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Before Reading | ||||||||
책 제목 | 행복의 기원 | 저자/출판사 | 서은국 / 21세기 북스 | |||||
읽은 날짜 | 초독 | 2025.06.16. | 재독 | |||||
1. 이 책과 나의 연관성은? | ||||||||
연관성 점검표 | 점수 | 그렇게 생각한 이유 | ||||||
책의 흥미성 | 1 | 2 | 3 | 4 | 5 | 5 | 월부 너나위님 추천! 행복에 대한 통념적인 것이 아닌 게 신선? | |
직업 연관성 | 1 | 2 | 3 | 4 | 5 | 4 | 직장, 투자자로서 행복을 찾으려고 했는데 그게 올바른 방향인건지 점검해볼 수 있지 않을까 | |
생활 연관성 | 1 | 2 | 3 | 4 | 5 | 4 | 삶에 중요한 요소중 하나인 행복을 생존의 수단이라고 보는 관점이 신선 | |
성장성 점검표 | 점수 | 그렇게 생각한 이유 | ||||||
책의 고전성 | 1 | 2 | 3 | 4 | 5 | 5 | 10년전 책임에도 개정판이 나온 것은 그만큼 사람들이 많이 읽었다는 뜻? | |
작가의 전문성 | 1 | 2 | 3 | 4 | 5 | 5 | 행복에 관련해서 40년이나 조사하신 만큼 전문적일 거라고 본다 | |
적용 가능성 | 1 | 2 | 3 | 4 | 5 | 5 | 나는 가족들과 행복하고 여유로운 삶을 산다!라고 항상 외쳤는데, 이게 저자는 어떻게 보였을까? 그런 궁금증이 떠오른다 | |
합계 | 28 | |||||||
2. 책을 보고 예상 키워드 뽑아보기 | ||||||||
KEY WORD 1 | KEY WORD 2 | KEY WORD 3 | ||||||
행복은 생존을 위한 수단 | 왜 인간은 행복이라는 경험을 할까? | 어떻게 하면 행복하게 살 수 있을까? | ||||||
3. 이 책에서 얻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 ||||||||
저자가 행복을 생존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겼었는데 왜 그런 생각을 했는지 배워보고 싶다 |
After Reading | ||||||||
책 제목 | 행복의 기원 | 저자/출판사 | 서은국 / 21세기 북스 | |||||
읽은 날짜 | 초독 | 2025.06.16. | 재독 | |||||
1. 나에게 유용한 책인가? | ||||||||
체크리스트 | 점수 | 그렇게 생각한 이유 | ||||||
책은 전체적으로 논리적인가? | 1 | 2 | 3 | 4 | 5 | 5 | 행복에 대해서 고민하고 생각한 점을 풀어넣은 책 | |
저자가 말하는 것은 실천가능한가? | 1 | 2 | 3 | 4 | 5 | 5 | 실천 가능! 가지고 있는 것에 감사하기 | |
자신의 흥미와 호기심이 충족되었는가? | 1 | 2 | 3 | 4 | 5 | 5 | 많은 분들이 추천해줘서 읽고 싶었는데 덕분에 잘 읽음 | |
이 책에 얼마만큼 동의하는가? | 1 | 2 | 3 | 4 | 5 | 5 | 전적으로 동의한다 | |
이 책을 소개하고 싶은가? | 1 | 2 | 3 | 4 | 5 | 4 | 행복은 너무 멀리서 찾는 게 아니라는 것을 소개시켜 주고 싶다 | |
합계 | 24 | |||||||
2. 책을 읽고 난 후 핵심 키워드 3개 뽑아보기 | ||||||||
KEY WORD 1 | KEY WORD 2 | KEY WORD 3 | ||||||
행복은 생존에 필요한 도구 | 가진 것을 얼마나 좋아하냐, 행복은 빈도! 사랑하는 사람과 밥 먹는 것! 너무 멀리찾지X | 타인 신경 X | ||||||
3. 기억에 남는 구절과 본깨적 내용을 정리해보기 | ||||||||
쪽 | 내용 | 본깨적 | ||||||
11 | 행복은 생존에 필요한 도구야 | 저자의 함축적인 생각이지 않을까? | ||||||
61,66 | 생명체가 가진 모든 생김새와 습성은 우연의 산물이 아니라, 생존과 짝짓기를 위한 도구'라는 점이다. 너무 중요해서 다시 한 번 쓴다. 동물의 모든 특성은 생존과 번식이라는 뚜렷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구다. (중략) 특히 '모든'이란 단어에 주목하자 (중략) 행복감 또한 마음의 산물이다. 창의력과 마찬가지로 행복도 생존을 위한 중요한 쓰임새가 있는 것은 아닐까? 행복은 삶의 최종 목적이라는 철학자들의 의견이었지만, 사실은 행복 또한 생존에 필요한 도구에 불과한 것은 아닐까? | 핵심 내용 중 하나! 생존과 번식을 위해서 모든 특성이 존재함. 저자는 인간의 마음, 행복 또한 그렇다고 봄. 행복은 즉 생존에 필요한 도구! 앞에 말했던 내용! | ||||||
100,103 | 초고속 승진의 기쁨. 뇌의 행복 전구가 켜지는 이유는 승진 자체가 아니라 승진이 가져다주는 사람들의 축하와 인정 떄문이다. (중략) 사람이라는 동물은 극도로 사회적이며, 이 사회성 덕분에 놀라운 생존력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그의 뇌는 온통 사람 생각 뿐이다. (중략) 행복감을 발생시키는 우리 뇌가 이처럼 사람에 '중독'되어 있다는 사실을 놓쳐서는 안 된다. | 공감되네. 승진이라는 것을 빌미로 주변의 인정, 축하를 받는 것에 행복을 느끼는데 투자할 때도 주변의 칭찬, 인정이 더 달콤했던 것 같다. 외로움을 잘 이겨낸다고 했지만, 정말 정말 혼자서 투자 공부를 했다면 잘 이겨낼 수 있었을까? 네버.. 나도 사람을 좋아한다! | ||||||
116 | 지금까지의 연구자료들을 보면 행복한 사람들은 이런 '시시한' 즐거움을 여러 모양으로 자주 느끼는 사람들이다. 행복은 복권 같은 큰 사건으로 얻게 되는 것이 아니라 초콜릿 같은 소소한 즐거움의 가랑비에 젖는 것이다. (중략) 외모와 행복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는다. 즉, 내가 다른 사람 눈에 얼마나 아름답게 보이느냐(객관적 미모)는 자신이 느끼는 행복감과 관련이 없었다. 자기 스스로 생각하는 아름다움의 정도(주관적 미모)는 행복과 관련이 있었다. 외모뿐 아니라 다른 삶의 조건(건강, 돈 등)과 행복의 관계에서도 유사한 패턴이 나타난다. 객관적으로 얼마나 많이 가졌느냐보다 이미 가진 것을 얼마나 좋아하는냐가 행복과 더 깊은 관련이 있다. | 이미 가진 것을 만족하느냐, 부족하느냐에 따라 행복감을 더 느낀다! 나 스스로에 대해서 자뻑이지만 괜찮다고 많이 느끼다보니 뭔가 외적으로나 뭘 사는 등으로 행복감을 덜 느끼는 것 같다. 너바나님께서 말씀 주신 것!, 책에서 말씀 주신 것처럼 가지고 있는 것에 감사함을 무한히 느껴보자 그러면 더 행복해질 것 같다! (사랑하는 우리 가족, 소중한 자산, 회사, 건강, 친구, 동료분들) | ||||||
122 | 이렇게 미래를 과도하게 염려하고 또 기대하는 것이 우리 모습이다. 그래서 우리는 현재를 즐기지 못하고 산다. (중략) 많은 사람이 미래에 무엇이 되기 위해 전력 질주 한다. 이렇게 'becoming'에 눈을 두고 살지만, 정작 행복이 담겨 있는 곳은 'being'이다. 인생은 유한하다. 제한된 시간과 에너지를 어디에 어떻게 쓰느냐가 결국 인생사다. | 오늘.. 와이프랑 얘기하면서 내가 너무 먼 미래를 걱정하고 있구나, 쓸대 없이 미리 걱정하고 있구나를 느꼈던 것 같다. 와이프 말씀.. 당장 내일 이유식 어떻게 만들지도 문젠데!! ㅋㅋㅋ 뜨끔하고 이것 떄문에 축 쳐진 내 모습이 답답했을 것 같기도 하다. 그래도 어깨 토닥여주고 위로해줘서 고마움을 느꼈다. 적당한 위기의식은 좋지만, 걱정에만 매몰된 나머지 부정적인 생각에 갇혀있지 말자. 그러면 어떻게 해결하면 될까? 해결법을 찾으면 되지! | ||||||
127 | 쾌락은 생존을 위해 설계된 경험이고, 그것이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본래 값으로 되돌아가는 초기화가 반드시 필요하다. (중략) 행복은 기쁨의 강도가 아니라 빈도다 (중략) 결국 행복은 아이스크림과 비슷하다는 과학적 결론이 나온다. 아이스크림은 입을 잠시 즐겁게 하지만 반드시 녹는다. 내 손 안의 아이스크림만은 녹지 않을 것이라는 환상, 행복해지기 위해 인생의 거창한 것들을 좇는 이유다. | 행복은 아이스크림! 잠시 즐겁지만 적응에 의해서 즐거움이 사라짐. 너무 거창하고 큰 것에만 행복을 추구하는 게 아니라 소소한 것에 감사하며 자주 느껴보자! | ||||||
171~174 | 보다 결정적인 것은 다른 사람들의 평가나 시선에 얼마나 신경을 쓰며 사느냐다. 물론 사회의 일원으로 살며 타인의 평가와 의견을 경청하고 존중하는 자세는 필요하다. 하지만 그것이 내 인생의 유일한 나침판이 되면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중략) 내 삶의 주인이 타인이 아닌 자신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중략) 우선 타인의 평가를 의식하는 것 자체가 인간에게는 대단한 스트레스다. (중략) 행복해지려면 다른 사람을 지나치게 신경 쓰지 마라. 둘쨰, 타인을 의식하는 것이 습관이 되다 보면 내가 아닌 타인의 시각을 통해 매사를 판단하고 평가하게 된다. 심지어 자신의 행복마저도. | 정말 공감되는 말 타인의 평가에 너무 신경쓰지 말자. 피로가 쌓이고 자존감만 무너진다. 그 시간에 내면, 실력을 쌓아가자 | ||||||
195 | 행복의 핵심을 사진 한 장에 담는다면 어떤 모습일까? 이 책의 내용과 지금까지의 다양한 연구 결과들을 총체적으로 생각했을 때, 그것은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 음식을 먹는 장면이다. 문명에 묻혀 살지만, 우리의 원식적인 뇌가 여전히 가장 흥분하며 즐거워하는 것은 바로 이 두 가지다. 음식, 그리고 사람. 행복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모든 껍데기를 벗겨 내면 행복은 결국 이 사진 한 장으로 요약된다. | 행복! 너무나도 심플하지만 정말 정말 맞는 말이다. 다른 사람들에게 공유해줘도 좋을 말! 행복을 찾기 위해 너무 먼 곳으로 가지 말고, 당장 옆에 있는 가족과 맛있는 밥을 먹고 얘기 나누는 것이 찐 행복임을 알고 이를 할 수 있음에 감사하자! | ||||||
4. 이 책에서 얻은 것은 무엇인가?(before reading의 3번과 비교하여 작성해보세요.) | ||||||||
행복은 사랑하는 사람과 밥을 먹는 것이며, 가지고 있는 것&소소한 것에 감사하며 자주 느끼자. | ||||||||
#1. ONE MESSAGE(이 책에서 선정할 수 있는 단 하나의 메시지) | ||||||||
행복의 핵심을 사진 한 장에 담는다면 어떤 모습일까? 이 책의 내용과 지금까지의 다양한 연구 결과들을 총체적으로 생각했을 때, 그것은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 음식을 먹는 장면이다. | ||||||||
#2. ONE ACTION(내가 실천하고자 하는 단 하나의 행동) | ||||||||
행복을 찾기 위해 너무 먼 곳으로 가지 말고, 당장 옆에 있는 가족과 맛있는 밥을 먹고 얘기 나누는 것이 찐 행복임을 알고 이를 할 수 있음에 감사하자! | ||||||||
5. 책 속의 책(책 속 추천도서), 또는 연관지어 읽어볼 책이나 내용은 무엇인가? | ||||||||
남은 인생 10년 |
댓글
해피앤리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