바로 내가 나에게 해주는 뜨거운 칭찬이다.
  11. 반성은 변화를 만드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반성이 없으면 변화도 없다. 나의 하루에 대해서 진지하게 성찰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어제와 똑같은 패턴으로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며 살 수밖에 없다. 타고난 성향이나 오래된 습관, 순간의 감정에 따라 행동하게 된다. 또는 잇마인드가 시키는 대로 정신없이 달리다가 비슷한 실수와 후회를 반복하기도 한다. 이를 깨는 유일한 방법은 반로 반성이다…. 반성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오늘 벌어진 상황’을 ‘내가 고민해봐야 할 문제’로 가져오는 것이다. p.146
  12. 반성의 마지막 단계는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인정하고 이를 어떻게 바꿀지 구체적인 방법을 고민하는 것이다…자신의 부족함을 발견하는 순간 격차가 생긴다. 그 격차를 발견했다면 반드시 이를 메꾸기 위한 구체적인 ‘지시’가 들어가야 한다…반성하는 실력이 늘수록 딥마인드 엔진도 함께 성장한다. 바꿔 말하면 반성할 게 없다는 것은 더 나은 나를 상상할 수 없다는 뜻이자 성장이 멈췄다는 얘기다…나의 가장 밑바작까지 내려가 무릎 꿇고 정직하게 부족함을 인저할 수 있는 사람, 진정 사랑하는 마음으로 뼈아픈 충고를 해줄 사람은 세상에 오직 나밖에 없다. 더 나은 내가 되기 위한 정직한 상상, 반성을 시작해보자. p.150-151
  13. 잇마인드의 길은 빠른 듯하지만 결코 빠르지 않다. 결국 번아웃으로 멈추게 되고 공허로 무의마함을 선언하게 된다….반면 길 초입부터 딥마인드와 함께 걷고 중요한 골목마다 대화하면서 가면 마음의 성취감과 외부적 성공이 조화를 이루가 된다. 이것이 제대로 꿈을 향해 가는 길이다. 제대로 가야 빠른 길이다. p.165
  14. 잇마인ㅇ드가 시키는 일에는 성공과 실패가 분명하지만 딥마인드가 주는 미션은 성공과 실패가 없다. 그 어떤 결과도 딥마인드를 깨우고 스스로 진화하게 만드는 강력한 피드백이다. 가장 안 좋은 피드백ㅇ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다. 딥ㅂ마인드와 대화만 하고 실행하지 않으면 딥마인드는 엔진을 가동할 에너지도, 진화하는 데 꼭 필요한 데이터도 없을 수 없다… 나를 가장 사랑하고 아끼는 마음이 동해서 하는 ‘행동’이다.p.174
  15. 딥마인드가 제안한 일을 한다고 해서 세상의 모든 일이 다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성공이라는 것은 나뿐만 아니라 세상의 많은 것과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이다. 다만 딥마인드가 시키는 일을 하면 실패조차 가치 있는 피드백이 된다. 반성을 통해 무엇이 부족했는지 리뷰하며 경험과 통찰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잇마인드가 시키는 일을 실패하면 남는게 없다.
  16. 괜찮으니 이제 다시 꿈을 꿔도 된다. 딥마인드와 함께라면 당신이 서 있는 바로 지금 그 자리에서 당신만의 소중한 꿈을 시작할 수 있다.

 

[깨달은 것]

 

  1. 내 안에 있는 딥마인드 (진정한 나 자신)와 대화를 통해 나의 인생을 주도적으로 살아갈 것.

 

[적용할 것]

 

  1. 목실감에서 감사 부분에 감사,칭찬,반성을 디테일하게 작성해봄으로 써 현재 하고 있는 실천을 확장해 볼 것

댓글


청크람user-level-chip
25. 03. 30. 22:26

아니 독서후기까지! ㅋㅋㅋ저도 다음에 읽어봐야겠네요 와케님 이번 한달동안 고생 많으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