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호기를 한지 얼마 되지 않아
갈아끼기라는 생각은
아예 내 머리속에 없었는데
내가 1호기를 투자할 당시 비교했던 곳의
선호도 가장 좋은 단지가
2년 전세계약 이후에
내가 투자할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고 생각했을때
자주가족 선배님 강의를 그대로 따라한다면
나도 서울에 더 좋은 단지를 가질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항상 강의를 들을때마다
소액투자자들도 두달은 지방을가고
한달은 서울 앞마당을 늘려서
갈아낄수 있을때 앞마당이 있어야 한다는게
무슨의미인지를 알게되었고
나도 올해 2호기를 위해 지방위주로
앞마당을 늘리고있지만
중간중간 1호기를 갈아낄수 있는 곳에
앞마당을 늘려봐야겠다
강의에서 지속적으로 보이는 벤다이어그램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최저치
내가 꿈구는 최고치
중간에 꾸역꾸역 행동해서
그 중간에서 만나는 성장의 구간
누구나 최대를 원하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고서는
중간도 가지 못한다는걸 항상 잊지말자
갈아타기를 위해서
임보 가장 마지막 부분에 항상
나의 투자상황 점검과, 종잣돈 파악, 대출여력 파악을
해두어야 겠다
그리고 갈아끼기는 양도세를 내더라도
더 가치있는 물건으로 갈아타야 하기 때문에
갈아타기 하고자 하는 물건의
양도세를 계산(홈텍스) 해볼줄 알아야 하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세금 계산을 주기적으로 해봐야 겠다
(보다 정확한건 네이버엑스퍼트 활용)
그리고 내가 갈아타기할
투자지역 선정을 위해
서울수도권의 평당가, 전세가율등도
이번기회를 통해 한달에 한번씩
업데이트 해보는 습관을 들어야 겠다!!
그리고 서울수도권 앞마당을
늘려가면서 항상 갈아타기 할 수 있는
매물들을 투자주머니를 만들어서
미리미리 준비해둬야겠고, 물건을 만들어간다는
생각으로 항상 투자금보다 넓게 보는
습관도 장착하자!!
그리고 언제 어떤 상황이 생길지 모르기 때문에
전세 만기는 항상 6개월 전부터 챙겨야하며
세입자, 부사님과의 좋은 인간관계도
형성해두는것이 좋다
마지막 갈아타기 매수는
투자주머니에 넣어둔 후보단지들 간의 수평비교를 통해
가장 좋은 단지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매도 물건과 수직 비교평가를 통해
옆그레이드가 아닌 업그레이드가 맞는지
철처히 확인하고 행동으로 실천하자
매번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임장을 열심히 했는데도 기억에 남지 않는 내 앞마당들..
단순히 앞마당을 늘린다고 투자를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앞마당을 잘 정리해 둬야만 투자할 수 있다는
말이 너무 나도 와 닿았다…
앞마당을 관리하기 위해
반드시 해야하는 3가지
시세트레킹
원페이지정리
전수조사
지금까지 시세트레킹을
하지않았던 나를 반성하며
이번달부터 시작한 시세트레킹
어떤 단지를 선택하는지도
막막했는데 랜드마크와, 선호도 상/중/하
우선은 시작했고 아직 앞마당이 많지 않기때문에
많은 단지들을 넣어서 가격흐름이
어떻게 바뀌는지 감을 잡아봐야겟다
그리고 다음달부터는
금액대별 시세트레킹도 도전해봐야겠다!!
시세트레킹 단지를 잘 고르기 위해
생활권내 선호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선호도 장표도
임장보고서에 추가해두면 좋을것 같다!!
그리고 시세트레킹을 하는것에서 끝이 아니라
전세/매매가격이 오르거나/내리거나
내 앞마당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시세트레킹 후 항상 전임을 해야
마무리가 된다는 사실을 잊지말자!!
그리고 시세트레킹이 끝나면
금액대별 입지와 선호도 순서 정리를 통해
가치를 비교하게되면
내가 만들어둔 앞마당과 추가해나가는
앞마당과의 비교가 가능하게 된다
시세트레킹을 통해 내 앞마당에
안테나를 세워서 그 지역의 매매/전세 동향을
파악하고, 투자 후보지역에 대한
전체적인 상황과 리스크 확인을 위해
원페이지까지 작성하게 된다면
앞마당을 잊지않고 관리할 수 있을것 같다
마지막으로 앞마당끼리 비교 후
앞마당 1등을 뽑기 위해
전수조사를 진행하게 되면
내가 힘들게 만들어둔 앞마당에서
언제나 1등을 뽑아 낼 수 있는
진짜 투자자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너무 한번에 다할 수 없지만 하나씩 하나씩
꼭 정리해서 이번 강의에 배운걸
모두 실천해야겠다!!
댓글
4강후기도 고생하셨어요~ 저도 이번 강의를 통해서 갈아타기와 앞마당 관리를 어떻게 해야할지 더 와닿았던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