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만원 아끼는 부동산 지식은?
열반스쿨 기초반 - 월급 300 직장인이 부동산으로 부자되는 법
월부멘토, 너바나, 주우이, 자음과모음

대기만성 흙수저
대흙입니다.
3번째 반모임을
통해 사랑하는 에2반 동료들의
발표와 보이멘토님의 피드백
그리고 마지막 조언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어떤 시간보다 알차고 소중했던
월부학교 24년 겨울학기 에이스2반
마지막 반모임 후기 작성해보겠습니다~!
아이스크림 잘 먹었습니다. 프메퍼 튜터님! 재이리 반장님!
디테일하게 더 디테일하게 TOP3
여러분들이 이제는 좀 더 꼼꼼히 보라는 거야.
현실적으로.
27년에 같이 매도할 수 있겠지.
잔금 일정 조정하면 나눠서.
근데 그런 기준이 없는 거야.
내가 어떻게 매도해서
이 매도가 나한테 적정한 건지?
세금은 어떻게?
그런 것부터 세심하게 들어가야해.
한가해보이 멘토님
TOP3 발표를 통해 반원분들이
뽑아온 전국의 물건들에 대해
상세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었고
해당 도시, 생활권, 물건 단위로
장점과 단점, 매수, 보유, 매도
투자의 미래까지
보이멘토님의
인사이트를 통해 배울 수 있었습니다.
<TOP3 BM 사항 및 멘토님 피드백>
➡️ 포트폴리오의 매도 물건 고려 시, 같은 해 2건을 매도한다면 양도세까지 고려할 것. 혹은 잔금일 조정 및 어떻게 매도하고, 이 매도가 스스로에게 적정한 것인지 세심하게 들어갈 것.
➡️ 비선호동이더라도 이 시기에 단지를 가지냐, 안 가지냐, 비싸지 않은 가격에 같은 투자금으로 가능한지 판단할 것. 중간중간 찾아오는 기회를 유심히 살펴볼 것.
➡️ 생활권 내에서 신축이라도, 비선호 생활권인지 아닌지 명확하게 파악할 것.
➡️ 투자기준과 투자금을 명확하게 정하고 TOP3를 뽑을 것. 투자 가정 시 언제, 얼마의 돈으로 할 지 고려해야 한다.
➡️ 전세가는 실거래 하나만 보는 것이 아니라, 연속적인 실거래가 있어야 받아주는 가격이며, 최고 전세가를 낸 매물의 상태가 어느정도 수준인지 알아야 한다.
➡️ 00도시 내후년 초까지 공급을 잘 피해간다면 투자로 괜찮을 것임. 전세가 수준의 받아들일 정도이며, 과거(2010년대)와 현재 모습이 다르므로, 일부 단지에 대한 전고점으로 선호도 판단을 섣불리 하지 말 것. (보조지표임을 기억)
➡️ 1등 뽑기가 아닌, 1등 그룹을 만드는 것. 누가 더 오를지는 아무도 모르는 것이다. 내게 맞는 투자금의 그룹이 1++등급이며, 욕심을 부려도 되는 단지와 시장상황인지 알아야 한다.
➡️ 환경에서는 없어야 하는 것이 없어야만 한다. 균질성 측면에서 아이를 키우기에 어떤 환경이 적합한지 판단해야하며, 환금성 안에서 핸들링 가능한 자산이라면 투자적으로 가치가 있다.
이 일의 가치가 행복한가요?
동기부여란 힘을 내는 이유이며
비전보드는 목표입니다.
다만, 목표만 있어선 안되고
목표를 통해 무엇을 얻으려 하는지
어떤 삶을 살려고 하는지,
어떤 가치와 즐거움, 행복을
얻을 수 있을지 비저닝을 해야한다고 합니다.
이 가치에 정답은 없으며
본인만의 가치를 만들어야 하고
이것을 통해 행복해야하며
그 과정에서 재미가 생기게 됩니다.
지금 여러분이 투자를 못하고
성장을 못할때도 행복한지 생각해봐.
여러분들 비전보드엔 비전이 없어.
비전이란 어떤 삶을 살고, 어떤 가치를 가질 것인지 생각해봐.
돕고자 하는 마음은 분명하지만
상대방을 나의 삶과 같이
더 나은 삶을 살게하도록 진심이 되는 것인지
타인을 위한 삶을 사는 것인지 생각해봐.
기버와 기버의 삶은 다른 것이고
내가 이 삶을 살면서 행복을 느끼는 거야.
그리고 가장 중요한 요소중 하나인 거야.
한가해보이 멘토님
에이스반을 통해
생각치 못했던 영역을 고민해보고
또 성장해야 하기에 반드시 왜?
이 활동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본인의 명확한 이유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또한 그 과정에서
스스로가 생각하는
행복한 가치를 찾는 과정
그 자체가 너무나 값지고 소중한
시간이 아닌가 생각되었습니다.
멘탈 줄다리기로 성장하고 성과를 이뤄내기
1. 어려운 일이 안찾아올 거란 생각 하지 말 것.
어려울 때마다 긍정으로 덮으려는 노력을 해야한다.
항상 어려움을 즐거움, 또 행복으로 덮고
성공이 온다는 것을 생각하고 받아들여야 한다.
2. 활동에 대한 스트레스를 감수하면서도
이걸 왜하고 있는지 생각해봐야 한다.
3. 주변을 신뢰해야 한다.
멘토나 튜터가 나를 위해
진심으로 행복해지기를 바란다는 것을
믿고, 어떤 환경에서도 신뢰할 수 있는 것을 만든다.
끝으로 스스로 본인의 마음과
멘탈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과
그 극복 방법을 말씀해주시며
진심으로 성장을 바라는 보이멘토님의
마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긴 시간 동안 좋은 가르침 주신
'한가해보이 멘토님' 감사합니다.
좋은 발표와 질문해주신 에2반
째반님, 멤부님, 잇뿌님
보통님, 죠앙님, 허씨님, 소피님
감사합니다.
3초 가입하고, 찐 부자들의 인사이트와 자료를 이어서 받아보세요
16만명이 월부 칼럼을 매일 무료로 읽으며 부자되는 정보를 얻고 있습니다.
댓글 3
튜터님~! 에이스반 고생하셨습니다~~ !!
튜터님 고생많으셨습니다~! 저도 튜터님의 가르침과 나눔을 신뢰합니다^^
왜 하고있는지를 생각하고, 긍정으로 덮어가며 앞으로 나아가겠습니다- 나눔글 같은 후기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튜터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