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마다 선호하는 호혜원칙이 다르다. 즉, 사람마다 주는 양과 받는 양에 대한 희망에 극적인 차이가 존재
기버는 성공 사다리의 꼭대기와 밑바닥을 모두 점령한다 : 현명한 기버 되기
인맥이 은밀한 정보, 다양한 기술, 권력이라는 세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
인맥이 주는 혜택은 의미 있는 활동과 관계를 투자한 결과로 따라오는 것이지, 그것 자체를 추구한다고 얻을 수 있는 게 아니다
자신의 인간관계와 평판을 어디에서나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세상에서 테이커가 지속적으로 성공을 거두기는 어려운 일이다
강한 유대관계는 결속감을 주고, 약한 유대관계는 새로운 정보에 보다 효과적으로 접근하도록 다리가 되어준다
30대 보다 40~50대가 소원한 관계에서 더 많은 것을 얻는다
인맥에 대한 이타적인 접근 방식이 모든 사람을 이롭게 함으로써 전통적인 호혜 원칙을 뒤엎을 수 있다
기버는 파이를 크게 키워 조직 전체와 함께 자신도 더 큰 이익을 얻는다
지도자의 신뢰가 자기 충족적 예언을 촉진한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서비스 부문에서는 인맥이 넓고 이타적이라는 평판이 중요함
타인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것에는 시간과 노력을 할애하더라도 도와줘야 함
테이커라는 평판의 무서움을 인식하고 조심해야겠음
돌려 받을 것을 가지고 행동하기 보다는 먼저 도움을 주고 도움을 주는거 자체에서 충분히 의미를 갖는게 중요함
소원한 관계에서 얻은 조언이 현재의 관계에서 얻은 조언보다 더 가치가 있다는게 인상적임
본인의 성공은 주변사람들에 의해 좌우 된다는 얘기가 인상 깊었음
약점을 드러낼 때는 아무때나 하지말고 듣는 사람이 화자의 능력을 확실히 알고 있을때만 해야 함
성공이라는게 결국 내가 주변사람들에게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기여했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한다면 나와 주변사람 모두에게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음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기버로 살기위해 애쓰기 : 고객(상대방)에게 가장 이익이 되는 게 무엇인가를 먼저 생각해보기
월 2회 월부 커뮤니티에서 내가 월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글을 업로드 하기
내가 받은 도움을 타인에게 5배 이상을 돌려주기
심각한(?) 고민은 소원하지만 나에 대해 잘 아는 사람에게 조언을 구해보기
하루 5분 타인을 위해 투자하기 (보상을 바라지 말고..)
갈등 상황에서는 파이를 더 키우기 위한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모두가 윈윈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기
나 보다는 우리를 먼저 생각하기
‘이 상황에서 저 사람은 어떻게 느낄까?’라고 자문해보기
대답보다는 사려깊은 질문으로 본인 스스로 답을 찾게끔 유도해보기 : 의미있는 질문 하루 한 가지씩 해보기
고민이 되는 상황은 상대방에게 조언을 구하기 (정중하게)
상대방의 선행은 절대 잊지 않되 악행은 더러 용서해라. 그리고 상대방이 배신할 때 까지 협력하는 자세 유지하기
나의 이익이 아닌 가족의 이익을 대변하는 역할로 바꿔보기 (가격, 시간 협상 등..)
힘을 뺀 의사소통 방식 : 말하기에서 듣기로, 자신을 드러내는 태도에서 조언을 구하는 태도로, 주장에서 질문으로 말하는 습관 들이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29) 무엇보다 기버의 성공은 주변 사람들이 성공을 유도하는 파급효과를 낸다
(p.38) 베풂은 100미터 달리기에는 쓸모가 없지만 마라톤 경주에서는 진가를 발휘한다
(p.62) 기버와 테이커 모두 거대한 인맥을 쌓을 수 있지만, 기버가 휠씬 더 지속적인 가치를 창출한다
(p.65) 인간의 진정한 가치는 그가 자신에게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을 사람을 어떻게 대하는가에서 드러난다
(p.78) 나와 관계가 있는 사람들이 보다 나은 인생을 살아가도록 돕고 싶다는 마음으로 일상생활의 소소한 부분에서 친절한 태도와 행동을 지속하다 보니 시간이 흐르면서 인맥이 구축된 겁니다
(p.85) 일단 누군가를 만나면 ‘내가 이 사람을 어떻게 도울 수 있을지’ 자문해보라
(p.129) 그들(기버)은 자신의 이익이 아니라 조직 전체에 가장 큰 이익을 주는 일을 맡아서 한다
(p.216) 타인에게 영향을 끼치는 데는 두 가지 기본적인 방법이 있다. 바로 지배력과 명망이다. 당신에게 지배력이 있으면 타인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사람들이 당신에게 강한 권력과 권위가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명망을 얻어도 영향력이 생긴다. 남들이 당신을 존중하고 존경하는 까닭이다
(p.275) 자신이 하는 일이 미치는 영향력을 직접 경험하면 기버의 에너지 소진은 줄어든다. 그 뿐 아니라 호혜 성향과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더 이타적으로 변화한다
(p.387) 가끔은 자신이 규범을 어기고 있는지 모르는 탓에 이기적으로 행동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 상황에서는 규범을 알려주는 것만으로도 이타적으로 행동하도록 이끌 수 있다
(p.413) 자신의 에너지를 타인의 삶에 변화를 일으키는 데 주의해서 집중적으로 투자하면 성공은 하나의 부산물로 따라온다