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따뜻한 5월의 기운이 가득한 요즘입니다.
선배님들께 인사드리며, 1호기 매수 전에 실전 투자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아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많은 조언과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 거래시 가격네고 시도를 하라고 하는데 협상은 서로 win,win 하는 거래로 가져가야하는데 매도자 상황이 급하지 않은 상황에선 어떤 카드를 꺼낼 수 있나요?
그리고 협상시 네고 금액을 처음에 얼마나 불러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2. 목표매수가를 설정하는 방법를 알고 싶습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프리덤님 안녕하세요~ 1. 매도자가 급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협상할 수 있는 카드가 적은 것 같습니다.. 그래도 매도자가 파는 이유가 있을거니까 등기부 확인해서 근저당이 있는지, 매수가는 얼마인지 확인해서 협상을 시도해볼 것 같습니다. 네고 금액은 시장, 지역 분위기에 따라 달라질 것 같아요. 여전히 매수세가 약한 곳이면 과감하게 불러도 좋고 그게 아니라면 보수적으로 볼 것 같습니다. 2. 저는 목표 매수가를 최근 3개월 실거래 중에 낮게 거래된 가격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물론 사람들이 선호하는 단지면 잘 깎이지 않겠지만 전고점 보다 낮은 가격이면 괜찮은 가격이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프리덤님~ 가격 협상에 대한 궁금증이 있으시군요 :) 협상이라는게 한 쪽에서만 일방적으로 깎아달라는 식으로 요구를 하게 된다면 받아들여지지 않는 경우가 많을겁니다 ^^; 그래서 우리는 상대방이 뭘 원하는지를 좀 더 파악해보려고 노력 하는 것 같아요 그게 무엇인지는 상대방의 상황에 따라서 다릅니다. 그래서 상대방(매도인)의 입장을 최대한 다양하게 알아보려고 하고요, 집에 수리해야 하거나 하자가 있는 부분, 도배가 뜯겨 있거나 문틈이 들떠있거나 타일에 크랙이 가있는 등등의 세세한 부분들을 토대로 네고를 요청해볼 수도 있고요, 매도인이 원하는 매도 시점이 있거나 잔금이 급한 경우, 가끔 사업이나 등등의 이유로 현금이 먼저 필요한 분들이 있는데 이런 경우에 매수인인 우리가 제안해볼 수 있는 카드는 중도금을 좀 더 넉넉히 드려서 현금동원을 해드릴테니 매수가격을 조금 더 조율할 수 있을까요? 하는 부분도 있을 것 같습니다 네고 금액을 얼마나 불러야 할지는 시장 상황과 단지에 따라서도 다를 것 같아요~ 시장이 점점 전고점 뚫으면서 쭉쭉 가고 있는데 거기서 3천만원 , 5천만원 더 빼달라고 하면 쉽지 않을 수 있거든요 거래가 뜸하다거나 사람들이 잘 안사는 곳일수록 협상의 여지도 커지는 것 같구요, 보통은 평층을 저층 가격으로 사면 싸게 잘 샀다고 생각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 그만큼이 아니라 실거래 대비해서 싸게 사더라도 괜찮구요- 1호기의 기운이 왠지 프리덤님께 가득 느껴집니다~ 궁금하신 점은 언제든 재테크 Q&A 게시판 들러주세요 :)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