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파리] #61 당신이 부자가 아닌 이유 [너바나님 칼럼]

https://cafe.naver.com/wecando7/29216

 

리빙센스 10월호에 기고한 글입니다. 기고글이기 때문에 블로그에 내용 전체를 올리지는 못했습니다.

도움이 되실까 하고 올려봅니다.

 

요즘 투자와 회사 그리고 가정을 병행하시면서 힘들어하시는 분들의 쪽지와 메일을 많이 받습니다.

많이 바쁘시겠지만 항상 스스로 되돌아볼 여유를 가지시길 빕니다.

월급쟁이부자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여러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당신이 당신 스스로 하루 계획을 세우지 않는다면, 반드시 다른 사람이 당신의 하루 계획을 짜줄 것이다."

 

리빙센스 10월호 기고글 <당신이 부자가 아닌 이유>

 

부자가 되기 어려운 이유

많은 사람들이 부자가 되고 싶다고 이야기 하고 있지만 실제 행동은 그 반대로 하고 있다.

대부분 경제 재테크 서적보다는 휴대폰 게임을 하며, 돈이 되는 재테크 사이트보다는 쇼핑몰이나 연예 스포츠 가십기사를 보느라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 이는 전혀 부자 되는데 관심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만약에 부자 되기에 관심이 있다면 당신이 낭비하는 시간 때우기를 지양하고 본인이 부자가 되는데 도움을 되는 시간을 더욱 더 늘여야 한다.

 

1. 인생의 목표가 없다.

'당신의 인생의 목표는 무엇인가요?'

부자가 되고 싶다는 직장인들에게 무료 재무코팅을 해줄 때마다 내가 가장 먼저 물어보는 질문이다.

하지만 그런 질문이 올 때 바로 준비된 대답을 하는 사람을 아직까지도 한 명도 만나보지 못했다.

대부분 우리나라 직장인들은 너무 바쁘다.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회사를 가거나 아이를 씻겨 학교 보내야 하며,

낮에는 회사일을 하거나 집안일 하느라 바쁜 낮시간을 보낸다.

그리고 저녁에는 야근, 회식 또는 저녁식사준비에 아이 숙제를 봐주느라 피곤에 지쳐 침대에서 하루를 마감한다.

너무 바쁘게 살아가고 있지만 본인의 인생이 어디로 향해가는지 고민할 시간이 없다.

 

2. 부자되는 계획이 없다.

꿈꾸는 다락방, 씨크릿이 베스트 셀러가 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그저 본인이 원하는 것을 생생하게 꿈꾸면 이룰 수 있다는 책들이 많이 나왔다.

하지만 본인이 매일 공부하지 않고 서울대를 목표로 한다면 그 꿈이 이뤄질까?

어떤 일이든 인과관계의 법칙이 성립한다.

 

즉 본인이 부자가 되려는 목표가 있다면 그에 합당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

예를 들면, 본인의 목표가 5년 뒤 내집 마련이고 현재 가진 돈이 1억인데 5억이 돈이 필요하다면 5년 안에 4억을 더 모으는 계획을 세워야 한다.

만약 당신이 5년에 4억을 모으는 방법을 전혀 모르고 있다면 당신은 투자에 전혀 관심없는 사람으로 당장 이 돈의 투자처를 찾는 것이 아니라 돈을 굴리는 재테크 또는 사업 아이템에 대해서 더 공부가 필요한 사람이다.

재테크 관련 책을 보면서 그 방법을 찾을 때까지 계속해서 책을 보거나 강연을 들으러 다닌다면 그 방법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3. 주변에 실제 부자인 멘토가 없다.

많은 부자들이 본인의 멘토덕분에 쉽게 흔들리지 않고 부자의 길을 걸을 수 있다고 이야기 한다.

그럼 당신은 어떠한가?

많은 사람은 계속해서 '돈이 인생의 전부가 아니라고 이야기 했다.' 하지만 돈이 인생의 전부가 아니라고 하는 그들은 전혀 행복해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경제적 여유가 있는 사람들이 일단 먹고사는 걱정이 끝났기 때문에 가정의 행복과 본인의 행복을 위해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부자이길 원하면서 주변에 부자들에게는 부러움과 시기를 동시에 담아 그와 좋은 인맥형성을 하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그리고 경제적으로 성공한 주변 사람을 만나는 행동은 당신을 불편하게 만들 것이다.

그리고 당신과 비슷한 사람들과 만나려고 할 것이다.

이게 인간의 본성이다. 따라서 당신은 멘토를 만나기 더욱 어려울 뿐더러 만난다고 하더라도 기회를 살릴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너바나의 Solution 1 - 목표설정을 해라

명확히 설정된 목표가 없으면, 우리는 사소한 일상에 살다가 마침내 그 일상의 노예가 되고만다.

-로버트 A 하이라인

 

살면서 본인이 10년 뒤 또는 20년 뒤에 목표가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과는 분명 그 종착지는 다를 것이다.

대부분 부자들은 본인의 목표가 있었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많은 유혹을 떨쳐가며 자기 자신의 꿈을 지켜왔다.

 

우선 본인이 원하는 목표를 정하고 그에 얼마의 비용이 필요한지 계산해보자.

만약 본인이 50세에 은퇴하고 싶다면 50세 이후의 생활비는 얼마나 필요할까?

 

50대의 평균 생활비는 500만원정도가 소요되고 65세 이후에 서울의 부부 한가구당 필요한 생활비를 300만원이라고 가정했을 때 필요한 생활비는 약 16.2억원이다.

만약 본인이 50대 은퇴를 생각한다면 현재 거주할 집을 제외하고 이정도의 비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계산하고 목표= 2금액을 정해야 한다. 본인이 살면서 원하는 버킷리스트를 정해보고 얼마의 금액이 필요한지 정해보자.

 

계산식) 15년(65세-50세) X 500만원(월 평균생활비) X 12개월 + 20년(평균수명 85세-65세) X 300만원 X 12개월 = 16.2억원

 

너바나의 Solution 2 - 부자되는 계획을 세워라

목표가 정해졌으면 이제 당신이 돈을 벌 수 있는 기간을 정하고 이 돈을 통해 어떻게 목표금액을 달성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필자의 경우 60세에 은퇴한다고 가정했을 때 약 10억원의 생활비가 필요하다고 목표를 세웠다.

그래서 세운 전략이 직장생활 30년간 아파트 100채 모으기 프로젝트를 세웠다.

 

아마 이 부분에서 아파트 폭락이나 세금걱정을 한다면 당신은 전혀 아파트를 다섯채 이상 투자해본 경험이 없거나 부동산 세금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이다.

그리고 채당 1천만원이 오른다면 10억을 달성할 수 있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운이 좋았고 투자한 아파트의 전세가 매매가가 많이 올라서 프로젝트를 시작한지 아직 채 10년이 되지 않았지만 벌써 10억을 훨씬 더 상회하는 돈을 벌게 되었다.

당신에게는 생소한 이야기일지 모르지만불가능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불가능한 계획을 세워야 할지 모른다.

다소 황당하겠지만 당신이 월급에서 생활비를 빼고 모으는 돈을 적금에 풍차돌리기해서 이룬 성과보다 훨씬 더 빠른 길이다.

 

너바나의 Solution 3 - 멘토를 만나라

당신 주변에는 당신이 닮고 싶은 경제적 맨토가 있는가?

만약 있다면 당신이 불편하더라도 그에게 밥을 사고 이야기를 들어라.

그가 친절한 사람이 아니라고? 부자는 대부분 매우 바쁘다.

 

그는 충분한 경제적 여유가 있기에 다른 사람에게 친절할 이유가 별로 없다.

오히려 친절하지 않은 그에게 사심없이(?) 친절하게 다가오는 당신이 오히려 더 좋은 이미지를 줄 수 있다.

본인은 전혀 손해보지 않으면서 다른사람에게 뭔가 얻으려는 것은 오산이다.

'부자들에게 밥을 사라' 라는 명언처럼 대부분 부자들은 경제적 멘토가 있고 그들에게 적극적으로 조언을 얻으면서 부자로 가는 길을 코치받았다.

 

안타깝게도 만약 당신 주변에 부자가 없다면 부자가 쓴 책을 먼저 보라고 권하고 싶다.

이 때 주의할 점은 비평가의 자세로 책을 보지 말라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책을 읽으면서도 경제적 상황이 나아지지 않는 것은 책을 읽고 본인이 실천하려고 하지 않고 본인과 다른 상황만 찾으면서 '그 사람 때는 그게 통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아.', '그사람은 똑똑하지만 나는 전혀 그렇지 않아' 이러면서 안되는 이유만 찾는다. 대부분 사람들이 1년동안 너무 많은 일을 할 수 있을거라 과신하면서 정작 10년의 힘은 너무 간과한다.

 

어느 누구든 만약 본인이 부자가 되기로 결심했다면 10년 이내에 부자가 될 수 있다.

물론 그 과정은 쉽지 않을 것이다. 대부분 부자들은 자신의 인생을 정리하는 의미에서 책을 내기에 거기에는 부자 되는 길의 핵심만이 담겨있다.

그 부분을 잘 받아들이고 본인이 처한 상황에서 부자 되는 길로 가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추천도서 : 이웃집 백만장자 토마스 J 스탠리

 

(내용중략)

 

나머지는 리빙센스 10월호에 연재되어 있습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댓글


이파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